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odrama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7초

행위기법을 중심으로 한 알코올의존 재발방지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Relapse Prevention Program for Alcoholics focused on Action Methods)

  • 노인숙;김성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27-40
    • /
    • 2004
  • Relapse is one of the most series problems in alcoholics treatment.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ignificant proportions of treated alcoholics show an early relapse and go through a chronic phase. It is necessity to find more effective relapse prevention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lapse prevention program that emphasis on group activities using various action methods.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there was no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y to prevent relapse and proposed that action methods were more practical ways to be able ti cope with high-risk situation than verbal methods such as discussions and lectures. The special attempt of this program was the application of various actions methods and the integration of many psychosocial therapeutic strategies as compared with many relapse prevention program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relapse prevention program was based on mainly the Marlatt's Relapse Prevention model and Prochescha and DiClemente's Transtheoretical model. This Program consists of eight structure sessions. Every session has three phase: Warm-up phase, action phase, and sharing phase as sociodrama structure. Sociodrama is based on many of the principles of adult learning. And sociodrama looks at how groups work through an understanding of systems and role theory. Therefore, in working with a group a therapist might explore with them the roles that people play, roles that are missing at present such a visionary and how people can develop new roles or new ways of playing existing roles. The researchers expla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ll participants after their agreement to participate. Voluntary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rticipants. Every session allows participants to recognize personal specific high-risk situation and to examine possible coping behaviors creatively. Multiple solutions can be proposed, tested and evaluated dramatically, giving new insights or breakthroughs in thinking. This is vital for the initiation of change, and if appropriate, expanding new role development. The first two sessions aim at understanding of relapse process and recognize of high-risk situations focused on orientation about action methods. The next four sessions deal with high-risk situations. The last two sessions give participants opportunities to venture new life-styles. The methods and approaches used in this program utilized as a tool to explore and practice possible coping strategies. and this program can contribute to prevent relapse episode if tune with the particular high-risk situation by using active practices in safe environment.

  • PDF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 프로그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inter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for children)

  • 이정숙;전숙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5호
    • /
    • pp.15-3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family welfare service program on interrelationship improvements of children. For this purpose, programs related to children that is performed by social welfare agency and that is based on group psychotherapy were includ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ograms related to children that is performed by social welfare agency are insufficient to evaluations of plans, performance and outputs. In particular, speciality of social worker in perform on programs in related to children is absent. Second, programs of interrelationship improvements of children based on group pychotherapy were specialized in evaluations of plans, performance and output. Through out this analysis, the program of interrelationship improvements of children is developed. This program is based on group psychotherapy, include art therapy, sociodrama.

  • PDF

사이코드라마의 자발성과 창조성 개념으로 바라본 기숙형 단과대학 신입생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제언 (Suggestions to Cultivate Community Spirits for Residence College Freshmen with the Concepts of Spontaneity and Creativity in Psychodrama)

  • 양혜진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39
    • /
    • 2018
  •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D대학의 기숙형 단과대학에 입소한 신입생들의 공동체의식 수준과 이들과 가장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가족, 학과, 기숙형 단과 대학 내에서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따른 공동체의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신입생들의 전체 공동체의식 수준은 평균 3.66으로 다소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가족, 학과, 기숙형 단과대학 내에서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따른 공동체의식 수준의 차이분석 결과, 가족생활 만족수준이 낮아졌다고 응답한 학생의 경우 그리고 학과생활이나 기숙형 단과대학 내에서의 생활만족수준이 높아졌다고 응답한 학생의 경우 공동체의식 수준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사이코드라마의 자발성과 창조성 개념을 통한 기숙형 단과대학 신입생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애인 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of Disabled Residential Institutions Rehabilitation Teacher on Job Satisfaction)

  • 이병주;강희숙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1-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들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충남지역을 대상으로 19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과 직무만족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직무스트레스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개인역할 및 일상업무, 시설 및 상사와의 관계, 클라이언트 관계 등의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높았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생활재활교사는 대인관계에서 감정소진이 나타나기 때문에 동료상담, 교육, 프로그램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별 임상실습스트레스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stress of nursing students in an area)

