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n Psychodrama of Self-Esteem, Well-being, Anxiety and Depression for Battered Women

사이코드라마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8.12.12
  • Accepted : 2018.12.21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sychodrama on self - esteem, well - being,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domestic violence victims who entered the shelter. This study is a similar experimental study of a single group pre-and post-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7 participants, pre - post - questionnaire surveys conducted ten times psychodrama,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4 to February 26,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Wilcoxon 's sign rank test using SPSS 22.0 program.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self-estee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r=-.866, p =.012), depression(r=-.824, p =.02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well-being, and anxiety, depress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sychodrama, but there was an increase in post-score of self-esteem and well-being, and the post-score of anxiety and depression decreased. In order to improve the self-esteem and well-being and to reduce anxiety and depression in women victimized by domestic violence, long-term support programs are needed for the application of leisure and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s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 psychodrama.

본 연구는 쉼터에 입소한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사이코드라마를 시행하고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자료는 2015년 1월 4일부터 2월 26일까지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입소자 7명을 대상으로 10회의 사이코드라마를 시행하였고, 사전-사후 설문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피어슨 상관계수, Wilcoxon의 부호 순위검정을 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자존감은 불안(r=-.866, p =.012), 우울(r=-.824, p =.023)과 음의 상관관계를, 불안은 우울(r=.778, p =.040)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사이코드라마 시행 전 후 자존감, 안녕감, 불안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지만 자존감과 안녕감의 사후점수가 상승하였고, 불안과 우울의 사후점수는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존감과 안녕감을 증진시키고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여가 및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적용 및 사이코드라마에 계속적인 참여를 위한 장기 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자(2010). 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우울, 불안 및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희숙(2006). 사이코드라마가 가정폭력피해 여성들의 우울과 치료효과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9(2); 1-11.
  3. 강희숙.이진헌(2010).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사이코드라마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13(1); 19-33.
  4. 고원자.천성문(2009). 가정폭력피해여성을 위한 사이코드라마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상담학 연구, 10(1); 251-270.
  5. 고은주(2016). 가정폭력 피해여성 대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수동.이우경(2004). 사이코드라마의 이론과 적용. 서울: 학지사.
  7. 김영순(2004). 매맞는 아내를 위한 분노조절프로그램의 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영자(2008).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쉼터에서의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주현.이지연(2014). 주인공의 사이코드라마 경험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0(2); 287-309.
  10. 대한신경정신의학회(1997). 신경정신과학, 서울: 하나의학사.
  11. 류정자.최문정(2007).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우울증상에 대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에니어그램 연구, 4(2); 29-68.
  12. 박영수(2016). 가정폭력의 현황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5(2); 89-112.
  13. 박진아.성은옥(2018). 집단 심리극에서 나타난 가정폭력 피해가족의 경험.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1(1); 17-32.
  14. 박희석(2003). 우울집단에 대한 사이코드라마와 인지-행동치료의 회기과정 및 성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3); 129-157.
  15. 성은옥.박진아(2017).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이코드라마 경험 연구-쉼터입소여성 중심-.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20(2), 33-49.
  16. 손정남.차보경(2006). 가정폭력 경험 여성의 불안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예측요인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8(4); 564-572.
  17. 신민섭.오경자.홍강의.김해숙(2004). 가정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611-636.
  18. 신종호(2006). 교육심리학: 교육 실제를 보는 창. 서울: 학지사.
  19. 심희정.서미아.(2015).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애착손상 및 상태-특성 불안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3); 133-145.
  20. 여성가족부(2013). 가정폭력 실태조사.
  21. 오정원(2007). 노래를 사용한 음악치료활동이 피학대 여성의 수치심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중훈(1996). 한국형 자가 보고형 불안척도의 개발. 영남의대학술지, 13(2); 279-294.
  23. 이진경(2006). 예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분노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전겸구.최상진.양병창(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25. 전병재(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7-129.
  26. 조용래(2013). 가정폭력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정서증상에 미치는 효과. 인지행동치료, 13(3); 445-467.
  27. 한국여성개발원(1993). 가정 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28. Andrews, B. & Brown, G. W. (1988). Marital violence in the community: A biographical approach.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3; 305-312. https://doi.org/10.1192/bjp.153.3.305
  29. Barnett, O. W., & LaViolette, A. D. (1993). It Could Happen to Anyone: Why Battered Women Stay . CA: Sage.
  30. Bradburn, N. (1969).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Aldine.
  31. Brown, B., Carpio, B., & Martin, D. S. (1982). Wife abuse: An old family problem. The Canadian Nurse, 78(6); 23-28.
  32. Cascardi, M., & O'Leary, K. (1994). Depressive Symptomatology, Self-esteem, and self-blame in battered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7; 249-259.
  33. Dutton, M. A. (1992). Empowering and healing the bettered wome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4. Farmer, C. (1995). Psychodrama and systemic therapy. London: Karnac Books.
  35. Hilberman, E. (2006).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battered women. Journal of Traumatic Stress, 4(1); 137-148.
  36. James, R. K. & Gilliland, B. E. (2001). Crisis Intervention Strategies. 4th. Brooks/Cole.
  37. Kellermann, P.F. & Hudgins, M. K.(2000). Psychodrama with trauma survivors: acting out your pai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최대헌, 조성희, 이미옥 역(2008). 트라우마 생존자들과의 심리극.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행동. 서울: 학지사.
  38. Moreno, J. L. (1977). Psychodrama. New York : Beacon House.
  39. Radloff, L.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40. Rezaein, M. P., Mazumdar, D. P., & Sen, A. K. (1997). The effectiveness of psychodrama in changing the attitudes among depressed pati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Clinical Studies, 13(1-2); 12-23.
  4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2. Sampsells, C. M. (1992). Violence against women: Nursing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Issues, New York: Hemisphere Pub.
  43. Straus, M. A., & Gelles, R. J. (1990).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Risk factors and adaptation to violence on 8,145 families. New Brunswick New Zealand; Transaction.
  44. Walker, L. E. (1980). Battered Women in Women and Psychology. A. Brodsky & R. Mustin(Eds.). Guilford Press.
  45. Walker, L. E. (1989). Terrifying love. New York: Harper & Row Pub.
  46. Zung, W. W. K. (1971). A rating instrument for anxiety disorder. Psychosomatics, 12; 371-379. https://doi.org/10.1016/S0033-3182(71)714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