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determinants

검색결과 788건 처리시간 0.023초

조직지위의 이원성과 비정규직 고용: 한국대학의 평가형 지위와 범주형 지위가 비정규직 고용에 미치는 영향 (The Duality of Organizational Status and Temporary Employment: The Impact of Evaluated Status and Categorical Status on Temporary Employment in Korean Universities)

  • 정대훈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3호
    • /
    • pp.89-101
    • /
    • 2023
  • Purpose - This paper discusses an impact of status on organization's temporary employment. Status not only offers various opportunities for organization but also places constrains on organization. In this perspective, we propose that organization's temporary employment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status.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predict that organization's evaluated status has a U-shaped relationship with temporary employment because organizational social insecurity varies by the status. Moreover, we predict that organization's categorical status has a positive effect on temporary employment since organizational legitimacy varies with the status and that the effect will be enhanced by an organizational niche. To verify these predictions, we examined a regression analysis using panel data of temporary employment in Korean universities. Findings -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re is a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ies' evaluated status and temporary employment. This implies that the middle status university is likely to minimize temporary employment because of conformity pressure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s categorical status has a positive effect on temporary employment and the effect is enhanced by university's market concentration. This suggests that the categorical status has a strong impact on specialist university.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paper contributes the development of temporary employment theory by applying duality of organizational status and identifies the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temporary employment in Korean universities.

공간적 상관성을 고려한 민수용 도시가스 수요결정 요인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s of Civilian City Gas Demand Considering Spatial Correlation)

  • 박은비;원두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3권1호
    • /
    • pp.59-86
    • /
    • 2024
  • 최근 도시가스 수요에 관한 연구는 광역별, 지역별로 각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미시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때 인접지역이 가지는 사회구조의 유사성과 공급 인프라의 밀집성은 지역 간 미시적인 관계를 가지는 군집성과 공간적 상관성을 유도한다. 이에 민수용 도시가스 수요에 대해 34개 도시가스사의 관할지역을 기준으로 총 54개의 지역으로 구분한 후 공간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전역적, 국지적 관점에서 양의 공간적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54개 지역에 대한 민수용 도시가스 수요를 패널데이터로 구성하여 공간패널회귀분석과 일반 패널회귀분석을 비교하였으며, 오차에 공간적 효과가 존재하는 공간오차모형(SEM)이 가장 적합한 모형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한 지역의 민수용 도시가스 수요가 인접지역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Ginseng, Tribulus Terrestris, and L-arginine on the Sexual Performance of Men with Erectile Dysfunction: a randomized, double-blind, parallel, a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 Reza Tahvilian;Mohammad Amin Golesorkhi;Farajollah Parhoudeh;Fatemeh Heydarpour;Hossein Hosseini;Hojjat Baghshahi;Hossein Akbari;Mohammad Reza Memarzadeh;Mehdi Mehran;Hosna Bagheri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2-90
    • /
    • 2024
  • Objectives: Nitric oxide is the most important mediator of penile erection after the onset of sexual excitement. It activates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 increasing penile blood flow. Most pharmaceutical medications prevent enzyme phosphodiesterase type 5 (PDE-5) from breaking down cGMP, thus keeping its level high. However, due to the adverse effects of pharmacological therapies, herbal drugs that improve sexual function have gained attention recent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mbined effects of ginseng, Tribulus terrestris, and L-arginine amino acid on the sexual performance of individuals with erectile dysfunction (ED) using the 5-item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 (IIEF-5) questionnaire. Methods: Over three months, 98 men with erectile dysfunc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500 mg of herbal supplements or placebo pills. Each herbal tablet contained 100 mg of protodioscin, 35 mg of ginsenosides, and 250 mg of L-arginin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s in the average scores of ILEF-5 withi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dicated that all parameter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sexual function in patients with erectile dysfunction improved in the herbal treatment group (p < 0.001). The herb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IEF-5 scores in nondiabetics (p < 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IIEF-5 scores between the two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in diabetic patients. Conclusion: In conclusion, ginseng, Tribulus terrestris, and L-arginine have properties that increase energy and strengthen sexual function, making them suitable for patients with sexual disorders.

