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source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32초

대두단백질 및 카제인 섭취가 병아리의 혈액 Cholesterol 함량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ative Effects of Dietary Isolated Soy Protein and Casein on Plasma Cholesterol Levels in Young Chicks)

  • 지규만;김영미;전지영;최인숙;오미향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9-80
    • /
    • 2010
  • 대두단백질(ISP)이 혈액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카제인, 어분, 쌀단백질, 옥수수 단백질(글루텐 밀) 등과 함께 이들을 각각 함유한 반정제(semi-purified) 사료를 2주간 병아리에게 급여하였다. 병아리는 쥐에 비해 혈액 콜레스테롤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인체의 지질 실험 모델로 더 적합한 동물이다. 각 단백질 사료 마다 NRC 요구량을 기준하여 부족한 필수아미노산(lysine, arginine 등)을 첨가하였다. 모든 실험 사료는 강제 급이 방식으로 1일 3회 급여하여 아미노산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을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 2에서는 모든 사료에 콜레스테롤을 0.3%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카제인군의 병아리 증체량이 두 실험 모두 가장 저조하였고(P<0.05), 대두단백질과 어분군의 성장률이 가장 좋았다. 카제인군은 실험 1, 2에서 혈액 총콜레스테롤, non-HDL 콜레스테롤, TG 함량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 대두단백질 군은 다른 단백질군(쌀 옥수수단백질, 어분)과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어분군은 실험 2에서 혈액 콜레스테롤이 대두 쌀 옥수수단백질군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카제인군은 간 중량이 두 실험 모두 가장 무거웠고 간의 콜레스테롤 및 총지질 함량 도 가장 많았다. 반면에 어분군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제외하고 대두 쌀 옥수수단백질 군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카제인군에서 나타난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은 전형적인 Lys- Arg 길항 작용에 의한 결과이며, 카제인을 섭취한 대부분의 동물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반면에 대두단백질과 쌀단백질, 옥수수단백질 및 어분군의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은 사료 Lys/Arg 비율이 카제인 만큼 심하게 높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대두단백질군의 저콜레스테롤 혈증(hypocholesterolemia)은 카제인에 비교할 때만 나타나는 상대적인 현상으로, 대두단백질 자체가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킬 수 있는 독자적인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Aureobasidium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을 위한 배양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ivation conditions for pullulan production from Aureobasidium pullulans MR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조혜미;김예진;유상호;김창무;김계원;박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95-20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A.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에 있어 배양 조건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았다. 먼저 시간과 온도에 따른 건조된 균체량과 풀루란 생산량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기존의 AYS배 지내 탄소원과 혼합질소원 변화에 따른 풀루란 생산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sucrose와 ammonium sulfate, soy peptone을 본 실험의 최적 탄소원과 혼합질소원으로 결정하였으며, 그 후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해 탄소원인 sucrose와 질소원인 soy pepetone의 최적 농도와 최적 초기 pH를 알 수 있었다. 분산분석 결과를 토대로 비교하였을 때 A.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에 있어 세가지 변수 중 특히 초기 pH가 풀루란 생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A. pullulans MR을 26℃에서 5일간 배양할 경우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얻은 최적 배양 조건은 sucrose 15%, soy peptone 0.4%, 초기 pH 7이였으며, 위의 배양 조건에서 예측할 수 있는 풀루란의 최대생산량은 47.6 g/L이었다. 이후 확인 실험을 위해 A. pullulans MR을 동일 조건으로 배양한 뒤 풀루란의 생산량을 관찰한 결과 48.9±3.4 g/L로 예측된 값과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sucrose의 경우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도 A. pullulans의 풀루란 생산을 위한 탄소원으로 보고가 되었지만, 배지내 sucrose의 함량이 5%를 초과하게 될 경우 오히려 풀루란의 생성을 저해한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가 있다(Shin 등, 1987b). 이는 배지내 sucrose의 함량이 높아 질수록 sucrose의 농도에 의한 삼투압 현상과 낮은 수분활성도로 인해 발생하며(Singh 등, 2009b), sucrose뿐만 아니라 glucose와 maltose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내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Shin 등, 1987a). 하지만 이러한 보고들과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sucrose의 함량을 5%에서 15%까지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풀루란의 생산이 오히려 증가하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A. pullulans MR의 풀루란 생산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초기 배지의 pH의 경우 A. pullulans 균주에 따라 최적 pH가 pH 3.8부터 pH 7.5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Singh 등, 2018a; Wang 등, 2013; Shin 등, 1991) A. pullulans MR의 경우 비교적 중성인 pH 7에서 가장 많은 양의 풀루란이 생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 A. pullulans MR의 풀루란 대량생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식품, 화장품, 제약 등 여러 광범위한 분야에서 미생물 유래 다당류인 풀루란의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Optimized M9 Minimal Salts Medium for Enhanced Growth Rate and Glycogen Accumulation of Escherichia coli DH5α

