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engagement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3초

가정교과에 적용한 거꾸로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on Academic Engage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Inter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조희수;장윤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20
    • /
    • 2016
  • 본 연구는 거꾸로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3학년 129명으로 거꾸로 수업의 효과를 타당하게 검증하기 위해 129명의 중학생들을 2개의 집단으로 나우어 9주에 걸쳐 연구를 하였다. 하나의 집단은 강의식 수업으로 13차시를 수업하였고, 다른 집단은 거꾸로 수업을 적용하여 13차시를 수업하였다.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 및 백분율을 구하고,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Cronbach's ${\alpha}$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꾸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수업참여도가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꾸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꾸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사회적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교과는 실천교과로서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실제의 생활에 적용시켜 실천적 문제해결능력, 창의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실천적 태도를 신장시켜 주는 교과이므로 이러한 본 연구의 거꾸로 수업의 효과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교과에 거꾸로 수업을 적용한다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대학생용 학업참여 척도(UWES-S)의 타당화: 학업동기, 참여 및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A Validating Academic Engagement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Engagement, and Satisfaction)

  • 추헌택;손원숙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9권3호
    • /
    • pp.485-50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수행과 성취결과에 주요한 예측변인 중 하나인 학업참여(academic engagement)를 측정하는 UWES-S(Utrecht Work Engagement Scale-Student)(Schaufeli et al., 2002a; 2002b) 척도를 타당화 하고, 학업참여와 학업동기 및 학업 만족도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타당화 표본은 우리나라 대학생들로써, 예비검사 285명, 본검사 366명으로 구성되었고,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UWES-S의 17개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치 검토 및 척도의 요인구조 탐색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문항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등급반응모형에 기반한 문항 특성치를 추정하였다. 셋째, 척도의 내적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외적 타당도 확보를 위해서는 학업동기 및 학업만족 변인을 포함한 구조방정식 모형이 활용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검사의 자료를 활용한 기술통계치 검토 및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구조가 지지되었으며, 4개의 문항이 제거된 최종 13개 문항이 제안되었다. 둘째, 등급반응모형에 의해서 추정된 문항 특성치들을 검토한 결과, 최종 문항의 양호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이었고, 또한 학업참여 척도의 3요인 모형(열정, 헌신, 몰두)은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적타당도 검증 결과, 학업참여는 학업동기와 학업만족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타당화 된 대학생용 UWES-S와 기존에 타당화 된 고등학생용 UWES-S(추헌택, 손원숙, 2011)와의 차이점을 논의하고, 표본별 학업참여 구인의 동등성 검증의 필요성 및 추후 척도 타당화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Cognitive Presence Scale for Measuring Online Learners' Engagement

  • KANG, Myunghee;CHOI, Hyungshi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0권1호
    • /
    • pp.41-57
    • /
    • 2009
  • Cognitive presence, a sense of "being there" cognitively, has recently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students' engagement in e-learning. There is, however, no widely accepted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cognitive presence since most studies have put their effort to set and clarify the conceptual framework with qualitative methodology. This study reviewed existing theories on cognitive presence and related fields extensively and developed a new self-report scale for measuring the conceived level of cognitive prese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was tested against 723 undergraduate students in two consecutive studies, 418 in the preliminary and 305 in the follow-up study. Three major constructs to measure the perceived level of cognitive presence were: 1) clear understanding, 2) knowledge construction, and 3) learning management. This paper reports the final results of the two independent studies.

챗GPT 리터러시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학업자신감과 지각된 학업역량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hatGPT Literacy on Academic Engagement: Focusing on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Confidence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 이은성;전용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565-574
    • /
    • 2024
  • 챗GPT는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는 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챗GPT에 관한 학계 및 사회적 논의는 주로 표절과 같은 부정행위에 초점이 맞춰져있으며, 학생들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와 더불어, 코로나 시대의 교육 위기 속에서 학업열의를 증진시키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우리는 학생들의 챗GPT 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학업열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업 자신감 및 지각된 학업역량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 40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SPSS로 분석했다. 그 결과, 챗GPT 리터러시는 학업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학업자신감은 챗GPT 리터러시와 학업열의 사이를 매개했다. 또한 학업자신감과 지각된 학업역량은 이중으로 매개되었을 때 유의한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챗GPT 리터러시와 학업열의 사이의 이론적 매커니즘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다는 이론적 함의를 논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챗GPT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실용적 함의에 대해도 기술하였다.

