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care products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2초

1920~1930년대 백분 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최상의 가치 -전통미와 근대미의 과도기적 대립을 중심으로- (Highest Value Shown in Baekbun (白粉, Face Powder) Advertisement Texts from the 1920s to the 1930s -Focus on a Transitional Confrontation between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Beauty-)

  • 백주현;채금석;김소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544-559
    • /
    • 2018
  • Korea's traditional aesthetic criterion changed with a new makeup culture that followed the social change caused by modernization. Such transitional features are well seen in the cosmetic advertisements of the 1920's and 1930'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criteria changes of makeup culture at this period, this thesis analyzes cosmetic advertisements carried in newspaper media of the 1920's and 1930's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This study found that after the late 1920's, more diverse tones were used for face-powder makeup, collapsing the visual, powder-focused makeup which had been considered criteria for beauty, in combination with smelling and tactile senses such as scent or touch. Domestic makeup had the highest value attached to basic skincare in terms of the aesthetic effect via powder makeup; however, Japanese makeup still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lor. Besides, particular facts were found as to social significance of makeup acts such as powder users' age group, safety, superiority and rivals of products, and appeal for makeup popularization. This thesis demonstrates how traditional female beauty appears in powder advertisements in the modern period and how it is related to present-day female beauty.

여드름의 인지도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Students Perception on Acne)

  • 양현옥;나영순;백승화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9-150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e a perception on acne for the Junior college student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uitable treatment of acne to the students and the specialists. For this study, self-administering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80 students from 13 departments at a suburban women's junior college from May 1 to May 3, 1996. Of the students, 399 were responded and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questionnaire includes the general question of objects, the question of knowledge and attitude of acne, and its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ge distribution for the group less than 20 years was 63.7% and over 20 years was 36.3%, the group with acne was 66.2% and the group without acne was 33.8%. Proportions of acquiring the knowledge on acne was 49.6% from newspaper or magazine, 47.15 from friends, and 26.85 from TV or radio. 2. With regard to the knowledge on the presence of acne, a proportion of correctly answered for the question on the cause of acne was $3.41{\pm}1.02$ for the group with acne compared with $3.16{\pm}0.89$ for those without acne.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3. With regard to the knowledge levels on the treatment of acne, a proportion answered' skin-care center' for the question on where to select for the profer treatment was $13.21{\pm}1.88$ compared with $12.09{\pm}1.88$ for the other group.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 proportion of answered 'squeezing out acne by themselves' for the question of how to treat was $12.26{\pm}1.91$ compared with $10.83{\pm}1.25$ for the other group. 4. In the treatment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group with acne, the positive group replied 'YES' in the intention of treatment by themselves was 55.9%.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n the presence of acne are not significant and it was found that the knowledge and attitude for the group with acn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reatment behavior.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ause of acne, provoking factors, remedy etc. For this, it is necessary to a provide an accurate information to professionals to enhance the knowledge of acne and to treat it properly.

  • PDF

식물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한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가용화와 유화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bilizing and Emulsifying Action of Tocopheryl Acetate using Plant Surfactant)

  • 김인영;배보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93-905
    • /
    • 2020
  • 이 연구는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가용화와 유화력에 관한 연구이다. 고순도의 폴리글리세릴-10이소스테아레이트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를 혼합하여 우수한 가용화력과 유화력을 가진 식물성계면활성제를 합성하였다. 이 혼합원료의 이름을 Solubil EWG-1100으로 칭하였다. 이 원료의 외관은 엷은 노란색의 페이스트, 고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었고, 비중은 1.12, 산가는 0.085이었다. 이 계면활성제의 HLB값은 평균값=15.18로 Griffin식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이 계면활성제가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 거동을 메커니즘적으로 검증하였다. 가용화의 성능은 유관으로 평가하는 방법과 UV분광광도계로 650 nm에서 투과도 측정을 통하여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 3 %의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한 처방에서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가용물의 약 5 배가 필요하였다. 에탄올을 보조용매로 사용하지 않은 처방에서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가용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가용물의 약 7 배가 필요하였다. 또한 10 %의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화하는데 필요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1 wt%, 유화입경은 3.5 mm이었다. 안정하고 미세한 유화입자를 얻기 위하여, 토코페릴아세테이트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Solubil EWG-1100의 농도도 함께 증가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H변화에 따른 계면활성제의 가용화력을 실험한 결과 pH=3.2의 산성영역, pH=7.0의 중성영역, pH=11.8의 알칼리성영역에서도 안정화된 가용화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킨케어처방, 민감성피부용제품, 악건성피부용 제품을 개발하는 화장품 분야에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중.일 삼국여대생들의 화장품구매실태 연구 (Cosmetics Buying Patterns and Satisfaction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Japan and Korea)