  • 성은옥;남현아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26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성격유형별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여 추후 학생상담 방향 설정 및 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임상실습을 하고 있는 일 지역 간호학과 3, 4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에니어그램영성연구소에서 개발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검사지와 임상실습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SPSS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9개 유형 중 2유형이 47.66%, 힘 중심영역은 감정형 영역이 64.84%로 가장 많았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정도는 스트레스 하부 영역 중 실습교육환경은 6유형,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모델은 4유형, 실습업무부담과 대인관계갈등은 5유형, 환자와의 갈등은 4유형에서 높았다. 에니어그램 힘중심 영역에 따른 임상실습 스트레스정도는 사고형이 실습교육환경과 바람직하지 못한 역할 모델, 실습업무부담, 대인관계 영역의 스트레스가 높았고, 환자와의 갈등영역은 감정형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은 다양하고, 성격유형별 힘 중심영역별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생의 성격유형 분석을 통한 학생 상담과 지도가 필요하다.

교류분석과 사이코드라마의 통합적인 적용 - 드라마 삼각모형을 중심으로 - (Transactional Analysis and integrated application of Psychodrama: Focusing on drama triangle)

  • 진혜전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3-9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코드라마 전문가의 다양한 실험적 시도와 역량강화를 돕기 위해 교류분석과 사이코드라마의 통합적 적용모형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카프만이 개발한 게임 모형인 드라마 삼각형은 사이코드라마의 행위화를 통해 잘 설명될 수 있다. 린다 콘돈(2014)은 역기능의 회복을 위한 모형을 통해 사이코드라마에서 행위화를 돕는 역할교대, 거울보기, 보조자아 이중자아의 기법을 소개하였다. 사이코드라마의 행위화는 교류분석에서 제시할 수 없는 정서적 체험과 경험을 제공한다. 사이코드라마의 코우칭 기법을 통해 희생자, 박해자, 구원자의 위치에서 심리 게임을 하는 사람들에게 그들의 상황을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해결을 위한 역할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교류분석의 자아상태에 대한 개념은 디렉터가 주인공의 언어와 태도를 이해하고 장면을 설정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교류분석의 개념인 드라마 삼각게임의 행위화를 통해 교류분석 접근과 사이코드라마의 통합 적용의 예를 보여주며 이를 근거로 본 저자가 개발한 역할의 순환관계 틀을 제안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사이코드라마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Psychodrama of Self-Esteem, Well-being, Anxiety and Depression for Battered Women)

  • 박진아;성은옥
    •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2
    • /
    • 2018
  • 본 연구는 쉼터에 입소한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사이코드라마를 시행하고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자료는 2015년 1월 4일부터 2월 26일까지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입소자 7명을 대상으로 10회의 사이코드라마를 시행하였고, 사전-사후 설문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피어슨 상관계수, Wilcoxon의 부호 순위검정을 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자존감은 불안(r=-.866, p =.012), 우울(r=-.824, p =.023)과 음의 상관관계를, 불안은 우울(r=.778, p =.040)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사이코드라마 시행 전 후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지만 자존감과 안녕감의 사후점수가 상승하였고, 불안과 우울의 사후점수는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존감과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여가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적용 및 사이코드라마에 계속적인 참여를 위한 장기 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고령사회 노인연극의 지향점 고찰: 당진시 '회춘유랑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Elderly Theatre in Aged Society: Around the 'Hoechun Circus' in Dangjin)

  • 오판진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359-3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지원 측면의 노인복지에 속하는 노인연극 프로그램의 한 사례를 분석하여 노인연극의 지향점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충남 당진시 할머니들로 구성된 '회춘유랑단'의 활동 사례를 조사하고, 그 공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례 연구와 연행 이론을 사용하였으며, 동료 검토법(peer examination)의 전략을 사용하여 연구의 타당도를 높였다. 연구 결과, 노인연극 프로그램을 통해 할머니들은 첫째, 어린이와 청소년들과의 소통을 지향했고, 둘째, 몸이 불편한 다른 노인들과 소통하기를 원했으며, 셋째, 청년이나 중년은 물론 모든 주민과 소통하길 바랐고, 넷째, 연극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체험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성취감을 높이면서 노년을 즐겁고 유익하게 보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회춘유랑단'을 밴치마킹한 노인연극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노인연극에 관한 다양한 사례를 연구하고, 이런 노인연극을 지원하는 정책 연구도 필요하며, 노인연극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 과정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노인연극 프로그램이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나 국내와 국외의 단체들과 교류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연극치료 분야에서도 새로운 길을 모색할 여지가 있고, 소시오드라마나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개발이 대안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