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em extracts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구절초의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 정해정;전인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39-745
    • /
    • 2011
  • 실험에서는 구절초를 꽃, 잎 줄기, 뿌리 등의 부위별로 구분하여 메탄올로 추출하고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소거능, 철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 환원력 등을 측정하였다. 추출 수율은 꽃이 가장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뿌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꽃과 잎 줄기가 뿌리보다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도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꽃 부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DPPH나 ABTS radical 소거활성보다는 다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철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꽃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뿌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환원력은 꽃과 잎 줄기에서 높게 나타났고 뿌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구절초 꽃이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잎 줄기가 활성을 보임으로써 향후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시시되었다.

능소화 잎 및 줄기 추출물의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I 억제활성 (Inhibitory Effects of Campsis grandiflora on HIV-1 reverse Transcriptase, HIV-1 Protease and α-glucosidase)

  • 유영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9-175
    • /
    • 2012
  • 능소화 추출물의 HIV-1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복제 관련 효소에 대한 억제실험과 바이러스 복제억제 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역전사효소 억제활성을 ELOSA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능소화 줄기의 물 추출물이 100 ${\mu}g$/ml 농도에서 각각 37.9%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능소화 잎과 줄기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33.6% 및 31.5%의 HIV-1 protease 억제활성 나타 내었다. 그리고 HIV-1 복제 억제활성은 MT-4 세포에 대한 HIV-1 유도 세포변성억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살펴본 결과 줄기의 물 추출물이 100 ${\mu}g$/ml 농도에서 HIV-1 바이러스 증식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큰잎모자반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Sargassum coreanum Root and Stem Extracts)

  • 박지혜;배난영;박선희;김민지;김꽃봉우리;최정수;안동현
    • KSBB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155-160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in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root and stem of Sargassum coreanum.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total polyph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helating effect, reducing power, and rancimat metho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32.79 mg/g and 15.55 mg/g, respectively.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water extract and similar activity to BHT. Reducing power of extracts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ethanol extract had more reducing power than water extract. Ethanol and water extracts have little chelating effect at all concentrations. Antioxidant index (AI) of ethanol extract measured by Rancimat was higher than that of water extract, but their AI was lower than that of BH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thanol extract of S. coreanum root and stem has more potent antioxidant activity than water extract through DPPH radical scavenging and reducing power, and could potentially be used as a good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Anticonvulsant potential of callus cultures of Convolvulus microphyllus Sieb.

  • Ahmad, Sayeed;Zafar, Rasheed-Uz;Shahid, Mohd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7권1호
    • /
    • pp.46-50
    • /
    • 2007
  • Callus cultures of Convolvulus microphyllus Sieb. was induced on Murashige and Skoog's medium supplemented with 2,4-dichloro phenoxy acetic acid, 6-benzyl adenine, indole acetic acid and kinetin (1 ppm each). Methanolic extracts of whole plant, leaf, stem and leaf and stem calli were tested for anticonvulsant activity against standard drug phenytoin using maximal electroshock model on mice. It was observed that the animals treated with methanolic extracts of stem callus, leaf callus and whole plant (200 mg/kg, oral) showed significant protection against tonic convulsions induced by transcorneal electroshock. Anticonvuls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stem callus was comparable to that of standard drug phenytoin.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생리활성 검정 (Antimicrobial Activities, Antioxidant Effect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xtracts of Prickly Pear, Opuntia ficus indica)

  • 조인경;서경순;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53-958
    • /
    • 2009
  • 신안산 손바닥선인장 butanol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이 10균주 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부위별 항균활성은 줄기 추출물이 열매 추출물 보다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손바닥선인장의 butanol 추출물의 최소저해 농도는 세균은 100 mg/mL 이었고, 효모와 젖산균은 500 mg/mL이었다.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열 안정성은 $100^{\circ}C$에서 30분 가열시에도 항균활성이 거의 감소되지 않아 열에 안정한 물질로 확인 되었다. 손바닥선인장 butanol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활성 물질의 pH 안정성은 산성인 pH 3과 알칼리인 pH 9 에서도 항균활성이 감소되지 않아 산과 알칼리에서도 안정한 물질로 확인되었다. 손바닥선인장의 추출물별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열매와 줄기 모두 water, methanol, butanol, ethyl-acetate 및 diethylether 순으로 나타냈고, 시료 부위별로는 줄기가 열매에 비해 항산화성 활성이 높게 나타냈다. 손바닥선인장의 폴리페놀함량은 열매가 520.57 mg%로 줄기 203.26 mg% 보다 2배정도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이 구강미생물의 생육과 바이오필름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Diospyros malabarica Stems on Growth and Biofilm Formation of Oral Bacteria)

