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oject Based Learning(PBL) Application Using Social Networks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기반학습(PBL) 적용이 작업치료과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Lee, Na-Yu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buk College) ;
  • Park, Ju-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ju College)
  • 이나윤 (경북전문대학교 작업치료과) ;
  • 박주영 (동주대학교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20.05.20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by applying PBL classes using social networks. Data were collected from 35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occupational therapy at K University from March to June 201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BL application using social network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mobile device use and major satisfaction. Therefore, as a learning tool for improv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e proposed a way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learning by activating PBL using social networks.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PBL 수업 적용이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K대학교 작업치료과 3학년 재학생 총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PBL을 적용하였을 때 문제해결능력의 세부항목에서 문제인식, 분석능력, 의사결정, 기획력, 평가, 피드백 영역에서 향상을 나타냈다. 둘째,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학습할 때 모바일 기기 이용 선호도와 전공만족도에 따라 문제하결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작업치료과 재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도구로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PBL을 활성화시켜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종헌, 유경훈, 김병찬. (2017).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2), 5-32.
  2. 김희영, 나세리. (2016). 소셜 네트워킹 도구를 활용한 팀기반 협력학습이 대학생의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2(4), 681-703.
  3. 변문경, 조문흠. (2016). STEAM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의 학교현장 적용 경험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10), 241-267.
  4. 김은진. (2018). 교육대학원생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증진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4(1), 53-78.
  5. 이주호. (2016). Educational Reform through Project-based Learning(PBL), 한국개발연구원.
  6. Thomas, J.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San Rafael. CA: Autodesk Foundation.
  7. Trepanier-Street, M. (1993). What's so now about the project approach?. Childhood education, 70(1), 25-28. https://doi.org/10.1080/00094056.1993.10520977
  8. 이명희. (2018). 문헌정보학의 프로젝트기반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블리아학회, 29(3), 89-109. https://doi.org/10.14699/KBIBLIA.2018.29.3.089
  9. Eggen, P. D., & Kauchak, D. P. (2001). Strategies for teachers: Teaching content and thinking skills(4th Ed.). Boston: Allyn and Bacon.
  10. 박정연. (2019). 피부미용 전공 학생들을 위한 팀기반학습(TBL) 수업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7), 469-477.
  11. 노미영, 김수연. (2018). 팀기반학습이 예비 스포츠지도자의 자기주도학습, 학습태도 및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3), 239-248.
  12. 임걸. (2010).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수업 사례연구: 의사소통 내용 및 도구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2(4), 91-114. https://doi.org/10.17927/TKJEMS.2010.22.4.91
  13. 김은영, 김정현, 최예솔. (2011). 협동학습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3(4), 665-686.
  14. 통계청. (2019). 2019년 노인 통계.
  15. 중앙치매센터. (2018). 대한민국 치매 현황, 2018.
  16. 조미림, 박보라, 양영애. (2011). 작업치료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3(2), 41-49.
  17. 피수영. (2014). 대학생들의 컴퓨터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SNS 활용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12(6), 587-595. https://doi.org/10.14400/JDC.2014.12.6.587
  18. 이석재, 장유경. (2003). 생애능력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김은진. (2018). 교육대학원생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증진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1), 53-78.
  20. 전은화, 신진. (201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이 협력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8(11), 241-254. https://doi.org/10.9708/JKSCI.2013.18.11.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