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problem solving

검색결과 593건 처리시간 0.03초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기반학습(PBL) 적용이 작업치료과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ject Based Learning(PBL) Application Using Social Networks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이나윤;박주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7-65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PBL 수업 적용이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K대학교 작업치료과 3학년 재학생 총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PBL을 적용하였을 때 문제해결능력의 세부항목에서 문제인식, 분석능력, 의사결정, 기획력, 평가, 피드백 영역에서 향상을 나타냈다. 둘째,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학습할 때 모바일 기기 이용 선호도와 전공만족도에 따라 문제하결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작업치료과 재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도구로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PBL을 활성화시켜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통한 사회과 비판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신장에 관한 연구 (Study on Social Studies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through Utilizing Digital Textbooks)

  • 유제일;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97-206
    • /
    • 2015
  •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기기의 보급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교육과 같은 스마트교육 환경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디지털교과서 활용 4L-ACC 활동을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수업에서 적용하고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과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이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보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4L-ACC 활동을 실시한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의 문제이해, 비판적사고, 해결방안적용, 반성적 사고 등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의 모든 하위 영역이 신장되었다. 이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문제이해, 비판적사고, 해결방안적용, 반성적 사고 등의 역량을 키우며, 이를 종합하여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켜 준다고 볼 수 있다.

구성놀이 질과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Relations Between Qualities of Constructive Play and Problem Solving)

  • 한석실;박주희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43-159
    • /
    • 2007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nd convergent and divergent problem solving. The subjects were 48 five-year-old children. Unit blocks were used to test the quality level of constructive play; a 40 piece puzzle and pattern blocks were used to test convergent problem solving; the pattern blocks also were used to test divergent problem solving. Children's block play was videotaped and pictures were taken of constructions made by children.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and convergent and divergent problem solving. Among the sub variables of constructive play, social play patterns affected convergent problem solving; diversity affected divergent problem solving.

  • PDF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 Han, Ji-Hyoung;Ahn, Eunsuk;Hwang, Ji-Mi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38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and good communication skills on th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508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convenience-sampled from 3 universiti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critical thinking had the highest intellectual fairness score of 3.60, and systematicity was the lowest at 3.19. The values for communication skills were high in reaction, social adequacy, and concentration, with an average of 3.65.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clarification of the problem, seeking solutions, and decision mak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more extroverted personalities possessed higher levels of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p<0.01). Critical thinking scores were high (p=0.016) in students who responded that peer relationship was difficult; however, their communication skills were the lowest (p<0.001). Additionally,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highest among students who reported a difficult peer relationship (p=0.001).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dental hygiene academics, the higher the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solving ability (p<0.001). Critical thinking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variables in the following order: clarification of the problem, performing the solutions, seeking solutions, decision making, and evaluation and reflection. The communication skills were also related to these variables listed above (p<0.01). With critical thinking, confidence, watchfulness, intellectual passion/curiosity, sound skepticism, objectivity, and systematicity all influenced the problem-solving ability. Conclusion: Communication skills were influenced by noise control, putting on the other's shoe, social tensions, and efficiency, which affected the problem-solving ability. Dental clinics require dental hygienists to have critical thinking to make analytical judgment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to solve human relation problems with patients and care-givers. Therefore, these skills should be developed in dental hygiene students to improve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공업계 고등학교에서의 문제해결식 실기수업 모형 (A model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for improving practical skill-competence in technical high school)

