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patial thinking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85초

뇌파검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 과학영재 판별 지수(G-Index) 개발과 적용 (New index for the gifted students(G-Index) with EEG analysis)

  • 김경화;김규한;이선길;허명;김용진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67-84
    • /
    • 2005
  • 과학영재 판별의 대안적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찾아보기 위하여 영재 집단과 일반 집단의 뇌파검사를 실시하였다. 뇌파의 주성분 공간분석법인 PCA분석 자료의 집단별 차이점을 이용하여 과학영재 판별지수(Gifted Index: G-Index)를 개발하고 과학영재 판별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보았더니 76% 수준에서의 판별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 과학영재 판별이 가능한 기타 판별도구 성취도들 간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는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한 영재 판별 확률식을 제안하면 $$P=\frac 1{1+e^{-[-0.018(TTCT)+0.057(IQ)+1.916(FASP)+0.682(V.T)+0.088(Exp.)+0.034(G-Index)-57.510]}}$$와 같고 이 회귀분석식을 적용한 결과 영재 집단 내에서의 판별 가능성이 95% 수준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과학영재 판별의 대안적 도구로서의 뇌파검사와 G-Index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고학생과 외국어고학생의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 분석 (Brain Activity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e Intelligence Task)

  • 조선희;최유용;이건호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17-3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학생(n=8)과 외국어고학생(n=5)을 대상으로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을 분석하였다. 두 집단은 지능점수가 상위 1% 안에 드는 높은 지능을 지닌 학생들이었다(과학고집단: RAPM 평균점수=34.0, WAIS 평균 IQ=139.6; 외국어고집단: RAPM 평균점수=33.8, WAIS 평균 IQ=147.2). 분석결과 두 집단은 지능과제 수행 시 공통적으로 좌측과 우측의 전두엽, 두정엽, 전대상피질에서 활동성을 보였다. 과학고집단은 도형 작업기억과 관련된 우측 두정엽에서 가장 높은 활동성을 보인 반면, 외국어고집단은 언어 작업기억과 관련된 좌측 전두엽에서 가장 높은 활동성을 보였다. 두 집단 간의 뇌활동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어고집단은 과학고집단에 비해 혀와 입술의 운동과 관련된 좌측 중심전이랑에서 높은 활동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능과제 수행 시 과학고학생은 도형 관련 영역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반면, 외국어고학생은 언어 관련 영역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동일과제임에도 불구하고 관여하는 주 사고체계가 영재성을 보이는 분야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조선과 일본에 사는 시인 김시종 - 장편시집 『니이가타』에 표현된 '재일'의 의미 (The Poet Kim Shi-Jong living in both Joseon and Japan: the Meaning of 'Zainichi' Expressed in Epic Poem Niigata)

  • 김계자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7-32
    • /
    • 2016
  • 이 논문은 재일코리언 김시종의 장편시집 "니이가타"의 표현을 고찰해 식민 이후와 분단의 시대를 살아가는 '재일'의 의미를 생각해본 것이다. "니이가타"는 1959년에 니이가타 항에서 재일코리언이 북한으로 귀국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제주 4.3사건 이후 정부 당국에 쫓겨 1949년에 일본으로 건너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재일의 삶을 살고 있는 김시종의 '재일'에 대한 적극적인 의미 표명을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는 시집이다. 김시종은 스스로를 재일 2세로 정위하고 일본사회 속에서 현실적이고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길을 모색해왔다. 그는 남북 분단의 현장이며 38도 선의 연장선상에 있는 니이가타에서 조국에서는 넘을 수 없었던 분단을 넘는 상상을 한다. 이는 재일의 삶을 살고 있기에 가능한 공간 확장의 상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니이가타"는 '재일'이 한국과 일본 사이에 끼어 정체성의 불안을 느끼는 네거티브한 존재가 더 이상 아니라, 한국과 북한, 그리고 일본을 모두 포괄하며 이들을 새로운 의미로 관련지을 수 있는 존재임을 보여주고 있다. 식민과 분단의 어두운 기억 속에서 살던 자아를 깨워 새로운 공간의 상상력을 펼침으로써 남북을 총칭하는 '조선'과 일본을 아우르는 지점에서 재일을 사는 의미를 찾고자 한 시인의 적극적 의지 표명을 읽어낼 수 있다.