  • 최주영;김경희;김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72-178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외모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왕성한 한, 중, 일 세 국가의 여대생들의 화장품구매실태를 조사하고 화장품이용과 관련한 만족, 불만족이유에 대한 세 국가 간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국내 화장품업계의 국내외 진출시 마케팅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었다. 본 연구는 서울, 베이징, 도쿄에 거주하는 남녀공학대학에 재학중인 여대생 1,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세 국가의 여대생들의 화장품구매실태와 화장품과 관련한 만족, 불만족의 차이가 있었다. 중국여대생들은 구매처의 신뢰도와 브랜들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불만족 화장품에 대해서는 교환을 통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불만족경험을 줄이고 고급스럽고 믿을 수 있는 품질의 제품으로 백화점에 진출하는 마케팅전략이 중국시장진출 시 필요하며, 일본여대생들은 광고와 잡지모델이 중국, 한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구매 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슈퍼마켓과 약국을 통해 저렴한 화장품구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본시장진출 시 광고를 통해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고 슈퍼마켓과 약국으로 유통망을 확대하고 품질대비 저렴한 가격전략이 필요하며 한국여대생들은 화장품구매시 친구나 동료 등과 같은 인적네크워크를 통한 구전과 저렴한 가격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 품질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긍정적인 구전효과를 통한 마케팅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산화규소가 코팅된 산화아연의 제조와 자외선 차단 특성 (Preparation of Silica Coated Zinc Oxide and UV Protection Effect)

  • 김원종;강국현;이기용;김태원;최종완;이동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1-131
    • /
    • 2014
  • 산화아연은 뛰어난 자외선 산란효과로 인해 자외선 차단 화장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 화장품용으로 쓰이는 산화아연은 자외선 차단 특성, 사용감, 광촉매 활성 저하, 분산성 및 안정성 등을 보다 우수하게 하기 위해 이산화규소 등의 물질로 표면처리 하는 방법이 시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 노화의 원인인 자외선을 차단하는 이산화규소가 코팅된 산화아연 복합 분체를 개발하였다. 화장품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마이크로 크기의 산화아연에 사용감, 자외선 차단 특성을 보다 우수하게 하기 위해 산업적인 용도로 많이 쓰이는 규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코팅하였다. 이산화규소를 코팅하기 위해 규산나트륨과 산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한 수열합성법을 적용하였다. 제조된 복합 분체의 자외선 차단 효과는 UV-Vis과 in-vitro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화장품에 실제 적용 하였을 때의 실질적인 장점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관능 평가를 통해 비교분석 하였다.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의 인식도 및 구매 행동에 따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Cosmeceutical Cosmetics and Medical Cosmetics)

  • 이호경;유선희;리순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3-83
    • /
    • 2019
  •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으로 분류하여 각 구매 행동 차이 및 만족도를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20대~50대까지의 성인 남 녀를 대상으로, 총 861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총 446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에 대한 용어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으며, 각 구매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코스메슈티컬 화장품은 구매 선호도 요인 중 품질, 가격, 용기 디자인, 서비스가 만족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p<0.05, p<0.01, p<0.001), 특히 품질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메디컬 화장품은 구매 선호도 요인 중 브랜드 이미지, 가격, 용기 디자인이 만족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p<0.01, p<0.001), 브랜드 이미지에 대해 가장 큰 만족도를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코스메슈티컬 화장품과 메디컬 화장품의 특징을 세분화 하여, 각 구매 행동과 선호도에 따른 차별화된 제품 개발에 힘써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O/W형 유화상에서 pH변화에 따른 액정구조의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Liquid Crystalline Structure depend on pH Change in O/W Emulsion)