The Effects of Coenzyme Q10 Supplementation on Oxidative Status and Lipid Profile in Migraine Patients: A Randomized Double-Blinded Controlled Clinical Trial

  • Monireh Dahri;Atefeh Sarafan Sadeghi;Naseh Pahlavani;Elyas Nattagh-Eshtivani;Mazyar Hashemilar;Mohammad Asghari-Jafarabadi;Hanieh Barghchi;Ali Tarighat-Esfanjani
    • Clinical Nutrition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57-268
    • /
    • 2023
  • Migraine is a common neurological disease cor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and lipid profile disorder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enzyme Q10 (Co-Q10) supplementation on oxidative status and lipid profile in migraine individuals. This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on 84 females aged 18-50 years, diagnosed for episodic migrain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Subjects were randomized to receive either Co-Q10 supplement (400 mg/day) or placebo for 12 weeks. Lipid profile and oxidative stress indices including malondialdehyde (MDA)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both groups. Also, anthropometric indices, dietary intakes, and clinical features were collect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16. Seventy-seven of the participants, with mean age of 33.70 ± 7.75 years, completed the study. After 12-week intervention, Co-Q10 led to a significant decrease in MDA levels compared to placebo (p = 0.009), with no effect on TAC levels (p = 0.106).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Co-Q10 concentration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evel in Co-Q10 group was observ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ther lipid profile variables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Among anthropometric variables, Co-Q10 only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body fat percentage (BFP), but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changes in others. A 12-week Co-Q10 supplementation led to significant improvement in clinical features, BFP, and HDL-C level among migraine individuals.

Impact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as COVID-19 vaccine adjuvant on sperm parameters and sex hormones in men with idiopathic infertility: Two separate pre-post studies

  • Mahtab Zarepoor;Alireza Nazari;Soheila Pourmasumi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1권2호
    • /
    • pp.125-134
    • /
    • 2024
  • Objective: Vitamin D deficiency is a major problem for human health worldwide. The mechanisms of vitamin D i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are unknown. After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vaccines were developed, doubts were raised about their possible effects on male fertility. Based on vitamin D's function in the immune system, its potential role as an adjuvant for COVID-19 vaccines is intriguing.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effects of vitamin D first on sperm parameters and sex hormones, and then as an immune adjuvant on sperm parameters and sex hormones after study participants had received their second doses of COVID-19 vaccines. Methods: Phase 1 (before the COVID-19 pandemic) included 72 men with idiopathic infertility, and phase 2 had 64 participants who received two doses of COVID-19 vaccines. Both groups were instructed to take 50,000 IU of vitamin D twice monthly for 3 months. Sperm parameters and sex hormones were assessed pre-and post-supplementation. Results: Regular vitamin D intake for 3 month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rticipants' vitamin D levels (p=0.0001). Both phas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itamin D intake and sperm parameters. Vaccination had no negative effects on sperm parameters and sex hormones. Vitamin D was associated wit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p=0.02) and testosterone (p=0.0001) in phase 2 after treatment. Conclusion: Our results support vitamin D supplementation as an immune adjunct to COVID-19 vaccination for improving sperm parameters and hormone levels. COVID-19 vaccination is not harmful for male fertility potential, and vitamin D is an effective factor for male fertility.

맞벌이 부인의 가족지원서비스 필요도 결정요인 : 전문직과 생산직 모델 비교 (Determinants of Dual-earner Wives' Needs for Family-supportive Services: A Comparison of Professional and Blue-collar Models)

