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barrier func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9초

Adenophorae Radix 뿌리 추출물에 의한 Keratinocyte의 분화 및 피부장벽 기능에 대한 연구 (Study on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Skin Barrier Function of Adeonphorae Radix Root Extracts)

  • 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9-335
    • /
    • 2017
  • Triterpenoid, saponin,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Adenophorae radix (A. radix)의 뿌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와 피부장벽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A. radix의 뿌리 추출물은 CV-1 세포를 이용하여 $PPAR{\alpha}$ 발현을 살펴본 결과, Wy-14,643 $0.5-1.0{\mu}M$ 수준의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인체 각질형성 세포주(HaCaT)와 각질형성세포(nomal human keratinocyte)에 대한 각질형성능(cornified envelop formation, CE)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HaCaT 세포에 A. radix의 뿌리 추출물 처리하였을 때, transglutaminase (TGase-1)의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A. radix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간단한 화장품 제형을 약 2주간에 걸쳐 임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TEWL의 유의적 감소와 수분량의 증가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하박 내측에서 지질을 추출하여 세라마이드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A. radix의 뿌리 추출물을 건조피부나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갈로카테킨-3-갈레이트가 풍부한 열전환 카테킨의 피부 장벽 회복에 대한 개선 효과 (Effect of Heat-epimerized-catechin-mixture Rich in Gallocatechin-3-gallate on Skin Barrier Recovery)

  • 김정기;신현정;이상민;전희영;이상준;이병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3-99
    • /
    • 2008
  • 지금까지 (-)-epigallocatechin-3-gallate(EGCG)는 인간의 피부에 유용한 녹차 카테킨 중에서 가장 강력한 항산화 성분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팀은 용매, 온도, 압력 등 다양한 조건을 변화시키며, 멸균과정(autoclaving) 중에 발생하는 이성질체화(epimerization) 과정을 연구하여, gallocatechin-3-gallate(GCG) 함량이 크게 증가된 열전환-EGCG-복합체(heat-epimerzied-EGCG-mixture, HE-EGCG-mix)를 순수한 EGCG로부터 조제 하였다. 이러한 열전환-EGCG-복합체는 무모쥐 SKH-1을 이용한 실험에서,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 시에 인보루크린 7(involucrin 7) 단백질의 발현량을 EGCG 처리 시보다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GCG는 $PPAR-{\alpha}$에 대한 전이활성(transactivation) 효과가 EGCG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열전환-EGCG-복합체에 함유된 고함량의 GCG 성분에 의해서, 피부 장벽 손상 회복 시 PPAR에 의해 매개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의 분화가 더욱 촉진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EGCG의 C-2 에피머(epimer)인 GCG는 녹차 카테킨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용도의 화장품과 건강식품 개발 시 주요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FT-IR을 활용한 비 침습적 피부 장벽 지질 패킹 분석과 손상된 장벽의 개선 제형 연구 (Non-invasive Skin Barrier Lipid Packing Analysis Using FT-IR and Study of Cosmetic Formulation for Damaged Barrier)

  • 김혜진;김선영;이설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07-317
    • /
    • 2020
  • 피부 표피의 장벽 구조는 신체 내부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외부의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데 핵심적인 구조이고 각질세포와 세포간 지질로 구성된다. 이 때, 피부 장벽의 세포간 지질은 orthorhombic 구조로 패킹되어있을 때 가장 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외부 원인에 의해 손상되어 hexagonal 구조로 변화한다. 이런 물리적인 구조의 변화는 FT-IR을 이용하여 지질의 CH2-CH2 scissoring band의 시그널은 분석하여 비 침습적으로 분석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DS를 Porcine skin에 처리하여 피부 장벽 손상모델을 구축하고 FT-IR signal을 분석하여 패킹구조의 변화 정도를 수치화 하였다. 이후 화장품 제형의 처리에 따라서 손상 모델의 장벽 회복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피부 장벽의 수분 증발량을 분석하는 간접적인 측정 방식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장벽 구조의 물리적인 변화를 직접적이고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방식으로 활용 가능하여 다양한 소재의 기능 규명과 제형의 검증에 사용될 수 있다.