  • Wang, Liang;Liu, Qinghua;Du, Yangguang;Tang, Daoquan;Wise, Michael J.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94-200
    • /
    • 2018
  • Glycogen plays important roles in bacteria. Its structure and storage capability have received more attention recently because of the potential correlations with environmental durability and pathogenicity. However, the low level of intracellular glycogen makes extraction and structure characterization difficult, inhibiting functional studies. Bacteria grown in regular media such as lysogeny broth and tryptic soy broth do no accumulate large amounts of glycogen. Comparative analyses of bacterial media reported in literature for glycogen-related studies revealed that there was no consistency in the recipes reported. Escherichia coli $DH5{\alpha}$ is a convenient model organism for gene manipulation studies with respect to glycogen. Additionally, M9 minimal salts medium is widely used to improve glycogen accumulation, although its composition varies. In this study, we optimized the M9 medium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s of itrogen source, tryptone, carbon source, and glucose, in order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he growth rate and glycogen accumulation. Our result showed that $1{\times}M9$ minimal salts medium containing 0.4% tryptone and 0.8% glucose was a well-balanced nutrient source for enhancing the growth and glycogen storage in bacteria. This result will help future investigations related to bacterial physiology in terms of glycogen function.

Broiler에 있어서 대두 Lecithin의 사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oy-Lecithin in Broiler Ration)

  • 김대진;김영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29
    • /
    • 1980
  • Broiler에 있어서 대두유의 처리공정중에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Lecithin의 사료적가치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ecithin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비타민 그리고 총에너지를 측정하였다. 2. Lecithin을 Broiler 후기사료에 3%, 6%, 9%, 12%까지 첨가하여도 병아리의 증체량에는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었다. 3. 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 Lecithin 3%, 6%, 9%의 처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12%구는 6%, 9%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P<0.05) 4.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도 각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Lecithin 9%구가 2.32로서 요구율이 가장 낮았고 그 다음이 Lecithin 6%구의 2.40,3%구의 2.41의 순이었다. 5. 도체성적에 있어서 도체의 수분함량은 71.2-72.5%로서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고 조단백질 함량은 15.93-16.45, 조지방의 함량은 6.19-7.05%였다. 6. 복지방함량은 42.4-63.7g으로 Lecithin 첨가구가 약간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간중량도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다. 간지방중량은 2.2-2.4g정도로서 처리간 유의차는 없었으나 Lecithin 첨가구가 약간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이상의 시험결과 대두유 부산물인 Lecithin은 Energy 사료로서 우수하였다.

  • PDF

표면 상태와 용액에 따른 치과용 수복재료의 색안정도 평가 (Evaluation of Surface Condition and Food Solution on the Color Stability of Dental Restoration Materials)