현상학적 지각체계에 의한 정위와 사건의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Orientation and the Event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cognitive system)

  • 변대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8-77
    • /
    • 2012
  • Appreciating the aspect of modem architecture requires not only the comprehension of the nature of design and architects' ways of thinking and expression but also observers' views on buildings and their perceptive/cognitive stages. This calls for an in-depth study on the "system of phenomenological perceptions" that works as a new architectural experience system. The system of phenomenological perceptions makes it possible to specify the individual process of understanding architecture, that is, hands-on experiences, participations, feelings, perceptions, and cognition. The value of user experience and cognition has been emphasized by philosophical and aesthetical concepts as well. Therefore, in order to better appreciate the modern architecture,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consideration to "orientation and event" that are crucial elements in understanding a phenomenological view and materializing actual space formation. This offers the cognitive system with which we analyze modem architecture and comprehensive expressional methods. In other words, this study contemplates the system of phenomenological perceptions from an existential spatial perspective by structurizing the system of the orientation and the event in order to segmentalize users' current locations, potential directions, the relations with spaces, continual vie'wpoints as well as buildings' functions and interior and exterior division. The system of phenomenological perceptions helps understand and systemize modern architecture through a system based on relations between sensation, perception, cognition, sensitivity, and rationality. This creates a new cognitive system employing the concept of the orientation and the event, which is different from a normal cognitive system basing on the sense of vision. When observers appreciate space, they tend to relate the space to a certain event and to remember their experiences in it. During the process, they draw borders of the space in which the event takes place and give shape to their experiences including actions, movements, cognition and sensation. The process leads to the formation of "placeness," and here, the concept of the orientation comes in as the location and the center of the placeness. This study proves that a determined orientation coupled with individual experience and events settles the place ness; detailed elements in the cognitive system have close relations with one another; the orientation, actions, events, and places are the factors that materialize observers' architectural experience.

  • PDF

고등학생들의 지형 형성과 지질학적 시간 개념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n Landscape Formation and Geological Time)

  • 이용규;한신;정진우;박태윤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2-345
    • /
    • 2015
  • Earth science is the study to explore the planet in which we live. Among these earth science geology of the area it can be the most critical and important study. However, because of the size and scope is too broad temporal spatial eurona covered in geology is true that many students find difficult about the geology field. In this study, in conjunction with landscape formation of geologic time for the concept to be among the core areas of Geology examined the concept and recognize it as the destin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Is a test tool for the analysis was adapted for use by Jolley (2010) has developed LIFT (The Landscape Identification and Formation Test). Currently we fix the strip to match the country through a validity check of the curriculum.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bility to check the landscape and formation is expected to estimate the time and the liberal arts students was higher than the natural science students. The reason for this seems to be the influence of learning geographical subjects. Second, the concept of geological time was found to lack both natural science and liberal arts students. The reason is that the students in the previous process because it deals with the concept of geologic time from the top of Earth Science Education II seems to be because there was no chance of learning about geological time. Third, the results confirm the confidence of the students surveyed in the landscape formation time natural science students was higher than liberal arts students. The research measured gender boys higher than girls. Fourth, the students on the landscape and geological time was found to have a number of misconceptions. This appears to be due to the students to feel difficulty in thinking of the concept because the need to understand the abstract geologic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just to hold misconceptions about the concept of geology students have through the study of the landscape and geological time.

도형의 최대 분할 과제에서 초등학교 수학 영재들이 보여주는 정당화의 유형 분석 (Analysis on the Type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Justification on the Tasks of Figure Division)

  • 송상헌;허지연;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79-94
    • /
    • 2006
  • 본 연구는 10명의 초등학교 5-6학년 수학영재들이 평면과 공간의 최대 분할이라는 과제를 해결하면서 보여주는 정당화 유형을 분석한 것이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본 과제의 해결 과정에서 영재들이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정당화 유형 분석의 틀을 마련하고 실제로 초등 수학영재들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보여주는 정당화 과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수학영재들 사이에도 정당화 수준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수학영재들에게서 외부적 정당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귀납적 정당화를 시도한 학생은 소수 있었다. 초등 수학영재들에게서 가장 많이 나타난 정당화 유형은 포괄적 정당화였으며, 형식적 정당화 수준에 이른 초등 수학영재도 일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 수학 영재들에게 패턴 찾기 탐구 주제를 제시할 때에 귀납적인 사례를 조사하도록 이끄는 방식이 그다지 적절하지 않으며, 일반화된 식의 산출보다는 정당화에 좀 더 초점을 맞춘 학습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영재교육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들로네 삼각분할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mathematical modeling : focused on Voronoi diagram and Delaunay triangulation)