Improvement of Skin Photoaging by Polysaccharide Extract Derived from Tremella fuciformis (White Jelly Mushroom)

  • Choi, Jae-Hwan;Kim, Bor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300-306
    • /
    • 2021
  • Chronic ultraviolet (UV) radiation causes photoaging, which represents skin damage, disrupts skin barrier function, and promotes wrinkle formation. We investigated that the polysaccharide extract of an edible basidiomycetous white jelly mushroom, Tremella fuciformis, (TF-Glucan®) exhibited statistically photoprotective activity by inhibiting matrix metalloproteases (MMPs) and increasing collagen synthesis, and an anti-inflammatory activity by inhibiting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at the concentrations of less than 1000 ㎍/ml, which is not cytotoxic (p < 0.05). Additionally, TF-Glucan®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nvolucrin and filaggrin to prevent the disruption of UVB-induced barrier function (p < 0.05). TF-Glucan® was assessed as a safe material by the human primary skin irritation (1, 3, 5%), human repeated insult patch test (no sensitization at 5%), 3T3 NRU phototoxicity assay (no phototoxicity, PIF < 2, MPE < 0.1), eye irritation test test by BCOP (no category, IVIS ≤ 3) and local lymph node assay (negative at 10, 25, 50%) for identifying potential skin sensitiz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F-Glucan® may be useful as an anti-photoaging ingredient for developing cosmeceuticals.

Effect of Standardized Boesenbergia pandurata Extract and Its Active Compound Panduratin A on Skin Hydration and Barrier Function in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 Woo, Seon Wook;Rhim, Dong-Bin;Kim, Changhee;Hwang, Jae-K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15-21
    • /
    • 2015
  • The skin plays a key role in protecting the body from the environment and from water loss. Cornified envelope (CE) and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are considered as the primary regulators of skin hydration and barrier function. The CE prevents loss of water from the body and is formed by cross-linking of several proteins. Among these proteins, filaggrin is an important protein because NMF is produced by the degradation of filaggrin. Proteases, including matriptase and prostasin, stimulate the generation of filaggrin from profilaggrin and caspase-14 plays a role in the degradation of filaggrin. This study elucidated th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Boesenbergia pandurata (Roxb.) Schltr., known as fingerroot, and its active compound panduratin A on CE formation and filaggrin processing in HaCaT,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B. pandurata extract (BPE) and panduratin A significantly stimulated not only CE formation but also the expression of CE proteins, such as loricrin, involucrin, and transglutaminase, which were associated with $PPAR{\alpha}$ expression.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filaggrin and filaggrin-related enzymes, such as matriptase, prostasin, and caspase-14 were also up-regulated by BPE and panduratin A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BPE and panduratin A are potential nutraceuticals which can enhance skin hydration and barrier function based on their CE formation and filaggrin processing.

INVESTIGATION OF SKIN TYPES BASED ON THE STRATUM CORNEUM LIPID LEVELS

  • Hikima, R.;Ohta, M.;Arai, S.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1999년도 IFSCC . ASCS 학술대회 발표 논문
    • /
    • pp.132-132
    • /
    • 1999
  • In the cosmetics field, facial skins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self estimation as well as physiological paramete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kin condition in the levels and composition of stratum corneum (SC) lipids, and to propose new classification for skin types.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 lipid composition and the self-estimated skin types or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skin. Sensitive skin has been of great concern over the last decades, and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skin type. Therefore, we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SC lipid composition on variations of sensitivity evaluated by the Stinging Test. Fifty-five healthy Japanese women aged 22-44 participated in this study. Skin biopsies were taken from facial skin using polyethylene sheet with cyanoacrylate. SC lipids were extracted and separated into individual lipid classes. The combined ceramides and cholesterol were quantified by HPTLC. Free fatty acid was quantified according to the ACS-ACOD method. Instrumental measurements were made at the site around the biopsy. In addition, the Stinging Test and a sensory evaluation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The generally recognized O-D skin type classification is dependent on the consumer`s subjective assessment with respect to their skin troubles. The product of hydration state and skin surface lipid leve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estimated skin types. The oily-dry skin type classified according to physiological parameters as well as SC lipid levels should be characterized as delicate skin with its barrier function deteriorating in the winter. Two groups of sensitive skin were established. One is the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is deteriorated, and another is the sebaceous gland activity is in decline.