  • 우희선;김효진;전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59-367
    • /
    • 2019
  • 본 연구는 치과용 수복재료의 연마유무에 따라 여러 가지 착색용액에서 색의 안정성을 보기 위해 유동성 레진, 하이브리드 레진, 컴포머, 레진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치과용 수복재료인 컴포짓트 레진을 테플론 몰드로 직경10 mm, 두께 2 mm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은 연마지를 이용하여 20초간 연마하였고, 다른 한 군은 연마하지 않고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간과 재료별 착색시료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간장과 고추장에서는 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Fuji II LC와 하이브리드 레진 중 Prodigy에서 2일째 수용도 역치 이상의 색 변화가 나타났으며, 연마지를 사용한 군에서는 간장용액에서는 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Fuji II LC가 2일째에 색변화가 있었으며, 고추장용액에서는 유동성레진과 하이브리드 레진 중 Prodigy에서 7일째 색변화가 나타났다. 와인용액에서는 컴포머와 하이브리드 레진 중 Prodigy에서 2일째 색 변화가 나타났으며, 연마지를 사용한 군에서는 컴포머에서 2일째 수용도 역치 이상의 색 변화를 볼 수 있었다. 향후 레진 표면의 활택도에 따라 착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향후 다양한 연마방법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P-5 균주의 배지 최적화 및 상추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평가 (Medium optimization for growth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P-5 strain and evaluation of plant growth promotion using lettuce)

  • 최강현;서선일;박해성;임지환;김평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356-36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Bacillus amyloliquefaciens ISP-5 균주의 최적배지조성을 확인하기 위해 5종의 탄소원(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 corn starch)과 5종의 질소원(yeast extract, peptone, tryptone, soytone, soy bean flour)을 이용하여 각각의 생육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glucose와 soy bean flour를 각각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확립하였으며 최적 배지를 이용하였을 때 상업용 배지(TSB)에 비해 약 2500배의 생육을 확인할 수 있었다. B. amyloliquefaciens ISP-5 배양액을 상추에 엽면 살포하였을 때 상추의 엽폭과 엽장은 대조군에 비해 8.6%, 12.9%의 증가하였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24.2%, 23.9%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B. amyloloiquefaciens ISP-5 균주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는 상추용 식물생장촉진제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서울 거주 성인 남자의 대두식품 및 이소플라본 섭취와 각종 건강지표와의 관련성 분석 (Relation between Health Examination Outcome and Intake of Soy Food and Isoflavone among Adult Male in Seoul)

  • 이민준;손춘영;김지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3호
    • /
    • pp.254-263
    • /
    • 2008
  • 본 연구에서 이소플라본의 섭취가 만성질환의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조사대상자를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에 따라 세 그룹 (적게, 보통, 많이)으로 분류하여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장지표들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인 성인 남자들의 평균 연령은 49세였고 헤모글로빈, 헤미토크리트, MCH 및 혈중 칼슘과 인의 평균 농도는 정상범위 내에 있었으며 혈당과 당화혈색소,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혈청 PSA 농도도 모두 정상범위에 들어있었다. 그러나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기준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2) 조사대상자의 식이섭취상태를 간이조사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967 kcal로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그 밖의 단백빌,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등은 섭취기준을 상회하였다. 3) 조사대상자들의 하루 평균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은 25.10 mg이었다. 이소플라본의 섭취분포를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1/4은 하루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이 12 mg 이하 수준이었으며, 중간 값은 20.77 mg이었고, 10%의 조사대상자는 하루 50mg 수준 이상의 이소플라본을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여준 변수는 체지방율로, 이소플라본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의 체지방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룹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BMI와 허리-엉덩이 둘레의 비(WHR), 중성지방의 수준이 더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높고, 골밀도 수치도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고혈압${\cdot}$당뇨${\cdot}$고지혈증${\cdot}$골조소증${\cdot}$비만 등 건강문제를 갖고 있는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별 이소플라본의 평균 섭취수준을 비교한 결과, 혈중 중성지방 수준이 높은 집단, 복부비만을 나타내는 집단, 체지방률이 높은 집단의 경우 정상 집단에 비해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6) 각종 만성질환 관련 지수와 이소플라본 섭취수준 및 각 급원식품의 섭취빈도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두부와 된장의 섭취빈도는 혈압과 음의 상관관계를, 콩국은 HDL-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관계, 두유 및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은 혈청 중성지방과 음의 상관관계, 콩나물과 땅콩의 섭취빈도는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7) 콩의 섭취빈도가 높고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BMI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육량은 두유와 콩국의 섭취빈도 및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체지방율은 된장, 청국장, 콩의 섭취빈도와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음의 상관관계를, 엉덩이-허리둘레 비율은 된장의 섭취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Influence of Level and Source (Inorganic vs Organic) of Zinc Supplementation on Immune Function in Growing Lambs

