• 제목/요약/키워드: studies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4초

생물전공 대학생과 비전공 대학생의 생명과학 학습에서 자기조절 과정의 두뇌 활성 분석 (Analysis of Brain Activation on the Self-Regulation Process in College Life Science Learning between Biology Major and Non-Major Students)

  • 이수민;박상희;권승혁;권용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3호
    • /
    • pp.255-26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생명과학 학습에서 생물학 전공자와 비전공 대학생의 자기조절 과정에서 나타나는 뇌 활성을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다. 자기조절과제는 생물분류 개념으로 생명과학 학습상황을 구현하였다. 대학생들의 뇌 활성은 fNIRS에 의해 측정되고 분석되었다. 동화 과정에서 양측 FP와 좌 DLPFC는 유의미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두 그룹은 동기부여 및 보상과 관련된 좌측 OFC 활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갈등 과정에서 왼쪽 DLPFC는 공통적으로 활성이 현저히 낮았으며, 두 그룹은 최근 메모리와 관련된 BA46과 장기 메모리와 관련된 BA47의 활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동화 과정에서 우측 DLPFC에서 유의하게 높은 활성이 공통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두 그룹은 우측 DLPFC와 우측 FP의 활성의 차이를 보였다. 이 영역들은 오른쪽 전두엽 영역에 있으며 생명과학 지식의 이해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 결과 생물학 전공 대학생과 비전공 대학생의 뇌 활성 패턴은 자기조절 과정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기조절에 대한 신경학적 연구를 추가로 제안하고 학교 환경에서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과 학습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과학 교과서의 교육과정 시기별 탐구 성향 비교 분석: Romey 분석법을 이용한 선행 연구 결과 비교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n Inquiry Tendency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Period: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Results of Previous Studies Using Romey's Method)

  • 장명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6-181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및 타 교과 교과서에 대한 Romey의 참여지수를 보고한 선행 연구들의 비교를 통해 교육과정 시기별 초등 과학 교과서의 탐구 성향의 변화 및 그 적절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문 지수(T)의 경우, 제3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는 극히 탐구적인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이지만(T>18),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2007 개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는 각각 권위적(비탐구적)인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T=0.25)과 적절한 탐구 수준의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T=0.99)에 근접한다. 수시 개정 체제 이후 과학 및 타 교과 교과서의 T값을 비교해보면 별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둘째, 그림 · 도표 지수(FD) 또한 교육과정 시기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이다(제3차 과학 교과서 : FD>2.75 → 2015 개정 과학 교과서 : FD=0.14). 특히 2015 개정 과학 교과서의 FD값은 비탐구적인 교과서로 판정되는 수준으로, 최근 보고되고 있는 타 교과 교과서의 FD값과 비교해도 낮은 수치이다; 셋째, 과학 교과서의 활동 지수(A)의 경우, 제3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정 교과서에 이르기까지 점차 감소하지만 모두 탐구하기에 알맞은 교과서로 판정되는 값이다(제3차 과학 교과서 : A=1.12 → 2015 개정 과학 교과서 : A=0.64). 하지만 7차 교육과정 시기 이후 과학 교과서의 A값은 타 교과 교과서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다. 넷째, 과학 교과서의 질문 지수(Q)는 전술한 세 지수(T, FD 및 A)에 비해 극히 제한적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교육과정 시기별 과학 교과서 구성 체계의 차이가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한국 아동 미술치료중재 프로그램 연구 동향 (The Trends of Research on Children Art Therapy Program Intervention in Korea)