  • 김지섭;홍진호;전미경;김인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45-554
    • /
    • 2017
  • 이 연구는 국산화 한 액정형성 유화제에 대하여 선진사의 액정형성제를 사용하여 pH변화에 따른 안정성에 관한 것이다. 국산화한 액정유화제는 SugarCrystal-LC ((주)바이오뷰텍, 한국)를 사용하였고, 비교시료는 Nikkomulese-LC (니코캐미칼즈, 일본)와 Alacel-LC (Croda 캐미칼즈, 영국)를 사용하여 액정형성의 생성력을 실험하였다. 액정형성은 산성 (pH=4.2)에서, 중성 (pH=7.0) 그리고 알칼리성 (pH=11.7)에서 액정구조가 생성되는지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교반 속도에 따른 액정의 형성 입자를 편광현미경으로 관찰 하였다. 교반 시간은 모두 동일하게 3분 동안 Homo-mixer로 교반하였고, 교반속도는 2500rpm, 3500 rpm, 4500rpm으로 증가시켜 액정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계면활성제가 2종의 외국산 보다 안정하고, 선명한 액정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영국산의 경우 유화입경이 분균일하여 불안정한 상태를 보였다. 일본산의 경우, 한국산과 유사한 구조와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산 계면활성제는 외국산과 비교하여 우수한 유화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응용분야로 국산화한 Sugar Crystal-LC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액정크림, 로션, 아이크림 등 다양한 제형개발이 가능하고, 화장품산업은 물론 의약품산업 및 제약산업에서 피부외용제의 유화기술로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라울리아 신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Tissue-cultured Shoot Clumps from Raoulia australis)

  • 박창민;한나경;정민석;백기엽;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49-35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장치를 이용하여 조직 배양된 라울리아 신초에 대하여 화장품 성분으로써 응용가치를 평가하였다. 조직 배양한 라울리아 신초에 대한 항산화 및 항염 활성 효과를 연구하였다. 라울리아는 뉴질랜드나 호주에서 자생하는 국화과의 야생초본식물이다. 이미 몇몇 보고 된 논문에서 라울리아는 기관지염, 수막염 그리고 호흡기 질병 등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실험 결과 조직배양된 라울리아 신초 추출물은 자연 상태의 라울리아 추출물과 비교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 효과가 우수하였다. 조직 배양된 라울리아 신초 추출물은 자연에서 자란 라울리아 추출물보다 $50{\mu}L/mL$ 농도에서 10~25%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조직 배양된 라울리아 신초 추출물은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이 자연에서 자란 라울리아 추출물보다 억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로, 조직배양 한 라울리아 신초 추출물은 피부 보호를 위한 천연 화장품 성분으로써 우수한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에멀젼 반전법으로 제조된 쿼세틴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 (The Effects of Ethanol on Nano-emulsions Containing Quercetin Prepared by Emulsion Inversion Point Method)

  • 박수남;원보령;강명규;안유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9-8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쿼세틴을 함유하는 안정한 나노에멀젼의 조성을 찾고 POE (30) hydrogenated castor oil (HCO-30)/오일/쿼세틴/에탄올/물로 이루어진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나노에멀젼은 저에너지법인 emulsion inversion point (EIP) 법과 고에너지법인 균질기(homogenizer)를 병합하여 제조하였다.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과 다른 성분들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입자 크기, 에멀젼의 형태, 그리고 입자 분포와 같은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나노에멀젼에 대한 쿼세틴의 최적 농도는 0.2 %였다. 계면활성제인 POE (30) hydogenated castor oil (HCO-30) 농도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를 보면, 2.00 %부터는 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300 nm 이하였으며 HCO-30을 4.75 %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이 가장 안정하고 입자 크기도 172.40 nm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에탄올 4.00 %를 함유한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128.15 nm이고 입도 분포 또한 좁게 나타났다. 나노에멀젼의 불안정화 과정은 Ostwald ripening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노에멀젼에 대한 에탄올의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소량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약물의 봉입률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만듦으로써 스킨 로션, 에센스 및 향수와 같은 화장품과 제약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병원종사자의 코스메슈티컬화장품에 대한 제품선택이 마케팅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spital workers cosmeceutical cosmetics product selection on marketing communications)

  • 강유나;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88-98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메디컬스킨케어에 맞추어 등장한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을 사용하는 병원종사자의 제품선택이 마케팅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실시하였다.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이 주로 사용, 판매되어지고 있는 병원의 병원종사자를 대상으로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와의 불만에 대응하고 부정적 이슈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비자와의 우호적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대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병원(피부과, 성형외과, 여성의원, 기타병원)에서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을 사용하는 병원종사자를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되었다. 총 502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분석은 Cronbach's ${\alpha}$, one-way ANOVA, 탐색적요인 분석 및 Duncan 테스트로 구성되었다. 또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수행하였고, 가설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을 선택할 때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제품의 가치, 품질, 가격 요인이 마케팅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즉, 제품의 가치 및 품질을 가장 중시함과 동시에 합리적인 가격을 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향후 코스메슈티컬화장품만의 차별화된 제품을 추구하고 트랜드의 변화양상에 맞추어 코스메슈티컬화장품의 잠재고객 확보 및 판매증대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