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learning difficulties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5초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지도 경험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of Scientific Inquiry)

  • 진순희;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181-191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experiences in learning/teaching,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of scientific inquiry, and to study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teaching scientific inquiry methods to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suggestions for future inquiry material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157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10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 in relation to their ideas and experiences of scientific inquiry. The results show tha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lack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lacked educational experiences of inquiry methods in general. They generally perceived the 7th science text-books as being inappropriate and inadequate for teaching students scientific inquiry proce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to help practitioners implement scientific inquiries successfully through the various types of teaching material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s.

  • PDF

On the Teaching Linear Algebra at the University Level: The Role of Visualization in the Teaching Vector Spaces

  • Konyalioglu, A.Cihan;Ipek, A. Sabri;Isik, Ahme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59-67
    • /
    • 2003
  • In linear algebra course, the theory of vector space is usually presented in a very formal setting, which causes severe difficulties to many student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eaching the theory of vector space in linear algebra from the geometrical point of view on students' learning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 of the theory of vector space in linear algebra from the geometrical point of view increases the meaningful loaming since it increases the visualization.

  • PDF

VRML과 자바애플릿을 이용한 과학교육용 코스웨어 (A Courseware for Science Education Using VRML and Java Applet)

  • 하얀;최두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03-209
    • /
    • 2004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언어인 VRML과 자바 애플릿을 이용하여 학습자(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 학생)에게 흥미를 줄 수 있는 향상된 학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과학 교육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VRML을 이용한 3차원 애니메이션 기능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우리 생활 속에 친숙한 기계 구조와 원리를 학습시키고 과학 학습의 흥미를 갖도록 한다. 앞으로 이와 같은 방법은 과학 교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다.

  • PDF

구성주의가 수학 교과용 도서에 주는 시사와 난점 (Comments on Developing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Constructivism)

  • 황혜정;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95-309
    • /
    • 1999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blems with the current mathematics textbook. According to a survey, the following were the findings: Textbook is only a tool-book for introducing mathematical facts. It is a unique book for all students possessing different level of mathematical ability. There is difficulty in teaming math using technological devices and in activating(mental and concrete) manipulative activities. There is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hile doing mathematics. There is lack of defined and developed layout of textbook, et. al. It can be however found that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to some degrees, when mathematics textbook is developed based on constructivism. Recently, in mathematics education, it has been gradually emphasized that constructivism can be powerful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There are however some difficulties in developing mathematics textbooks to reflect constructivism, such as to fill the gap between the contents written in the national curriculum determined in advance and the contents which students construct psychologically or socially in mathematics class.

  • PDF

PJBL기반의 교양컴퓨터 수업의 효과성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based on PJBL of Liberal Arts Computing)

  • 유진아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63-169
    • /
    • 2022
  • Currently, many universities are implementing software-oriented universiti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oriented universities to foster software-oriented manpower. We are educating students to design and produce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ding directly with their major knowledge. However, computer education is not easy for non-majors,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oding. The results of responses from 104 students from the College of Health Sciences and College of Social Management who took the liberal arts computer at University H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version. In the liberal arts computer class for non-majors, a PJBL-based class plan was proposed. The effectiveness of PJBL-based classes was confirmed through a questionnaire for the improv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beral arts courses. As a result, PJBL-based educ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satisfaction, effectiveness, and self-efficiency of classes regardless of major.

PBL을 이용한 컴퓨터공학입문 수업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pplications of Introduction of Computer Engineering Class using PBL)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03-6309
    • /
    • 2014
  • 본 논문은 학생들이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여러 가지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PBL을 교과목에 적용하였다. 공과대학에서 PBL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컴퓨터공학입문' 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1학년 학생 63명이었으며, PBL수업은 15주에 5개의 PBL 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5번째 PBL 문제 활동이 끝난 후에 PBL 활동에 대한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 실제적 경험, 창의문제해결력, 프리젠테이션 스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자신감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L 활동 과정에서 함께 모이는 어려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도출되기도 하였다. 학생들은 이 PBL 학습 활동은 현대 산업 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유능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전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공과 대학 교육의 궁극적인 교육 목표 달성에 큰 시사점을 준다.

PCK 관점에서 예비과학교사의 맥락적 NOS 수업 계획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textualized NOS Lesson Planning from the Perspectiv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김혜린;노태희;김민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21-531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가 계획한 맥락적 NOS 수업을 PCK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서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한 예비과학교사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이 작성한 CoRe와 교수학습 지도안을 수집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적 귀납법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이 학습 목표로 선택한 NOS는 수업 주제보다는 NOS를 가르치는 맥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NOS 학습의 가치를 잘 답변하지 못했다. 모든 예비교사가 학생들이 NOS를 잘 이해하지 못할 것을 우려하였으며, NOS를 과학 내용과 함께 다룬다는 점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이 직접 실험을 하면 오차로 인해 학생들이 NOS를 배우는 데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경험을 근거로 학생들의 NOS에 대한 선개념과 오개념을 추측하였으며, 과학 개념이나 학생의 인지 발달 단계가 NOS 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교수 전략 측면에서 NOS를 가르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NOS를 명시적으로 다루지는 않는 경우가 많았다. 평가전략 측면에서도 수업에서 다루는 NOS를 평가하지 않으려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교육대학과 부설학교 간 협력에 기반한 과학과 학습공동체 운영 사례와 시사점 (A Case Study 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f Teachers in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Collaboration of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Its Affiliated Elementary School)

  • 이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437-451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project to establish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PDS) for teachers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case of runn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of teachers in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collaboration of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its affiliated elementary school, in search of learning by participants and implica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as well as for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s. Teachers and resear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LC were able to accumulate meaningful experiences through 11 rounds of meetings. It was not easy to secure enough time for meetings, but they were able to boost their self-confidence for science teaching and enhance the quality of lessons through these gatherings. Participating teachers had a chance to share instructional design, planning, strategies and practices, which include cases of guiding free-choice research activities among students, thereby to be motivated for improved science teaching for the future. The researcher participating in this PLC was also able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an elementary school, especially the affiliated school, and identify the reality and difficulties related to science teaching in school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PLC are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science teaching in affiliated elementary school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of the university.

초등학생 정보통신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학습자 중심 내러티브 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tudent-Centered Narrative Learning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ethic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

  • 김광열;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9-37
    • /
    • 2008
  • 본 논문은 초등학생들의 정보윤리의식 향상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내러티브 학습자료를 제작하고 효과성을 검증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컴퓨터 및 인터넷의 부정적 영향은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학교 교육에서는 여전히 어려움으로 남아있다. 적절한 교육내용과 방법의 부재가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의 정보통신윤리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학습자들의 생활 경험에 기초한 내러티브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학습과정에서 주어진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과 탐구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내러티브 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정보통신윤리의식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 주었다.

  • PDF

혼합계산을 포함한 분수와 소수의 계산에서 피드백 프로그램의 개발.적용에 대한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eedback Program for Mixed Calculations Involving Fractions and Decimals)

  • 이혜경;김선유;노은환;정상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77-39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분수와 소수의 혼합계산 부분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을 진단하고 오류에 대한 피드백 프로그램을 처방하여, 그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우선 연구할 내용을 7가지 영역으로 층화시키고, 각각의 영역을 오류 진단, 진단에 따른 처방 그리고 분석의 3단계로 결과를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