  • PDF

Experimental Studies on the Skin Barrier Improveme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based on a Bibliometric Network Map

  • Eunsoo Sohn;Sung Hyeok Kim;Chang Woo Ha;Sohee Jang;Jung Hun Choi;Hyo Yeon Son;Cheol-Joo Chae;Hyun Jung Koo;Eun-Hwa Soh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0-40
    • /
    • 2023
  • 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s caused by skin barrier dysfunction. Allium victoralis var. Platyphyllum (AVP) is a perennial plant used as vegetable and herbal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at AVP is a new cosmetic material by examining the effects of AVP on the skin barrier and inflammatory response. A bibliometr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keyword co-occurrence analysis by extracting author keyword from 69 articles retrieved from SCOPUS. We no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shown by the results of clustering and mapping from network visualization analysis using VOSviewer software tool. HPLC-UV analysis showed that AVP contains 0.12 ± 0.02 mg/g of chlorogenic acid and 0.10 ± 0.01 mg/g of gallic acid. AVP at 100 ㎍/mL was shown to increase the mRNA levels of filaggrin and involucrin related to skin barrier function by 1.50-fold and 1.43-fold, respectively. In the scratch assay, AVP at concentrations of 100 ㎍/mL and 200 ㎍/m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ell migration rate and narrowed the scratch area. In addition, AVP suppressed the increase of inflammation-related factors COX-2 and NO and decreased the release of β-hexosaminidase. This study suggests that AVP can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for atopy management through skin barrier protection effects, anti-inflammatory and anti-itch effects.

  • PDF

무모쥐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손상에 미치는 커큐민의 보호 효과 (Beneficial Effect of Curcumin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in Hairless Rat)

  • 전희영;김정기;김완기;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86-690
    • /
    • 2008
  • In vivo에서 8주간의 UVB 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장벽 기능 손상에 대한 커큐민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 결과, UVB에 의해 유도되는 경표피 수분손실량의 증가와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의 증식이 커큐민의 섭취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여 커큐민이 피부 장벽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장벽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큐민의 피부 장벽기능 보호 작용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주를 이용하여 피부 장벽 조절인자에 대한 커큐민의 작용을 평가한 결과 커큐민은 filaggrin과 SPT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커큐민이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하고 세라마이드 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커큐민이 피부 장벽 보호 또는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식품 소재로써 커큐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간 보고된 커큐민의 낮은 bioavailability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여 임상에서 유효한 용량을 설정하기 위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각질형성세포에서 Fisetin의 피부장벽 기능 개선 및 항노화 효능 검증 (Roles of Fisetin on Skin Barrier Function and Anti-aging in Epidermal Keratinocyte)

  • 이경하;김완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1-401
    • /
    • 2020
  •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식물 등의 대사체에서 유래한 폴리페놀 계열의 화합물이며, 다양한 인체생리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3,3',3',7-tetrahydroxyflavone (fisetin)은 다양한 과일과 채소에서 발견되며, 최근 노쇠용해(senolytic) 활성을 통해 특정 조직의 기능을 회복시킨다는 것이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표피 각질세포를 대상으로 하여 fisetin의 피부장벽 유전자 발현 조절 및 항노화 효능을 분석하였다. Fisetin은 말단소립 역전사효소(telomerase)의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CDKN1B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주요 유전자인 KRT1, FLG, IVL, DSP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세라마이드 합성효소의 일종인 CerS3, CerS4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fisetin의 효능이 노쇠용해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 각질세포의 다양한 생리학적 조절에도 관여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fisetin은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의 생리활성 조절물질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