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play

검색결과 1,312건 처리시간 0.032초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인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직렬매개 효과 (Warmth Parenting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

  • 이선희;이은경;박선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57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 between warmth parenting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Methods: The 7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4) was used to analyze 1,113 preschoolers.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Hayes, 2013). Results: Warmth parenting indirectly affecte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by yielding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n self-esteem and peer play interaction. Namely, warmth parenting does not directly affect social competence but do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schooler self-esteem, which positively affected peer play interaction. This path increases the social competence(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of preschool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competenc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of preschool children, it is important for the preschooler to consider themselves a worthy person and to learn positive interaction techniques through warmth parenting.

굿놀이와 탈놀이의 제의성 고찰 -빅터 터너(V. Turner)의 사회극 이론을 바탕으로 (A Study on the Ritual of Exorcism Play and Mask Play - Based on Victor Turner's theory of social drama)

  • 양진영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581-607
    • /
    • 2019
  • 이 논문은 굿놀이와 탈놀이가 제의적 성격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 문화인류학자인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사회극(social drama) 이론을 통해 제의성을 고찰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터너는 인간사의 모든 사건을 사회적 드라마로 보고 위반(breach)→ 위기(crisis)→ 교정행동(redressive action)→ 재통합(reintegration)의 4단계 구조 이론에 기반해 해석하고 있다. 특히 마을 공동체에서 교정 단계는 법적, 정치적 해법보다는 제의적 해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다. 본고는 이런 터너의 이론에 기반해 2장에서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굿놀이인 영감놀이를 분석하고 평화적 제의에 따라 재통합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어 3장에서는 같은 원리로 꼭두각시놀음을 분석해 이 놀이의 경우 희생적 제의에 의해 교정행동이 해결되고 있음을 고찰한다. 4장에서는 앞서두 연극에서 얻은 결과가 다른 전통극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가를 확인해 본다. 이를 위해 굿놀이에서는 제주의 서천꽃놀이, 전상놀이, 세경놀이, 산신놀이 등을 대상으로, 탈놀이에서는 봉산탈춤, 양주별산대놀이, 고성오광대, 하회별신굿탈놀이 등을 대상으로 교정 단계를 분석한다. 이런 연구의 결과 굿놀이와 탈놀이가 제의적 성격에서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 본고의 논점이다. 다만 본 연구는 제의성의 차이점을 모색하는 단계에 그치고 차이가 발생하는 역사적, 사회적 원인에 대한 조명은 추후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유아의 가작화 놀이에서 상위놀이전략에 대한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Metaplay Strategies in Preschoolers′ Social Pretend Play)

  • 신유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245-255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young children's metaplay. 84 preschool subjects were videotaped as they engaged in pretend play with the same-aged peers. Dyads were identified as engaging in frequent or infrequent pretend play. Results showed that frequent pretend play dyads more engaged in request for clarification, and persuading than infrequent pretend dyads. Frequent pretend dvads were more likely to use disagreeing with reason and extending. It was concluded that developmentally useful interactions transpire outside of the pretend frame.

아버지의 놀이성과 놀이참여수준이 자녀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thers' Playfulness and Play Participation Level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 여윤재;황혜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7-125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thers' playfulness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fathers' play participation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playfulness and his child'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9 children and their fathers. The children were aged between four and five years old attending nine preschool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Results: First, fun-loving fat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operation and sociability of their children. Second, fun-loving fat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hird, fathers' play participation leve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enjoying silliness and their children's sociability. Fourth, fathers' play participation level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eing fun-loving and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ddress the need for a high level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전래놀이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Traditional Play Program』 on a Child's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y in a Community Child Center)

  • 김민석;최진아
    • 아동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9-57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a "Traditional Play Program" in a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y enrichment program at a Community Child Cente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comprised 12 children attending L Community Child Center in M city and participated in a "Traditional Play Program" for each 70minutes every week through total 10 sessions running from July 28th to September 29th in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Mann-Whitney & Wilcoxon test as non-parametric test, in addition to the progressive recording method for behavior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Traditional Play Program" enriches the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ho gets more vigorous activity sociality initiative respectively, and proves the usefulness for a Community Child Center.