  • Droke, E.A.;Gengelbach, G.P.;Spears, J.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139-144
    • /
    • 1998
  • Eighteen lamb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zinc (Zn) level and source on Zn status and immune function during both normal conditions and conditions of physiologic stress. Treatments consisted of a basal diet (27.6 mg of Zn/kg), and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25 mg of Zn/kg, added as either zinc oxide or zinc methionine. The basal diet was a corn-cottonseed hull-isolated soy protein- based diet (14% CP). Lambs were weighed and blood samples taken at 28-d intervals for determination of serum Z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eights and serum Zn were similar (p > 0.10) among treatments at all sampling days. To evaluate immune responses and Zn status during conditions of physiologic stress lambs were administered 100 I.U. of adrenocorticotrophin (ACTH) on d 112 and feed was withheld for 48 h. Cortisol levels were elevated (p < .01) 5 h post ACTH injection, but had returned to initial levels after 48 h. Lymphocyte blastogenesis ([$^3H$]-thymidine incorporation) on d 112 (prior to ACTH injection) and 114 was unaffected (p > .10) by dietary treatment. However, blastogenesis in response to pokeweed mitogen was greater (p < .0001), whereas the response to phytohemagglutinin was reduced (p < .01) following ACTH administration and fasting. Antibody response to administration of porcine red blood cells was unaffected (p > .05) by dietary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iven the Zn concentration of the basal diet, there was no enhancement of immune function by supplemental Zn, either before or after lambs were subjected to stress.

재래식 간장의 제조조건이 ethyl carbamate 생성에 미치는 영향 (Dependence of Ethyl Carbamate Formation on the Fermentation Variables in Korean Traditional Soysauce)

  • 정현정;권훈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2-9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식품내의 ethyl carbamate 전구체와 그 형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제조조건 보다는 원료 메주가 간장의 ethyl carbamate 형성에 기여도가 크나, 같은 메주로 제조한 간장의 경우, 저장 기간에 따라 생성이 증가하며 빛에 의해 그 농도가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가정에서 간장을 담을 경우 전통적인 방법 인 빛을 쪼여 주며 보관하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원료 메주에 따른 차이는 원료 콩의 화학적 조성도 관여를 하겠으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종류와 그에 따른 대사과정, 대사량의 차이에 의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전들을 밝혀내기 위하여 앞으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n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Bacillus sonorensis MJM60135 Isolated from Ganjang

  • Palaniyandi, Sasikumar Arunachalam;Damodharan, Karthiyaini;Suh, Joo-Won;Yang, Seung 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5호
    • /
    • pp.663-670
    • /
    • 2018
  •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produc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prebiotic evaluation of an exopolysaccharides (EPS) from Bacillus sonorensis MJM60135 isolated from ganjang (fermented soy sauce). Strain MJM60135 showed the highest production ($8.4{\pm}0.8g/l$) of EPSs compared with other isolates that were screened for EPS production based on ropy culture morphology. Furthermore, MJM60135 was cultured in 5 L of medium and the EPS was extracted by ethanol precipitation. The emulsification activity of the EPS was higher in toluene than in o-xylene.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hydroxyl and carboxyl groups and glycosidic linkages. The isolated EPS contained mannose and glucose, as observ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analysis of the EPS hydrolysate.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pathogenic E. coli K99 and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were tested for their growth utilizing the EPS from B. sonorensis MJM60135 as the sole carbon source for its possible use as a prebiotic. All the tested LAB exhibited growth in the EPS-supplied medium compared with glucose as carbon source, whereas the pathogenic strains did not grow in the EPS-supplied medium.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PS from B. sonorensis MJM60135 has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bioremediation of hydrocarbons and could also be used as a prebio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