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area estimation

검색결과 330건 처리시간 0.026초

Mean estimation of small areas using penalized spline mixed-model under informative sampling

  • Chytrasari, Angela N.R.;Kartiko, Sri Haryatmi;Danardono, Danardon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7권3호
    • /
    • pp.349-363
    • /
    • 2020
  • Penalized spline is a suitable nonparametric approach in estimating mean model in small area. However, application of the approach in informative sampling in a published article is uncommon. We propose a semiparametric mixed-model using penalized spline under informative sampling to estimate mean of small area. The response variable is explained in terms of mean model, informative sample effect, area random effect and unit error. We approach the mean model by penalized spline and utilize a penalized spline function of the inclusion probability to account for the informative sample effect. We determine the best and unbiased estimators for coefficient model and derive the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estimators for the variance components. A simulation study shows a decrease in the average absolute bias produced by the proposed model. A decrease in the root mean square error also occurred except in some quadratic cases. The use of linear and quadratic penalized spline to approach the function of the inclusion probability provides no significant difference distribution of root mean square error, except for few smaller samples.

Estimating small area proportions with kernel logistic regressions models

  • Shim, Jooyong;Hwang, Changha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4호
    • /
    • pp.941-949
    • /
    • 2014
  • Unit 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mixed effects has been used for estimating small area proportions, which treats the spatial effects as random effects and assumes linearity between the logistic link and the covariates. However, when the functional for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gistic link and the covariates is not linear, it may lead to biased estimators of the small area proportions. In this paper, we relax the linearity assumption and propose two types of kernel-based logistic regression models for estimating small area proportions. We also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our propose models using simulated data and real data.

일반화추정방정식을 활용한 소지역 추정과 실업률패널분석 (Small Area Estimation via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and the Panel Analysis of Unemployment Rates)

  • 여인권;손경진;김영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4호
    • /
    • pp.665-674
    • /
    • 2008
  • 기존의 소지역추정 연구에서는 대부분 특정 시점에서의 관심 모수를 추정하는 문제를 다루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식통계들은 월, 분기, 또는 년 단위로 반복적으로 얻어지는 패널자료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추정방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반복측정 또는 다시점자료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일반화추정방정식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소지역추정에서 시간종속성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알아본다. 실증분석에서는 2005년 1월에서 12월까지의 경상남도 및 울산광역시 월별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시군구별 실업률과 실업률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는 설명변수의 관계를 일반화선형모형과 일반화추정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해 보고 시간종속성을 고려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을 비교해 본다.

비모수와 준모수 혼합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 (Semiparametric and Nonparametric Mixed Effects Models for Small Area Estimation)

  • 정석오;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6권1호
    • /
    • pp.71-79
    • /
    • 2013
  • 지역 또는 도메인에 작은 크기의 표본이 배정되어 추정의 정도가 나쁜 경우에 사용되는 준모수적 또는 비모수적 소지역 추정법은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커널을 이용한 국소다항 혼합모형 소지역 추정법과 벌점 스플라인을 이용한 혼합모형 소지역 추정법이 연구되었다. 이 두 방법과 소지역추정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선형 혼합모형을 모의실험을 통해 그 우수성을 비교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in Bayesian semiparametric approach to small area estimation

  • Heo, Simyoung;Kim, Dal H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1433-1441
    • /
    • 2016
  • Small area model provides reliable and accurate estimations when the sample size is not sufficient. Our dataset has an inherent nonlinear pattern which signicantly affects our inference. In this case, we could consider semiparametric models such as truncated polynomial basis function and radial basis function. In this paper, we study four Bayesian semiparametric models for small areas to handle this point. Four small area models are based on two kinds of basis function and different knots positions. To evaluate the different estimates, four comparison measurements have been employed as criteria. In these comparison measurements, the truncated polynomial basis function with equal quantile knots has shown the best result. In Bayesian calculation, we use Gibbs sampler to solve the numerical problems.

이웃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간 소지역 추정량 비교 (Comparison of Spatial Small Area Estimators Based on Neighborhood Information Systems)

  • 김정숙;황희진;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5호
    • /
    • pp.855-866
    • /
    • 2008
  • 최근 격자자료(lattice data) 분석 방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small area estimation)이 연구되고 있으며 좋은 결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지역 추정에 주로 사용되는 격자자료(lattice data) 분석의 경우 가장 자료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이웃정보시스템을 사용하여야 분석의 효율을 향상시킨 수 있다. 최근 이강석과 신기일 (2008)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여러 이웃정보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강석과 신기일(2008)이 제안한 여러 이웃정보시스템이 소지역 추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MSE, 커버리지, 캘리브레이션 그리고 회귀분석 방법 등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2001년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실업자수 자료가 비교에 사용되었다.

탐색 영역 재설정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예측 방법 (Fast Block Motion Estimation based on reduced search ranges in MPEG-4)

  • 김성제;서동완;최윤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529-531
    • /
    • 2005
  • A block-based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is proposed in this paper to perform motion estimation based on the efficiently reduced search ranges in MPEG-4(ERS). This algorithm divides the search areas into several small search areas and the candidate small search area that has the lowest average of sum norm difference between current macroblock and candidate macroblock is chosen to perform block motion estimation using the Nobel Successive Elimination Algorithm (NSEA).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oposed algorithm show that the averaging PSNR improvement is better maximum 0.125 dB than other tested algorithms and bit saving effect is maximum 20kbps for some tested sequences in low-bit rate circumstance.

  • PDF

공간통계량을 활용한 베이지안 자기 포아송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통계 (Small Area Estimation Using Bayesian Auto Poisson Model with Spatial Statistics)

  • 이상은
    • 응용통계연구
    • /
    • 제19권3호
    • /
    • pp.421-430
    • /
    • 2006
  • 표본조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지형학적 범위가 넓거나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지형적 범위 즉시 또는 도 단위로 표본설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지형학적 범위가 작은 소지역은 충분한 표본의 확보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정확한 소지역 통계를 얻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로 정확한 소지역 통계를 얻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신기일과 이상은(2003)은 공간통계 모형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신기일과 이상은(2003)의 공간자기회귀(Spatial Autoregressive: SAR) 모형을 확장한 모형인 베이지안 자기 포아송 모형 (Bayesian Auto-Poisson Model: BAPM)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호주의 1998년 장애인 통계 (Survey of Disability, Aging and Cares:SDAC)이 며 MSE, MB 그러고 회귀 분석을 이용한 편의 분석기법이 비교에 사용되었다.

지역건강 격차조사를 위한 지역사회건강조사의 활용 - 전라북도 군산시 사례 - (Usefulness of Community Health Survey for Regional Disparity Study in Gunsan-si, Jeollabuk-do)

  • 고대하;권근상;이주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4호
    • /
    • pp.185-194
    • /
    • 2019
  • 본 연구는 전라북도 군산시의 사례를 통해 침체된 지역 경제가 군산시민의 건강행태, 특히 정신 건강에 악화 요인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군산시 산업 중심 지역인 서부생활권(소룡동, 미성동)을 중심으로 소지역추정법을 이용한 분석 결과, 서부생활권 주민의 건강수준이나 정신건강 수준이 악화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소지역추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경우 제한점이 있지만, 지역간 격차나 건강수준 평가에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