  • 김원순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90-802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recent trends in Children Art Therapy Program Intervention research in Korea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is area. Methods. Studies(29) selected from http://www.riss4u.net for last 15 year were used. They were analyzed by publication type, field and design of the study, study participants and outcome variables used in intervention studies. Results. 1. As for academic field, there are 15 art therapy academic journals(51.72%), which made up the largest proportion. 2. As for subjects of the study, there are 17 articles of Elementary (58.6%) education, which made up the largest proportion. As for the subjects of sex, 8 articles (27.59%) are for male students, 7 (24.14%) articles are for female students and 14 articles (48.28.%) are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3. As for 7 articles of Art therapy(24.14%), 7 articles of Group Art therapy (24.14%) made up the largest proporton 4. As for the intervention study method according to the subjects of suicide intervention program, there are 15 articles of monoclonal Pre and post design (51.72%),which made up the largest proportion. 5. As for the sample size, there were 16.79 persons in the treatment group on average, 13.28 persons in the control group have average and the total persons were 10 on average. The treatment period was 12 weeks on average and the average number of treatment times was 18. The places of treatment were 3 schools (10.38%), which made up the largest proportion. 19.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study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of all 29 programs. Conclusions. As the above, the studies on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are increasing but the subjects are overly weighted towa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though the content of the art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was varied,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ing various art media which can induce the motivation of the child was lacking. In addition, the place of experimental mediation was concentrated on psychology center as 12(41.38%), indicating that there are not enough places to connect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such as schools and hospitals. The variables of experimental study were focused o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sufficient application of various variables including coping method, social support, and physiological variables.

융합인재교육 실행형태의 측정도구 개발 및 실행형태와 실행수준의 관계 분석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Innovation Configurations of STEAM and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Innovation Configurations and the Usage Levels of STEAM)

  • 이진숙;송태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55-765
    • /
    • 2019
  •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에서 융합인재교육의 실행 형태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실행 형태와 관련 배경 요인이 실행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행형태의 측정도구는 다양한 선행 연구 및 심층면접 등의 분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고, '수업준비', '수업설계', '수업운영', '평가'의 4개 세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사전 개발된 측정 문항을 바탕으로 전국의 융합인재교육 연구·선도학교의 교사, 융합인재교육 교사연구회 활동을 하는 교사, 그리고 융합인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일반 초등학교 교사 266명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 실행 형태를 조사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융합인재교육의 실행 형태를 측정을 위한 총 19개의 측정 문항을 확정하였다. 초등교사의 융합인재교육의 실행형태와 그 실제 실행수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먼저, 실행형태의 4개 세부 요인과 실행수준의 직접적 영향을 조사하고, 배경 요인으로 고려한 초등교사의 교육경력, 융합인재교육 연수경험이 이 실행형태 각 세부 요인과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행형태 4개 세부 요인과 배경요인의 상호작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실행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초등교사의 융합인재교육의 실행수준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실행형태의 '수업운영' 요소와 배경변인 중 '연수경험'의 유의미한 상관이 도출되었으며, 이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측정도구는 초등교사의 관점에서 융합인재교육의 실행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할 뿐 아니라, 바람직한 개선 추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북 큐레이션 운영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 of Book Curation in Elementary School Library)

  • 곽순임;오의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15-42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북 큐레이션의 현황, 북 큐레이션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 태도를 조사하여 향후 북 큐레이션 서비스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51명의 경기 지역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북 큐레이션의 운영 현황을 설문형식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86.3%가 북 큐레이션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둘째, 북 큐레이션 서비스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주제의 자원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셋째, 북 큐레이션의 주제는 도서 관련 행사와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여 선정하며, 넷째, 사서교사들은 북큐레이션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고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마지막으로, 북 큐레이션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인식은 높지만 공간과 예산의 부족 등으로 운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이 연구가 북 큐레이션의 실제를 보고하는 데이터로 학술적 기여가 있으며, 도서관의 자원이 사장되지 않고 이용자와 적극적으로 매칭되기 위하여, 사서교사의 전문적 교육, 교육과정과의 연계 등이 필요하며, 향후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된 문제를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과학 상태호기심 및 과학 상태불안 측정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s for the Measuring Science State Curiosity and Anxiety in Science Learning)