유아의 상상놀이 (Imaginative Play)와 놀이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chool Child's Imaginative Play and Play Materials)

  • 이숙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85-192
    • /
    • 198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chool children's participation tendency and use of play materials in imaginative play. The subjects for the study included 22 boys and girls in nursery school. These children were observed for 110-3-minutes of play behavior during free play at nursery school, especially in block area and housekeeping a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aricipation tendency in imaginative play and age or sex, Boys engaged in more social imaginative play than girls, and four-year-olds engaged in more social imaginative play than three-year-olds. 2. There was sex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imaginative play and use of play materials. That is, boys usually chose masculine kinds of toys such as block, cars, trucks, and manipulative materials. And the boys' common fantasies were about car, robert and fighting. Girls usually chose play dough, kitchen sets, and blocks and there were maines stories of family life and cooking. 3. Children preferred to use more realistic toys in imaginative plays and there were few cases of imaginative plays with no materials.

  • PDF

어머니의 과보호와 유아의 놀이 중 또래상호작용: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Interactions with Peers During Play: The Mediating Roles of Social Immaturity and Withdrawal of Children)

  • 변수빈;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5-124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thway from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to their child's peer play interactions mediated by internalizing problems, that is, social immaturity and withdrawal. Methods: Surveys were conducted on mothers and teachers of 341 children aged three to five. SPSS 2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tructural modeling analysis was also implemented to test theoretical model using AMOS 21.0. Results: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which increased social immaturity of their child, indirectly reduced the child's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ers during play. Mothers' overprotection led to a higher level of withdrawal of their child while the effect of children's withdrawal on their peer play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Because overactive parenting of mothers had no direc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representing a path from maternal overprotection to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via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was partially supported.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hows that overprotective mothers hinder their child to experience confident and mature manners, and eventually lead their child to be socially unskillful and incompetent. It was suggested to explore mo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children to help overprotective mothers to take a step back.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silience)

  • 김정겸;신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73-181
    • /
    • 2014
  • 본 연구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유아 4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주2회 7주간 전래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주도성과 협조성, 사교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보다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회복탄력성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충동억제력, 낙관성, 문제해결력, 공감능력, 자기 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래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놀이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Play Skill and Social Interaction)

  • 홍은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5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처리장애아동에서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적용 후에 놀이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실험대상은 B지역에 거주하는 3-7세의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평가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를 통해 감각처리능력의 Sensory Profile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하였고, 관찰을 통해 놀이 기술의 The Test of Playfulness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Peer Social Interactions Rating Scale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회기 동안에는 Goal Attainment Scale를 통해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은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을 위주로 하여 구성하였고, 4주간 총 12회기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WIN 버전10.0과 엑셀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동안 평가한 GAS의 결과, 놀이기술과 감각처리에서 점차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감각통합장애아동에서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명확하게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대상의 수와 실험기간을 늘려 치료를 적용한다면,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놀이 평가 문항 개발: 델파이 연구 (Developing Social Play Evaluation Items for Preschool Children: A Delphi Study)

  • 이선희;정민예;유은영;홍익표;김정란;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3호
    • /
    • pp.97-110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Parten의 사회적 놀이의 발달 단계를 바탕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놀이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문헌 고찰을 통해 Parten의 사회적 놀이의 발달 단계에 따른 조사 문항을 수집하였다. 이후 아동 작업치료 혹은 놀이와 관련된 치료 경력 7년 이상의 전문가 패널 22명을 대상으로 총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에게 각 조사 문항에 대한 적절성 여부를 평정하게 한 후 학령전기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예비 문항의 내용에 대한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보호자의 예비 문항 이해도 조사 후 전문가 자문 회의를 거쳐 평가 방법을 수립하였다. 결과 : 자료 수집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놀이는 Parten의 사회적 놀이의 발달 단계인 6개 영역(몰입되지 않은 행동, 방관자적 행동, 혼자 놀이, 평행 놀이, 연합 놀이, 협동 놀이)으로 구성하였고, 몰입되지 않은 행동 12문항, 방관자적 행동 7문항, 혼자 놀이 14문항, 평행 놀이 16문항, 연합 놀이 17문항, 협동 놀이 23문항으로 총 89문항이 도출되었다. 델파이 조사의 평균 내용 타당도 비율은 0.85, 안정도 0.15, 합의도 0.78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연합 놀이 17문항, 협동 놀이 23문항인 총 40문항을 최종 예비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적 놀이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평가 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여 임상에서 평가도구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