  • 김익수;류창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 model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for improving practical skill-competence in technical high school. For the study, various literature researches were reviewed intensively about problem solving process, laboratory instruction's approaches and learning principals.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process was composed with identifying problems, generating alternative solutions, investigation and research, choosing a solution, acting on a plan, modeling of problem solving, testing and evaluating, redesigning and improving. The skills schema combines a four domain of skilled activity, that is, cognitive skills, psychomotor skills, reactive skills and interactive skills.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was composed with five major learning systems-emotional, social, cognitive, physical, and reflective-that can be used extensively as generic lesson plashing. The teacher serves as a coach or guide for student learning. As a facilitator, the teacher challenges, questions, and stimulates the students in their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study. In this process, students represent problem with think aloud,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and move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education.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시민의 지지도와 정치의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upport for Scientific Research and Political Orientations: The Case of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 박희제;김명심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3호
    • /
    • pp.107-137
    • /
    • 2016
  • 이 논문은 전국적인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과학연구에 대한 한국인의 지지도가 어떠하며, 어떤 집단이 이러한 지지를 견인하고 있는지를 순수 기초 연구, 산업발전을 목표로 하는 응용연구, 일반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로 나누어 살펴본다. 분석결과 사회적 정치적 가치 지향에 따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포함한 연구 유형별 지지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다른 유형의 연구들에 비해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보수적일수록 기초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고 신자유주의적 가치지향에 가까울수록 응용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다. 한편 한국사회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가 지나친 응용연구에 대한 비판으로 대두된 반면, 일반시민들은 이를 응용연구보다 기초연구와 대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가 전문가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반면, 과학자의 권위와 전문성에 대한 신뢰도 수준이 높을수록 오히려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다른 두 유형의 연구에 대한 지지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의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 (The Impa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and Hopelessness in Depression among Low-Income Residents)

  • 엄태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59-85
    • /
    • 2006
  • 본 연구는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 이론을 근거로 하여 저소득층의 외상과 스트레스 같은 부정적 생활 경험과 매개변인으로 제안된 무망감을 통하여 우울증이 유발되는지를 확인하고, 이 구조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수급권자와 자활후견기관과 연계된 차상위계층 175명이다. 연구결과, 저소득층의 스트레스는 무망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스트레스와 무망감은 우울증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울증에 대한 무망감 이론을 근거로 제안된 스트레스는 무망감을 매개변인으로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스트레스가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과 무망감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층의 무망감과 우울증에 대한 실천개입의 강조와 정신건강증을 위한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 PDF

초등학교 사회과의 환경 문제 해결과정 분석 및 수업 모형 개발 연구 - 환경 정의 개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Process on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el - Focus on the Environmental Justice -)

  • 장호창;남영숙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4호
    • /
    • pp.84-9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 model of environmental problem process focused with environmental justice. This study has analyzed environmental problem solution process in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from 4th grade to 6th grade with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didn't show distributive justice in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process. Second, procedural justice existed, but offered information is lacking to each main group. Third, substantive justice was emphasized personal viewpoint. We developed instruction model of environmental problem solving process based upon the results. Component of instruction model is problem analysi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substantive justice and evaluating a solution. Timely, teachers can use and can apply it in social studies class. In conclusion, it is strongly recommend to teach environmental education linked with environmental justice. It enables us enhance a new awareness and attitude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 PDF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돌봄 능력, 자기효능감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Impact Self-leadership, Caring Ability, Self-efficacy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박소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95-403
    • /
    • 2019
  • 간호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간호제공자와 간호대상자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므로 간호대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03명이며 자료분석 방법으로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 대학생들의 돌봄 능력(${\beta}=0.39$, p<.001), 자기효능감(${\beta}=0.28$, p<.001), 셀프리더십(${\beta}=0.23$, p<.001), 성별 (${\beta}=0.14$, p<.01)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53%를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자율성에 기초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하고 인지 및 정서적 측면의 균형을 갖춘 융복합적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 최난이;남은영
    • 아동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7-67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among children aged 4-5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Methods: A total of 54 children from 24 kindergartens were assessed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Their mothers reported on meta-emotion philosophy. Their teachers were assessed on child peer competence.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child peer compet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patterns. Second,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maternal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but not by m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Conclusion: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at their emotion socialization play a significant role in identifying the mechanisms leading to child social cognitive ability and social adjustment. Furthermore, these results could lead to important basic studies in developing parent/teacher educa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