  • 유홍규;윤종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257-277
    • /
    • 2017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최근 수학적 모델링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들로네 삼각분할을 주제로 영재교육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학적 모델링 프로그램을 실제 영재교육 수업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설계하는 현직교사와 융합형 영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영재교사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공간 콜래보레이션이 적용된 상업공간사례 검토 -헤이리 마을의 4사례 검토를 통하여- (The Case Study on the Commercial Space with Space Collaboration -Through 4 Case Studies in Heyri Village -)

  • 신지현;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15-29
    • /
    • 2015
  • Social and cultural impact of postmodernism in the seek for diversity and to respect the individual's personality and character was the center of human-centered thinking. This also affects the design area, as well as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It is because of interactive interior design that reflects the lives and relationships with people. Thus, in modern society, people to meet the diverse needs have created a third space. Today's commercial space in the flow to a variety of users and is trying to provide comfort. To go to stores often offer lifestyle and proceeding to the next stage of life. Space for the creative force is trying to become getting better space. Collaboration is refer to phenomenon that two or more objects meet to collaborate. Collaboration is can be classified of space, art, low/high, high concept and star collaboration. And this study has been studied mainly collaboration. Space collaboration is can be classified of experiential, the third space, brand passes and landmark. Space collaboration elements rearranged to the standards of interior design theory, analysis, and marketing of space, commercial space, with previous studies of the spatial elements were extra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space analysis method for the verification of collaboration theory is that to develop. Thus, the space collaboration has been developed to fit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and commercial interior spaces will be helpful for applying.

시게루 반의 건축에 나타나는 생태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하노버 엑스포 일본관의 종이튜브건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Expression in Shigeru Ban's Architecture - Focus on the Paper Tube Architecture of Hanover Expo 2000 Japan Pavillion)

  • 조현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75-85
    • /
    • 2005
  • The 1990s'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architectural design would be choosing the traditional materials of the region's, the creative usage of construction methods, the expressive properties of materiality in spatial forms and so on. The overall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men-made environments have been sublimated by the expression of poetic qualities of perception in ecological man-made environment. Hannover Expo 2000 did set up an opportunity to exposure the fact that Ecological Architecture will be the major trend in 21st Century's Architecture and its exploration in possible ways will be the most important matter. Japanese Architect Shigeru Ban's Japan Pavilion in this Exposition has shown the meaning of this turning point in Ecological Architectural thinking, which would be recognized as the convincing possibilities for the future architectural practice to the public. Thus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to study the meaning of the constructing action in Shigeru Ban's recent architectural space-making practice with the Paper Tube structural system. The creative foundation of Shigeru Ban's own method to apply paper tube -that is impossible material to pre-estimate- and other materials in the creation of architectural spaces would be searched in this paper. The period to this research will be between 1990s and 2000s, and the subject will be the experimental architecture of Shigeru Ban. The range of this research Is includ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he paper tub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joint system.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intrinsic value of Shigeru Ban's Ecological architecture of the paper tube system,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al environment and human regaining the ecological abiogenesis.

쇠퇴하는 곳은 계속 쇠퇴하고, 번성하는 곳은 계속 번성하는가? - 도시쇠퇴의 관성과 대응 - (Are the cities that have declined continuously declining, and the cities that have prospered getting continuously prosperous? -The inertia of urban decline and countermeasures-)

  • 이영성;조준혁;문주열
    • 지역연구
    • /
    • 제32권1호
    • /
    • pp.51-6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전국82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쇠퇴의 정도와 쇠퇴가 진행되는 과정에 관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도시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어떤 방식의 대응방향이 필요한지 고민하였다. 향후 도시가 계속 성장할 것인지 혹은 계속 쇠퇴 할 것인지, 성장세가 둔화되어 쇠퇴할 것인지, 쇠퇴하던 곳이 성장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는지, 각 도시의 전개 방향에 실마리를 찾고자 했다. 분석기간은 2005년과 2010년이며, 년도 별로 산정된 복합쇠퇴지수에 나타난 도시쇠퇴의 변화, 쇠퇴의 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쇠퇴에 관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도시에서는 쇠퇴가 고착화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곳에서는 성장시대 도시계획 수단과 개념을 쇠퇴환경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화 시켜야 한다. 도시쇠퇴를 바라보는 관점을 재정의 하고 쇠퇴로부터 발생하는 물리 환경의 변화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방안 모색도 필요하다. 도시의 발전방향과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공간정책의 틀도 이를 반영해 마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