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방안 (A Study on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 이영환;서현아;윤정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09-342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국가수준 보육과정의 발전과정과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보육목표와 내용 분석을 통하여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의의를 살펴보고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는 국가수준 보육과정으로서, 표준보육과정이 2007년 제정, 공포되어 그동안 보육의 질 향상에 긍정적 역할을 해 왔으며, 2011년 5세 누리과정, 2012년 제2차 표준보육과정 개정, 3-4세 누리과정 제정 및 5세 누리과정 개정, 2013년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개정에 이르기 까지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은 어린이집을 다니는 영유아가 0-1세 보육과정, 2세 보육과정, 3-5세 보육과정(누리과정)의 연계적인 보육과정으로서 구성함으로써 0~5세 영유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의 특성을 반영하였다. 2013년 현재까지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07년 표준보육과정 보급 이전의 연구는 대부분 표준보육과정의 필요성과 그 내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표준보육과정 보급 이후 보육현장에서 표준보육과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어느 정도 적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 표준보육과정의 활용도를 높이고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3-5세 보육과정(누리과정)의 연령별 구성에 대한 연구와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초등교육과정의 실천적 연계를 위한 노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영아보육과정의 연구동향 및 운영실태 관련 연구 분석: 제3차 표준보육과정 시행 이후 연구를 바탕으로 (Research Analysis Related to Research Trend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Based on Research After the 3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 김세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7
    • /
    • 2021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research in relation to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and then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 about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Methods: The analytic data utilized in this research contains a total of 45 research results about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Results: First, the research methods were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Regarding research topics,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and contents and programs of Childcare Curriculum received high attention. Second, while, childcare teachers showed an awareness of the Childcare Curriculum, they made few effort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it in depth. It was reported that a lack of multiple support systems would serve as an obstacle to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Conclusion/Implications: There is a need for childcare centers, academic circles and the government to pay an even greater deal of attention to the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In addition, structural and policy support is required, such as revitalizing case-based teacher training, lowering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for infant teachers.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편성·운영 실태 (Recogni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Thi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rer)

  • 김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89-396
    • /
    • 2016
  • 본 연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적용과 운영의 실제 변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보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의 인식, 편성 운영 실태는 어떠한지와 영역별 실행정도는 어떠한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및 편성 운영 실태에 관한 질문지를 구성하고 경상남도의 보육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총 3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67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들은 대체로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적절히 편성 및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모두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을 영역별로 실행하고 있었지만 영역별 실행도는 차이가 있었다.

미술의 요소와 원리에 근거한 만 2세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미술활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Fine Arts Activities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Guidebook(for 2 years) for Teachers Based on the Elements and Principle of Fine Arts)

  • 김순희;이순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3-83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fine arts were reflected in art related activities in the teacher's manual on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a period of 2 years. Methods: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elements of fine art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based on Kim and Gang(2011) and the same was done for the principles of fine arts based on Lee et al(2015).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contents according to life theme in art related activities, 'artistic expression' appeared the most in all nine life them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related contents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2 years based on the elements of fine arts, plane, texture, shape, color, volume, line, spot, space, composition, light and shade appeared in ord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related contents on the principles of fine arts, movement, emphasis, variety, unity, rhythm, proportion, balance and pattern appeared in ord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childcare activities have to be devoloped in order to provide the balanced experiences with fine arts activities.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실제 (Toddler Teachers'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the 3rd Standard Educare Curriculum)

  • 김지영;김동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8-32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변인에 따라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인식과 적용 실제를 조사하고,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의 내용 이해도와 적용 실제 간에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2세를 담당하는 영아교사 205명이다. 연구도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제작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 F검증, Duncan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은 높으며, 특히 영아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적용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표준 보육과정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적용 실제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 현황 분석 및 발전 방향 고찰 (Consideration of Policy on Qualifi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of Childcare Center Staff for Improving Educare Quality)

