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itual of Exorcism Play and Mask Play - Based on Victor Turner's theory of social drama

굿놀이와 탈놀이의 제의성 고찰 -빅터 터너(V. Turner)의 사회극 이론을 바탕으로

  • 양진영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9.07.08
  • Accepted : 2019.08.21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Noting that exorcism play and mask play are different in their ritual natu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ir ritual through the social drama theory of Victor Turner, a cultural anthropologist. Turner views every incident in human history as a social drama and interprets it based on the four-step structural theory of breach, crisis, redressive action, and reintegration. In particular, he believes that the redressive phase takes place through a ritual solution rather than a legal or political solution in the village community. Based on such Turner's theory, Chapter 2 analyzes Yeonggamnori, Jeju's typical exorcism play, and explains the process leading to reintegration in accordance with peaceful ritual. Chapter 3 then analyzes the Puppet Play on the same principle and examines that redressive action is being resolved through a sacrificial ritual in the case of this play. Chapter 4 checks whether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two plays show similar aspects in other traditional plays. To this end, the exorcism play will be analyzed for Jeju's Seocheon Flower Play, Junsangnori, Segyeongnori and Sanshinnori, while the mask play will include Bongsan Mask Dance, Yangju Byeonsandae Play, Goseong Ogwangdae and Hahoe Mask Dance.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it is the main point of the study to prove that exorcism play and mask play are different in their ritual nature. However, this research is only in the stage of seeking differences in its ritual, and the review on the historical and social causes of differences is left as a research task at a later date.

이 논문은 굿놀이와 탈놀이가 제의적 성격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해 문화인류학자인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사회극(social drama) 이론을 통해 제의성을 고찰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터너는 인간사의 모든 사건을 사회적 드라마로 보고 위반(breach)→ 위기(crisis)→ 교정행동(redressive action)→ 재통합(reintegration)의 4단계 구조 이론에 기반해 해석하고 있다. 특히 마을 공동체에서 교정 단계는 법적, 정치적 해법보다는 제의적 해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다. 본고는 이런 터너의 이론에 기반해 2장에서는 제주도의 대표적인 굿놀이인 영감놀이를 분석하고 평화적 제의에 따라 재통합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어 3장에서는 같은 원리로 꼭두각시놀음을 분석해 이 놀이의 경우 희생적 제의에 의해 교정행동이 해결되고 있음을 고찰한다. 4장에서는 앞서두 연극에서 얻은 결과가 다른 전통극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가를 확인해 본다. 이를 위해 굿놀이에서는 제주의 서천꽃놀이, 전상놀이, 세경놀이, 산신놀이 등을 대상으로, 탈놀이에서는 봉산탈춤, 양주별산대놀이, 고성오광대, 하회별신굿탈놀이 등을 대상으로 교정 단계를 분석한다. 이런 연구의 결과 굿놀이와 탈놀이가 제의적 성격에서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 본고의 논점이다. 다만 본 연구는 제의성의 차이점을 모색하는 단계에 그치고 차이가 발생하는 역사적, 사회적 원인에 대한 조명은 추후 연구과제로 남겨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