전공 영어강의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Variables Affecting on Learners' Satisfaction and Effects of EMI)

  • 진성희;김학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3호
    • /
    • pp.10-19
    • /
    • 2013
  • Recently, Korean universities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lectures in order to allow students to gain both specialized knowledge and enhanced English ability. Previous researches on effective EMI lectures have focused on exploring the effects of learners'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learning outcomes. Whereas the input variables of learning have been investigated as predicting variables of effects in EMI lectures, there has been a few research for investigating process variables to yield learning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ffecting on learner satisfaction and effects. The participants are 209 engineering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Independent variables are defined as English motivation, English competency, and English confidence, a mediated variable is Cognitive engagement, and dependent variables are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arners' English competency & English confidence ${\rightarrow}$ Cognitive engagement ${\rightarrow}$ Learning satisfaction ${\rightarrow}$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Especially, the structural model confirms that the effect of learners' English confid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 perception is mediated by the level of learners' Cognitive engagement. Further, the implication for effective EMI lectures is discussed based on the observed research results.

온라인 학습에서 의과대학생의 동기조절 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인지학습과 학습몰입 간 관계 분석 (Latent Profile Analysis of Medical Students' Use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for Online Learning)

  • 윤헌철;김선;정은경
    • 의학교육논단
    • /
    • 제23권2호
    • /
    • pp.118-127
    • /
    • 2021
  • Due to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the new norm of online learning has been recognized as core to medical institutions for academic continuity, and students are expected to be motivated and engaged in learning while maintaining distance from other peers and educators. To facilitate students' and educators' newly defined roles in online medical education setting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how students are actively motivated and engaged in learning. Hence, this study explored medical students' motivational regulation profile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MRS) on cognitive learning and learning engagement for online learning. Data were collected after the end of the first semester in 2020 from a sample of 334 medical students enrolled at a public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Latent profile analysis indicated three subgroups with different motivational regulation profiles: the low-profile, medium-profile, and high-profile groups. Regarding different MRS patterns in the high-profile group, mastery self-talk, performance approach self-talk, and the self-consequating strategy appeared to be most applicable for regulating learners' motivation.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the profile groups with higher levels of MRS use were connected to a higher willingness to use 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and a higher degree of engagement in online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use of specific sets of MRS to support learning motivation and the need to design effective self-regulated learning environments in online medical education settings.

교수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의 학습몰입, 학과동일시 및 학교를 위한 시민행동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Profes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th the Students' Departmental Identification, Study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o School)

  • 정택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83-596
    • /
    • 2012
  • 교수의 변혁적 리더십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학생 차원의 성과에 초점을 두고 있어 학과와 학교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수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생과 학과 및 학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학생차원의 성과는 학습몰입을, 학과차원의 성과는 학생의 학과동일시를 학교차원의 성과로 학생의 학교를 위한 조직시민행동을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과 직간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함으로 본 연구에서도 학습몰입과 학과동일시를 매개변인으로 사용하여 간접적인 관계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학습몰입, 학과동일시 및 학교를 위한 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과동일시는 학교를 위한 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나 학습몰입과 시민행동 간의 긍정적인 관계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학과동일시는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에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학생과 학과 및 학교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체육 수업장면에서 학생들을 대하는 교사의 태도와 학업열의 및 과제해결행동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eachers' Attitudes toward Students and Academic Engagement and Task-Solving Behavior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김승용;임현묵;송기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49-25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태도와 학업열의, 과제해결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5곳의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34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전체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태도는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열의는 도움요청행동에 정적으로 자기핸디캡행동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태도는 도움요청행동에 정적으로 자기핸디캡행동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태도와 과제해결행동의 관계에서 학업열의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결과기대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utcome Expectancy and Academic Engagement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김승용;송기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03-30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상황에서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결과기대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4곳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42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전체연구 단위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근접성은 결과기대와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 영향력은 결과기대와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결과기대는 학업열의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근접성과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결과기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관한 연구: 직무요구-자원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Study on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Highschool Students: Apply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 조수현;이민영;이장희;이상민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1-26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요구와 학업자원이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요구-자원 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을 바탕으로 학업 장면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이에 서울, 인천, 경지 소재의 정규 교과과정 중에 있는 8개의 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총 9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요구, 학업자원,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노력, 학업과몰입, 교사압력으로 구성된 학업요구는 학업소진과 학업열의 모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보상, 또래지지, 교사 자율성지지, 부모 학업적지지로 구성된 학업자원은 학업소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학업장면에서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에 대한 한계를 포함하여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