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Elderly Theatre in Aged Society: Around the 'Hoechun Circus' in Dangjin

고령사회 노인연극의 지향점 고찰: 당진시 '회춘유랑단'을 중심으로

  • Oh, Panj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20.02.04
  • Accepted : 2020.03.18
  • Published : 2020.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elderly theatre by analyzing an example of the elderly theatre program which is attempted in a way of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in terms of cultural support. To this end, the 'Hoechun Circus' composed of elderly women in Dangj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earch methods uses a case study, performance theory, and peer review strategies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elderly women intended to communicate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performance; Secondly, they wanted to communicate with other physically uncomfortable elderly people; Thirdly, they also attempted to communicate with young or middle-aged as well as all residents; Fourthly, they experienced a new genre of theatre to identify themselves in a different ways and enhanc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pent their old age pleasantly and informal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we should expand the theatre programs of senior citizens which benchmark the 'Hoechun Circus'. Second, various cases of elderly theater should be studied and policy research to support such elderly theatre is necessary. Besides, educational courses to train elderly theatre experts should also be developed. Third, it should also seek ways for the program to move beyond regional limits and interact with organizations at home and abroad. Fourth, there is room to explore new ways in the field of theater therapy, and the development of sociodrama or psychodrama programs can be an alternative.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지원 측면의 노인복지에 속하는 노인연극 프로그램의 한 사례를 분석하여 노인연극의 지향점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충남 당진시 할머니들로 구성된 '회춘유랑단'의 활동 사례를 조사하고, 그 공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례 연구와 연행 이론을 사용하였으며, 동료 검토법(peer examination)의 전략을 사용하여 연구의 타당도를 높였다. 연구 결과, 노인연극 프로그램을 통해 할머니들은 첫째, 어린이와 청소년들과의 소통을 지향했고, 둘째, 몸이 불편한 다른 노인들과 소통하기를 원했으며, 셋째, 청년이나 중년은 물론 모든 주민과 소통하길 바랐고, 넷째, 연극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체험하여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성취감을 높이면서 노년을 즐겁고 유익하게 보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회춘유랑단'을 밴치마킹한 노인연극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노인연극에 관한 다양한 사례를 연구하고, 이런 노인연극을 지원하는 정책 연구도 필요하며, 노인연극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 과정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노인연극 프로그램이 지역적인 한계를 벗어나 국내와 국외의 단체들과 교류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연극치료 분야에서도 새로운 길을 모색할 여지가 있고, 소시오드라마나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개발이 대안이 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희. (2009). 노인을 위한 연극 프로그램 개발연구 : 청원군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숙현. (2018). 노인연극의 비판적 사유와 모색 : 자전적 기억과 회상에 기반하여. 드라마연구 제56호 (통합 제34권), 5-35.
  3. 김옥란. (2010). 윤대성의 노인연극, 대한민국 70대의 보고서 : 한번만 더 사랑할 수 있다면. 한국희곡 통권 제38호, 106-112.
  4. 김은숙. (2010). 노인 계층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남호엽. (2013). 글로벌시대의 지역교육론. 경기 : 한국학술정보(주).
  6. 박부경. (2018). 노인음악교육 개선을 위한 평생교육의 적용, 음악교수법연구 제19권 2호. 59-91.
  7. 박진태. (1997). 한국 민속극 연구. 서울: 새문사.
  8. 서강훈. (2019). 사회복지 용어사전. 서울: 창지사.
  9. 손희영. (2017). 노인의 사회 참여 확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연구 : 공익을 넘어 공존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오명희. (2019). 자전공연(autobiographical performance) 과정을 활용한 연극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자아 통합감,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가원. (2014). 정서도식을 활용한 여성노인 연극치료 사례 연구. 연극예술치료연구 제4호, 87-110.
  12. 이경화. (2012). 미디어도 고령화시대 발 맞추고 있다 : 노인소재 영화.연극 늘어... 뉴미디어에선 소외현상 여전. 복지저널. 통권 제45호, 42-45.
  13. 이승희. (2012). 자존감 향상을 위한 노인연극 실행사례 연구 : 종로노인종합복지관 연극반 활동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재민, 임지혜. (2017). 평생학습으로서 노인 연극 활동의 의미. 교육문화연구 제23권 6(B)호, 625-643.
  15. 이주영. (2018). 어린이 문화 운동사. 파주: 보리출판사.
  16. 이초록. (2016). 한국, 미국, 일본 노인연극단 현황 및 비교 연구. 극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현수. (2016). 복합만성질환 노인을 위한 연극치료 단일 사례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임경주. (2009). 연극을 통한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교육연극방법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장찬애. (2013). 노인의 문화예술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미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위한 분석과 제언.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7). 노인 연극교육과정 개발.운영 연구.
  21. 한국방정환재단. (2019). 정본 방정환 전집 1권. 서울: 창비.
  22. 홍정연. (2015). 노년층을 위한 박물관.미술관 문화예술교육,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Anne H. Thurman & Ann Piggins.(1982). Drama Activities with Older Adults, Philadelphia: The Haworth.
  24. Richard Coutrney. (1989). Play, Drama & Thought. Toronto: Simon & Pierre.
  25. Richard Schechner. (1988). Performance theory. New York: Routledge.
  26. Robert J. Landy. (1982). Handbook of Educational Drama and Theatre, California: Greenwood press.
  27.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8. Stake, R. E. (2005). Qualitative case studies. In N. K. Denzin & Y. S. Lincoln(Ed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pp.443-466). Thousand Oaks, CA: Sage.
  29. 노승길. (2013.10.28.). 김장배추 갈아엎기, 대책은 없나?. 아시아투데이.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885353)
  30. 서세진. (2019.07.23.). 당진 천의초. 회춘유랑단 초청 인형극 관람. 충남일보. (http://www.chungnam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05795).
  31. 임형두. (2020.01.30.). 고령사회 행복 위한 조언서 '백세시대 생애설계'.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0130155400005?input=1179m)
  32. 정세영. (2018.12.19.) 70세 할머니들의 유쾌한 도전...회춘유랑단, 대전CBS. (https://www.nocutnews.co.kr/news/5078069)
  33. 최근수. (2019.12.31.). 당진에 회춘유랑단을 아시나요?. 대전투데이. (http://www.daejeontoday.com/)
  34. 황희찬. (2019.03.12.) 어떻게 키웠는데... 애지중지 양파밭 갚아엎는 농민 착잡. news1. (https://www.news1.kr/articles/?3569017)
  35. 당진시 공식 블로그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angjin2030&logNo=221755169847)
  36. 당진시 공식 홈페이지(https://www.dangjin.go.kr/kor.do)
  37. 유튜브 동영상 - 목포MBC 생방송 전국시대, 2019.03.11. (https://www.youtube.com/watch?v=cO2GPEOYEjI)
  38. SBS비디오머그. (2019.02.15.). 평균 나이 80.7세 "우리 연극하고 회춘했슈~" (https://www.youtube.com/watch?v=nZBsT50b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