  • 강지훈;유병길;김지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85-50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 상황을 과학 문제 대면, 결과 확인, 과학 개념 학습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학생들의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러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과학 상태호기심과 과학 상태불안을 세 단계의 학습 상황에 맞게 정의하였고, 이 정의에 맞게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 문항은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문항 수와 기본틀이 동일하게 개발하였다. 안면타당도와 내용 타당도 검증과정에서 일부 예비 문항을 수정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본 측정도구는 각 단계별로 상태호기심 5 문항과 상태불안 5 문항(2 요인 10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본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다. 크론바흐 알파값은 요인별, 전체문항별 모두 0.8 이상이 나왔다. 본 측정도구는 세 단계의 과학 학습 상황에 맞게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을 측정하고 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다.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의 학교여건 만족도 영향 분석 - 안양시 사례 (Studying on parents' satisfactory factor to elementary school which their children go to. - focusing on Anyang city)

  • 김호일;전희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009-1020
    • /
    • 2010
  •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안양시 교육 자료는 학생과 학교간이 위계적인 수준의 형태이기 때문에 상위 수준의 특성을 반영하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안양시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대한 제반 여건들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부모들이 느끼는 자녀의 학교여건 만족도에 부모들의 시 교육정책에 대한 만족 정도, 학군선호의 신도시 지역을 나타내는 학교의 거주지가 그 다음 크게 영향을 미쳤다. 위계적 선형모형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교육 없이 공교육만으로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고 신도시와 같이 학교의 제반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안양시의 교육정책을 펼쳐 나간다면 학부모의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대한 제반 여건들에 대한 만족도는 지금보다는 더욱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무게중심 확인 융합 프로그램의 수준별 수업 적용 사례연구 (Case Studies Via Level Classes Of The Convergence Program For Verifying The Center Of Gravity)

  • 김수금;류시규;김선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71-804
    • /
    • 2014
  • '무게중심'의 개념은 현재 초등교과영역에서 처음 등장하여 대학의 수학과 물리학, 공학 분야 등 폭넓게 응용되고 있지만 실제 교육은 실생활과 유리된 이론수업의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2013년 '${\bigcirc}{\bigcirc}$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무게중심 확인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수준별 수업으로 재구성하여 비영재학생들에게 적용시켜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물체의 빈 공간이나 물체 밖에 무게중심이 존재하는 경우를 확인하는 실험 등 새로운 과정을 포함하였으며, 무게중심을 구할 때 핵심이 되는 지렛대의 원리에서 지렛대의 무게를 고려한 계산 방식을 제시하여 보다 실제적으로 개념에 다가갈 수 있도록 하였다. 초 중 고등학교 학생 총 65명을 대상으로 기존 8차시 프로그램을 4차시로 재편성하여 적용하였고, 수업 후 설문과 토론, 인터뷰 등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정밀한 오차분석 등의 과정을 통하여 수준 높은 성공의 경험을 하였다.

  • PDF

한국인 자폐스펙트럼장애와 UROC1 유전자의 연관성 분석 (No Association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Urocanase Domain Containing 1 (UROC1)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s) in the Korean Population)

  • 박정원;노명자;남민;방희정;양재원;최경식;김수강;정주호;곽규범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1호
    • /
    • pp.8-13
    • /
    • 2012
  • Objectives : Urocanase domain containing 1 (UROC1) has never been studied in prior studies on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s). UROC1 causes urocanic aciduria, one of the symptoms of which is mental retard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UROC1 gene and ASDs in a Korean population. Methods : A total of 258 control and 214 patients with ASD were used as subjects of this study. SNPs selected from UROC1 were genotyped using Illumina Golden-Gate Genotyping assay with VeraCode$^{(R)}$ technolog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and Plink software. Results : We found no association of the 12 SNPs in the UROC1 gene with ASDs in a Korean population. Conclusion : Our study suggests that the 12 SNPs (11 SNPs and 1 SNP in the intron and 3'UTR region, respectively) in the UROC1 were not associated with ASDs in a Korean population. Further study on the exon region of UROC1 is needed.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과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 행동이 남아와 여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Gender-Specific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한준아;김지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65-678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se kinds of variables. The participants were 214 children in 4 to 6 grades and their teachers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negative emotion explained boys' and girls' peer social skills, frustration tolerance, and task orientation. Children's positive emotion regulation explained boys' and girls' peer social skills, assertive social skills, and task orientation. Boys, who perceived less maternal supervision, displayed less assertive social skills and task ori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