  • 이명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6권
    • /
    • pp.199-228
    • /
    • 1998
  • 맞벌이 부인의 가족지원 서비스 필요도를 결정짓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맞벌이 부인의 스트레스와 역할과중을 증대시키는 직장과 가정의 상황 구조적 요인들을 나타내는 여섯 가지 스트레스원, 역할과중, 스트레스, 네 종류의 맞벌이가족 지원서비스 (보육비지원 서비스, 직장내 보육서비스, 휴직제도, 유동근무제도)에 대한 필요도 간의 상호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포괄적인 이론모델을 개발하였다. 맞벌이가족 지원서비스 필요도를 결정짓는 요인에 있어서의 계층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해, 전문직 맞벌이 부인과 생산직 맞벌이 부인의 모델을 별도로 개발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진주.사천지역에 거주하는 234명의 전문직 맞벌이 부인과 208명의 생산직 맞벌이 부인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하여 검증되었다. 공변량 구조분석을 이용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최적의 이론구조모델이 선정되었다 (전문직 모델: df=141, GFI=0.928, CFI=0.965; 생산직 모델: df=141, GFI=0.902, CFI=0.912). 자료분석 결과, 현재 이용 중인 보육서비스에 대한 불만족도가 높을 수록, 근무시간이 길 수록, 맞벌이 부인들의 역할과중은 증가하며, 역할과중은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록, 맞벌이 부인들은 휴직제도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녀가 어릴 수록 보육비 지원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자녀의 나이가 증가될 수록 유동 근무제도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비지원 서비스에 대한 필요도가 높을 수록 직장내 보육서비스에 대한 필요도가 높으며, 직장내 보육서비스의 필요도가 높을 수록 휴직제도에 대한 필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휴직제도에 대한 필요도가 높을 수록 유동근무제도에 대한 필요도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전문직과 생산직 맞벌이 부인 모두에게 일반화될 수 있는 9가지 공통적 인과관계를 제외하고는 전문직과 생산직 부인의 서비스 필요도 결정요인에 있어 상당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두 집단의 공통적 요인과 차별적 요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각 직장의 환경과 개인의 필요에 따라 맞벌이 부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차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

외환위기 이후 계층의 양극화: 변화된 일상과 소비생활 (The Gap between Social Stratification in the Aftermath of the 1997 Financial Crisis: The Change of Living Conditions and Daily Life as a Consumer.)

  • 남은영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0권1호
    • /
    • pp.1-3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외환위기가 발생한 후 년 동안 한국사회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소득 및 소비생활의 변화와 소비의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와 함께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경제적인 난관과 동시에 발생한 개인해체 및 사회해체를 포함하여 제반 사회문제들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외환위기에 따른 충격의 정도와 범위가 개인 및 집단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외환위기 이후 10년 동안의 중산층 귀속감을 통하여 중산층 잔류 및 이탈을 살펴보았을 때, 과거에 중산층이었던 사람들의 약 60%가 중산층에 잔류하였고 나머지 40%는 중산층에서 이탈하여 지위의 하락을 경험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3명 중 1명 이상이 소득과 자산이 감소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산 및 소득의 감소는 개인들의 일상생활과 소비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자산이나 소득이 감소한 사람들에게서 실업, 부도와 신용불량, 건강악화, 우울증과 자살충동, 그리고 가족해체 등을 경험한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계층이동에 따라서도 유사한 양상을 보여, 중산층에서 이탈한 사람일수록 이러한 개인해체 및 가족해체와 같은 일상의 부정적인 변화를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의 충격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생활비규모의 축소 및 건전소비가 확산되었으나, 소비행위는 양극화되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명품선호 경향과 지위소비의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계층별 소비생활에서도 핵심적 중산층은 교육비부담을 하층은 생계비 부담을, 가장 많이 지목하고 있는 가운데, 소득이나 자산이 감소한 집단과 중산층에서 이탈한 집단일수록 사교육비의 부담을 많이 느끼며 강한 교육가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녀교육에 대한 투자는 지속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환위기의 굴절양상이 계층별로 차별화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자산과 소득의 증가 및 감소여부와 계층이동의 양상이 일상의 변화 및 소비생활의 양극화를 초래하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 PDF