  • 김혜수;권현숙;김철환;이상우;콩마니 시다래;조수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0-115
    • /
    • 2018
  • 본 연구는 천연물유래 구강건강소재로써 약용작물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네팔, 라오스, 몽골, 방글라데시, 베트남, 중국 등지에 자생하는 200여 종의 약용작물로부터 추출한 메탄올 추출물 중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1 mg/disc)이 P. gingivalis ATCC33277와 S. mutans ATCC25175에 대해 가장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구로 사용한 chlorhexidine, sodium lauryl sulfate, triclosan과 유사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은 P. gingivalis ATCC33277에 비해 S. mutans ATCC25175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 gingivalis ATCC33277에 대해서는 살균작용(MBC, 0.4 mg/ml)을, S. mutans ATCC25175에 대해서는 정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이 0.2-1.0 mg/ml 농도로 처리된 배양액에서 S. mutans ATCC25175의 바이오필름 생성율과 바이오필름 생성관련 유전자 comX의 발현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인도감나무 줄기 추출물은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 mutans ATCC25175에 대한 정균작용과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천연물유래 구강건강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SSAY OF POTENTIAL ANTIMUTAGENICITY OF ETHNIC MEDICINAL PLANT EXTRACTS OF PAPUA NEW GUINEA BY USING SOS CHROMOTEST (E. coLi PQ 37)

  • K. Sundarrao;Jeho Yum;Chang, Il-M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51-155
    • /
    • 1991
  • Thirty six crude drug samples have been prepared from different parts of twenty five plants belonging to different families, and antimutangenic activities were studied by using SOS chromotest (E. coli PQ 37). The following crude extracts of PNG medicinal plants which had a appreciable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mitomycin C were: Artocarpus communis (stem bark), Cycas circinalis (leaves), Merremia peltata (leaves), Intsia palembanica (leaves), Annona muricata (stem bark), and Artocarpus altilis (root bark).

  • PDF

기능성 바이오소재 활용을 위한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 추출물의 생리활성 평가 (Bioefficacy Evaluation of Non-edible Parts of Aronia melanocarpa for the Use of Functional Biomaterials)

  • 김혜림;이은지;채희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89-95
    • /
    • 2020
  • 아로니아 비가식 부위(잎, 송이가지, 가지)를 바이오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잎과 가지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매와 송이가지 추출물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냈고, 아로니아의 부위별 항산화능(DPPH 래디컬과 ABTS 래디컬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 열수추출물과 메탄올추출물 두 경우에서 가지, 잎, 열매, 송이가지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을 평가한 결과, 열수추출물은 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의 순으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메탄올추출물의 경우 가지, 잎, 열매, 송이가지의 순으로 저해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Nitric oxide 저해활성은 열수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 두 경우에서 열매, 잎, 가지, 송이가지의 순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아로니아 가지와 잎은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화장품 등의 바이오 헬스케어 제품의 기능성 바이오소재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lective in vitro cytotoxicity of Hypericum hookerianum towards cancer cell lines

  • P., Vijayan;S., Vinod Kumar;Badami, Shrishailappa;PK, Mukherjee;SA, Dhanaraj;B., Suresh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3호
    • /
    • pp.141-146
    • /
    • 2003
  •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aerial parts, leaves and stem of Hypericum hookerianum were tested for in vitro cytotoxicity on selected normal and cancer cell lines and anti tumor activity using DLA cells. Cell viability and morphological changes were assessed. Among the three extracts tested, the stem extract of Hypericum hookerianum showed potent cytotoxicity against HEp-2 and RD cell lines. The $CTC_{50}$(concentration required to reduce viability by 50%) of this extract was found to be $2.02\;{\mu}g/ml$ for RD cell line, $10.25\;{\mu}g/ml$ for HEp-2 cell line and $100.06\;{\mu}g/ml$ for Vero cell line. In the clonogenic assay, no colony formation was observed up to a concentration of $100\;{\mu}g/ml$. In the short term cytotoxicity studies using DLA cells, 50% viability was observe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50-100\;{\mu}g/ml$ for aerial parts, $100-200\;{\mu}g/ml$ for stem and more than $200\;{\mu}g/ml$ for leaf extracts of Hypericum hookerianum. In the long-term activity using HEp-2 cell line, no colony formation was observed over a concentration of 200 mg/ml for the stem extract. Hypericum hookerianum stem extract was fractionated into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methanol soluble fractions. The petroleum ether and chloroform soluble fractions showed higher cytotoxic activity against HEp-2 cell line when compared to the other two fractions. The methanol stem extract of Hypericum hookerianum has the potential for further investigation in animal models to determine its anti-tumor activity and to identify its active principles.

목화 부위별 추출물의 암 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 (Inhibitive Effects of Cotton Plant Sectional Extracts in Cancer Cell Lines)

  • 문경일;김형우;정현우;조수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2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hibitive effects of cotton plant sectional extracts in cancer cell lines, Calu-6(human, Caucasian, lung, adenocarcinoma) and MCF-7(human, Caucasian, breast, adenocarcinoma). The incidence of cancer has been increasing even in korea due to the change of dietary life and westernization and becoming conspicuous as the disease threatening health. But cancer treatment have not been fully effective against the high incidence or low survival rate of most cancer. Methods : Calu-6 and MCF-7 cells were cultured and seeded in cell culture plates, respectively. And sectional extracts of cotton plant were treated to MCF-7 cells. Results and Conclusion : Sectional extracts of cotton plant showed no anti-proliferative effect on MCF-7 cells, but root and stem extracts showed strong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Calu-6 cells. Fruit, leaf and flower extracts also showed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Calu-6 cells but not so much like root and stem extracts. But seed extract showed no anti-proliferative effect on Calu-6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