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class satisfaction

검색결과 741건 처리시간 0.022초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에 근거한 공과대학 수업개선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Improvable Proposal of Instruction for College of Engineering based on Analyzing learners' needs and satisfaction)

  • 민혜리;홍성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38-45
    • /
    • 2009
  • 이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도와 만족도의 차이 및 전체 대학과 공과대학의 학생의 수업만족도 차이에 근거하여 공과대학 수업개선 전략을 탐색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학 전체와 공과대학 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은 전반적인 교육만족도에 있어 수업 자체에 대한 만족도 보다 시설, 설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업외적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나 실제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요구도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실제 수업에 대한 관심을 더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항목별 만족도에 있어서는 과제와 시험의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대학과 비교할 때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수업진행 속도와 과제부담에 있어서는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호 전공 대학생의 무도학습 참여양식이 전공만족도 및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Style of Martial Art Classes in Students Majoring in Guard on Both Major Satisfaction and Adapt to School Life)

  • 권창기;한승훈;김병찬;최봉준;이권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41호
    • /
    • pp.97-121
    • /
    • 2014
  • 이 연구는 경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도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을 파악하여 이러한 특성이 전공 만족도와 대학 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경호학 전공 남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285명을 대상으로 무도학습 참여양식,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적응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무도학습 양식이 전공 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무도학습 참여 양식의 하위요인 협동적, 참여적 양식이 전공만족도의 일반만족,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도학습 참여 양식은 하위요인인 협동적, 경쟁적, 참여적 양식이 학교생활적응의 학업적, 사회적, 대학 환경적 적응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일반만족이 대학생활적응의 학업적응, 사회적 적응, 대학 환경적 적응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면/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학습만족도(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A Learning Satisfaction in face-to-face/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of New Dental Hygiene Students)

  • 신애리;심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804-813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방법에 따른 학습만족도에 대한 연구로 신입생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G대학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수업적 특성, 수업방법,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학생들이 선택한 효율적인 실기수업방법은 대면수업이었고 수업선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술기능력향상을 위해 선호하는 실습수업방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의 전체학습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업 중의 점검과 선택한 수업방법의 편리성 항목에서 대면수업이 유의하게 높은 학습만족도를 나타냈다. 또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대면수업선택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신입생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실습수업 계획 시 대면수업이 필수적으로 포함된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Cyber Space

  • Yum, Ji-Hwan;Park, Byoung-Jin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3-565
    • /
    • 2005
  • The new paradigm of education in the cyber space is not limited by time or locations. The students do not need to attend classroom physically and simultaneously. This study tries to probe the relationships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nd instructional variables with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management class in a cyber universit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demographic variables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students' satisfaction. Rather instructional variables such as personal interactions with professors, job related contents and careful reduction of difficulties countered during the class proceeding are mo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 shows the newly emerged internet based education system requires in-depth cooperation among professors, system engineers, education instrument designers, and students.

  • PDF

경호학과 학생들의 전공수업만족도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ass Satisfaction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s on Career Decision Efficacy)

  • 백경화;지치환
    • 시큐리티연구
    • /
    • 제21호
    • /
    • pp.19-33
    • /
    • 2009
  • 본 연구는 경호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수업만족도가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전공수업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전공수업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학습요인, 대인관계, 적성요인, 진로요인, 진로 결정 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미래계획, 목표해결, 직업정보, 문제해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 학교와 학년에 따른 전공수업만족도와 진로 결정 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전공수업 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학습요인, 대인관계, 적성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수업만족이 미래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학습요인, 적성요인, 진로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수업만족이 목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학습요인, 적성요인이 목표해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공수업만족이 직업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적성요인, 진로요인이 직업정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공수업만족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수업만족도의 진로요인이 문제해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자유글쓰기(Free Writing)를 활용한 이공계 글쓰기 수업의 효과 (Effect of Free Writing on Engineering and Science Writing)

  • 김혜경;최원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48-54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ree writing in writing class targeted for engineering students on their writing skills. To assess the effects, we have asked 100 engineering students from writing class to write free writing, classifying them as the test group(N=50) and the control group(N=50). We have also compared their learning effect, their writ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via pre and post intervention surveys. The results showed higher change in learning effect, interest in writing, learning attitude, writing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tes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positive change proves that free writing is a significant teaching method in writing class for engineering and science students.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es on Class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fter COVID-19

  • Kim, Young-S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65-172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온라인수업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K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n=133)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형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성취동기, 상호작용,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가 수업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자기조절학습은 성취동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조절학습, 성취동기 및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비대면 온라인수업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대면수업과 온라인수업에 따른 수업 만족도와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관계: K 대학 치기공학과 전공과목을 대상으로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with in person and on-line classes: focused on the major classes of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ician of K university)

  • 권순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32-143
    • /
    • 2022
  • Purpose: The study aims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regarding in-person and online classes. It also aims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the improvement of major subject class methods that will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ereby affecting their class satisfaction. Methods: In this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rom November 8 to November 30, 2021, for 256 dental technolog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 21.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ost-hoc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e attitude of the learners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positive (+) correlation in both in-person and online classes,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p<0.001) on class satisfaction in major subject classes. Moreov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52.2% and 39.7%, respectively. Conclusion: We concluded from the study that there is a need for professors to improve teaching methods to increas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discussion learning, team-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nd mentor-mentee learning, thereby enabling learners to lead classes themselves.

예비 임상병리사의 실무중심 교육의 강화를 위한 병원-학교 검사실 융합형(L2L)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L2L Teaching Model" Integrating a Hospital to School Laboratory to Strengthen Practical Education for Preliminary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

  • 홍승복;정수하;신인수;윤영배;유영오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64-169
    • /
    • 2018
  •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s to strengthen practical education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es of students is now required in recent education situ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classes after applying a teaching model-integrated hospital and school laboratory (named L2L). A total of 33 students who took the subject of a clinical microbiology experimen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Each group representative participating in a pre-class field exercise in the hospital microbiology laboratory was asked to conduct the experiment. After applying the L2L teaching models, the academic self-efficacy ($2.87{\pm}0.58{\rightarrow}3.38{\pm}0.55$), class participation ($2.60{\pm}0.92{\rightarrow}3.62{\pm}0.78$), and class satisfaction ($2.48{\pm}1.01{\rightarrow}3.85{\pm}0.87$)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This means that pre-class field exercises created interest in the student's class and boosted self-confidence, leading to increased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for the class. In conclusion, the L2L teaching model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enhance the practical training for preliminary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액션러닝 기반 건강사정 수업 운영의 간호대학생의 건강사정에 대한 자신감, 건강사정 지식, 비판적 사고능력, 수업 만족도에 대한 효과 (Effects of Action Learning Based Health Assessment Class on Nursing Students' Self-confidence and Knowledge of Health Assess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Class Satisfaction)

  • 김묘경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9-26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action learning approach on the self-confidence and knowledge of health assess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class satisfaction in students taking health assessment courses. Methods: Th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enrolled 127 nursing students as participants, with 64 and 63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se two groups attended 33 hours (2 or 4 hours per week for 11 weeks) of action learning and traditional classes, respectively.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using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action learning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self-confidence in health assessment (t=5.10, p<.001)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t=2.23, p=.027)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of health assessment or class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ction learning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enhancing self-confidence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nursing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