수도권 거주 결혼이주여성 가구의 식품환경과 식품불안정성 간의 관련성 (A relationship between food environment and food insecurity in households with immigrant women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육성민;황지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3호
    • /
    • pp.264-276
    • /
    • 2023
  •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구조적·자연적, 정치적·경제적, 사회문화적 영역에서의 식품환경 요소들과 가구 식품불안정성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1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국, 베트남, 일본, 캄보디아, 몽골, 러시아, 대만 출신의 결혼이주여성 249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BE2018-34). 식품환경 요소는 구조적·자연적 영역에서 유용성과 접근성, 정치적·경제적 영역에서 가용성과 식품지원 및 영양교육 수혜 경험, 사회문화적 영역에서 영양지식, 조리능력, 양육방식, 가족과의 식사, 사회적 지지, 미디어의 영향력이 포함되었다. 가구 식품 불안정성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안정성 측정 도구로 측정 및 계산되었다. 응답이 불충분하거나 식품불안정성 점수 산출이 어려운 경우를 제외한 229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문화적 영역의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가족들의 사회적 지지가 가장 먼저 모델에 포함되었으며, 정치적·경제적 영역의 식품지원 서비스 수혜 경험 여부와 구조적·자연적 영역의 지난 1주일간 식품 보유 상황이 순서대로 추가되었다. 결과적으로 식품불안정성은 사회적 지지 및 식품 보유 상황과는 음의 연관성, 식품지원 서비스 수혜경험과는 양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세 가지의 식품환경 요소가 포함된 최종회귀모델은 가구 식품불안정성에 대하여 약 3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justed R2 = 0.298, p < 0.001).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편적으로 가구 식품불안정성의 영향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식품지원 수혜 경험과 같은 경제적 요인이나 식품 보유 상황과 같은 물리적 요인 이외에도 가족들의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가구 식품불안정성과 연관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가정의 가구 식품불안정성 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 프로그램이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가족 간 관계나 가족 및 지역사회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등 사회문화적 측면까지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기획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사회생태적 모델을 적용한 쪽방 주민의 정신건강 영향요인 분석 (Effects of socio-ecological factors on mental health of the residents in a single room occupancy (Jjok-bang) of South Korea)

  • 허현희;차선화;정혜주;김진성;조민진;문다슬;차수진;유사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9-52
    • /
    • 2015
  • Objectives: Residents of a single room occupancy (Jjok-bang) in Seoul are at high risk of having mental health issues. The majority of residents live in single households with past traumatic experiences including self-deprivation and social exclus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ental health and socio-ecological factors at the intrapersonal and community levels. Methods: We conducted face-to-face surveys in Dongja-dong Jjok-bang area in June, 2014. Of 78 participants, 76% were male and the mean age was 60 years (SD=11.53). A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among depression, a sense of well-being, socio-ecological factors, and perceived empowerment and community solidarity. Results: Perceived empowerment (${\beta}=0.83$; 95% CI=0.40, 1.26) and community solidarity (${\beta}=0.52$; 95% CI=0.04, 1.01)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sense of well-being. Participants with empowerment (${\beta}=-2.55$; 95% CI=-4.86, -0.23) and those with community solidarity (${\beta}=-2.36$; 95% CI=-4.94, 0.21)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being depressed. Conclusion: Mental health of the residents in Jjok-bang was more influenced by empowerment and community solidarity than socio-demographic facto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public health infrastructures that can enable the residents to enhance empowerment and community solidarity utilizing socio-ecological perspectives.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 K 광역시를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Depression Factors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 Residents : Focusing on K-Metropolitan City)

  • 이형하;박종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19-32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부정적인 정신건강상의 문제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연결고리를 파악하고, 지역사회의 차원에서 우울감 감소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K광역시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 1,920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분석 결과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 대상자의 절반이 넘는 51.1%가 우울 증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가구주 성별, 연령, 일인가구, 사회보장급여 수급이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연령제곱과 경제활동 참여는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사회공동체 변인 중에는 이웃에 대한 생각과 이웃참여의사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건강상태 변인 중 신체적 건강 어려움과 정신적 건강 어려움이 우울에 정적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개입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