  • 김의향;박진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9-145
    • /
    • 2018
  •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의 질 확보를 위한 보육교직원 자격과 재교육 정책을 고찰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보육교직원 관련 정책 및 관련법에 대한 각종 자료와 문헌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보육교직원 자격기준에 대해서는 철학적, 발달심리학적, 사회적 배경의 논리적, 합리적 근거에 의한 법 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보육관련 교과목 및 학점 기준, 보육관련 교과목영역 선정과 필수교과목 지정에 대한 명확한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이수 교과목 영역 조정과 필수, 선택교과목 조정과 일부 교과목의 명칭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NCS(국가직무능력 표준) 보육 분야의 직무능력 수준도 고려하여 교과목을 선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밝혔다. 다섯째, 원장의 자격기준 요건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여섯째, 유보 격차 해소를 위해 보육교사, 유치원교사 통합형 영유아교사 양성체제가 필요하다. 보육교직원 역량 강화와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보수교육 대상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운영체계 및 전산 체계화가 필요하다. 보수교육 운영 주체의 다양화, 보수교육 내용의 정기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보수교육 행재정적 지원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보수교육의 자발적 참여, 정부와 부모가 지원하는 보육교직원 전문성 계발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문화센터 프로그램 실태와 교육내용 분석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Curriculum Analysis of the Preschool Private Education Program of Cultural Centers)

  • 이영주;길효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3-289
    • /
    • 2013
  • 본 연구는 학부모들의 보육기관 특별활동 프로그램 구성 요구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영유아 자녀를 가진 학부모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사교육의 형태인 문화센터 프로그램의 전국적인 개설 현황 실태와 주된 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실태 조사는 전국에 점포를 가진 대형할인점, 백화점의 문화센터 8개소 총 300개 문화센터의 영유아 대상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내용분석은 가장 많은 프로그램을 가진 문화센터 3곳의 400개 영유아 프로그램의 강의계획안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분석기준은 영아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유아는 누리교육과정의 영역과 내용범주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태 분석 결과, 영아용 프로그램은 총 12,286개로 나타났으며 종합, 신체운동, 예술경험의 음악 이 순서대로 나타났다. 유아용 프로그램은 15,310개였으며 신체운동 건강, 예술경험의 미술, 자연탐구의 수, 조작 순서로 많이 나타났다. 프로그램 내용을 내용범주를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영아는 신체운동 영역의 '신체활동 참여하기', 유아용 프로그램은 예술경험 영역의 '예술적 표현하기' 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기관의 특별활동 프로그램 구성에 영아의 경우, 신체 활동 참여를, 유아의 경우 예술적 표현이 많이 나타나는 프로그램을 학부모들이 요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Childcare Practice Satisfaction)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30-53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들이 지각한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이 보육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신뢰도 검증과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다면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하여 첫째,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에서는 보육실습 스트레스 내용과 실습환경이,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은 유아와의 갈등과 자신과의 갈등이, 보육실습 만족도에서는 실습교과 및 실습지도와 실습환경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 보육실습 만족도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보육교사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의 하위요인이 보육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보육전공 학생들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보육실습 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을 덜 경험하도록 하는 철저한 실습전 교육 및 현장 직무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보육실습 만족도가 향상되도록 효과적인 방안 모색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실행 간의 차이 누리과정 해설서, 교사용 지침서를 중심으로 (Early Childhood Teachers's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 박미정;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49-272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구성과 5개 영역의 세부내용에 대한 인식 및 실행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의 누리과정 담임교사 318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와 교사용 지침서를 기초로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실행의 경향성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실행 간의 차이는 누리과정 구성 및 5개 영역의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의 경향성이 실행의 경향성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누리과정을 실천하는 유아교사들의 교사연수 방향이 5개 영역별로 좀 더 다양하게 지원되어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가온반의 하루일과를 통해 본 교재·교구의 의미 (Meaning of instruc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daily work of class Kaon)

  • 김경철;고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42-649
    • /
    • 2016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의 하루일과를 관찰함으로써 교재 교구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 지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및 보육 교재교구 인증평가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는 질적 연구이다. 교재 교구가 영아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구체적으로 알기 위하여 문화기술지 방법을 택하였다. 특히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영역별 교재교구를 활용한 활동 뿐 아니라, 식사 시간, 낮잠시간, 및 바깥놀이까지 포함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어린이집을 방문하여 참여관찰과 교사면담, 현장노트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영아의 특성상 언어적 표현 뿐 아니라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관찰이 필요할 경우 이를 보다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캠코더 촬영도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자의 관찰기록노트, 교사 면담자료, 표준보육과정 지침서, 어린이집 연간 및 주간보육계획안, 보육과정 평가서 등의 각종 문헌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류하고 유목화하는 귀납적 분석 방법으로 자료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영아들에게 교재교구는 첫째, '맞이하고 놀아주는 내 친구', 둘째, '포근한 나의 보금자리' 셋째, ' 또 한분의 선생님' 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이를 토대로 보육시설의 영아용 교재 교구의 비치 기준안을 재정립할 것과 추후 교재 교구 인증평가 시, 영아들이 사용하는 교재 교구의 대상을 비품형 교재 교구까지 폭넓게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