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ze perception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Cash and Non-Cash Communications on Brand Awareness: An Empirical Evidence from Saudi Arabia

  • AL-NSOUR, Iyad A.;AL-SAHLI, Saud 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507-518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monetary and non-monetary effects on brand awareness at hypermarkets in Riyadh. The independent variable consists of three sub-variables: price reductions, free samples, and purchasing vouchers. The research population has all Saudi and non-Saudi buyers in Riyadh. The figures show that the population size reached 3.87 million in 2019. The proportional stratification sampling technique and the recommended sample size were 387 buyers. The five-point Likert scale with the fully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he study concldes the effect of free samples on brand awareness while there was no effect of monetary instru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three sales promotion incentives (price reduction, free samples, and purchasing vouchers) moderately affected brand awareness and a key role in explaining consumer behavior, so the significant impact was proved. In summary, this study showed that price reductions have the power of creating the perception of buyers at hypermarkets in Riyadh. Non-cash instruments were more effective than cash instruments in enhancing brand awareness at the hypermarkets in the Saudi market. So, the price reductions and purchasing vouchers have less power in conducting communication-based awareness. Building awareness and improving brand image through free samples were most visible in communication strategy.

Association between body shape misperception and unhealthy eating behaviors among Korean adolescents

  • Yejin Kim;Bomgyeol Kim;Vasuki Rajaguru;Sang Gyu Lee;Tae Hyun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6호
    • /
    • pp.1143-1154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Body shape misperception (BSM) is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subjectively perceived body size and body mass index.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BSM and unhealthy eating behaviors (UEB) among Korean adolescents. SUBJECTS/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data from the 2019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ith 55,748 participants. UEB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weekly consumption frequency of caffeinated energy drinks, fast food, carbonated beverages, and sugar-sweetened beverages. The covariates included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facto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eter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BSM and UEB. RESULTS: Among the participants, 37,607 (67.5%) reported UEB. The gap between UEB among those with BSM was the largest between the underestimated and accurately estimated groups. Participants who underestimated their body shape were likelier to engage in UEB (adjusted odds ratio [AOR], 1.18; 95% confidence interval [CI], 1.11-1.25). Both sexes with underestimation of body size showed an association with UEB compared to those with accurate estimations (girls: AOR, 1.19; 95% CI, 1.09-1.30; boys: AOR, 1.16; 95% CI, 1.08-1.26). CONCLUSIONS: Underestimating body shape can provoke UEB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need for appropriate school health interventional programs to prevent underestimating body shape is emphasized to avoid UEB.

High tendency to the substantial concern on body shape and eating disorders risk of the students majoring Nutrition or Sport Sciences

  • Nergiz-Unal, Reyhan;Bilgic, Pelin;Yabanci, Nurc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6호
    • /
    • pp.713-718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Studies have indicated that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and dietetics or sport sciences may have more obsessions associated with eating attitudes and body shape perception compared to other disciplines i.e. social scienc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ssess and compare the risk of eating disorders and body shape perception. MATERIALS/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773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Departments of Nutrition and Dietetics (NDD) (n = 254),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PESD) (n = 263), and Social Sciences (SOC) (n = 256).A socio-demographic and personal information questionnaire, Eating Attitudes Test (EAT-40), Body Shape Questionnaire (BSQ-34), Perceived Figure Rating Scale (FRS) were applied; and body weights and heights were measured. RESULTS: Mean EAT-40 scores showed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of PESD had the highest scores ($7.4{\pm}11.6$) compared with NDD ($14.3{\pm}8.3$) and SOC ($13.0{\pm}6.2$) (P < 0.05). According to EAT-40 classification, high risk in abnormal eating behavior was more in PESD (10.7%) compared to NDD (2.9%) and SOC (0.4%) students (P < 0.05). Students of PESD, who skipped meal, had higher tendency to the risk of eating disorders (P < 0.05). In parallel, body shape perception was found to be marked with higher scores in NDD ($72.0{\pm}28.7$) and PESD ($71.5{\pm}32.8$) compared with SOC ($64.2{\pm}27.5$) students (P < 0.05). Considering BSQ-34 classification, high concern (moderate and marked) for body shape were more in PESD (7.4 %) compared to NDD (5.2%) and SOC (1.9%) students (P < 0.05). The body size judgement via obtained by the FRS scale were generally correlated with BMI. The Body Mass Index levels were in normal range (Mean BMI: $21.9{\pm}2.8kg/m^2$) and generally consistent with FRS data. CONCLUSIONS: Tendency to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and substantial body shape perception were higher in PESD students who have more concern on body shape and were not well-educated about nutrition. In conclusion, substantial concern on physical appearance might affect eating behavior disorders in PESD students.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demands to develop a supervision program for a child-care center)

  • 황해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89-20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들의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어린이집 장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필요성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어린이집 현장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230명을 임의표집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린이집 장학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교사용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어린이집 장학에 대한 인식은 '어느 정도 알고 있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장학과 관련된 연수 및 보수교육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받은적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문제점 인식을 살펴본 결과 '현장의 목소리 미반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의 차이를 제변인에 따라 알아본 결과 학급규모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기관유형, 학력 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장학을 담당하기에 적합한 기관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보육 지원센터 보육정보센터'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린이집의 장학을 담당하는 장학사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연수받은 교사'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Analysis on Perceptions and Needs of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Sewing Practice Class)

  • 김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1-65
    • /
    • 2019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85명을 대상으로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바느질실습 수업의 목표를 일상생활에서의 활용으로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참여도 점수가 가장 높은 반면 이해도 점수는 가장 낮았으며 활용도는 남녀 점수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도 및 수업방법 만족도를 제외한 수업 인식 하위요인과 전체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수업 인식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실습내용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만들기 영역, 본인들이 선정하기, 개별작품 만들기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별 선호하는 수업 방식을 조사한 결과 기술 및 지식의 습득에서는 교사중심수업 방식을, 아이디어 구상 및 교사 역할에서는 학생중심수업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운영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학기당 4~6차시 수업, 모든 차시 50분씩 편성, 모둠 구성 안함 등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가정과 교사가 바느질실습 수업을 설계하는 데 활용한다면 수업 개선 및 학생들의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Image-making Regulations Change of Airline Cabin Crew and Career Decision

  • Kim, Mun-K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97-20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승무원 취업준비생들의 항공사 객실승무원 이미지메이킹 규정변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규정변화인식, 직업선택동기 및 진로결정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광주, 전남 지역 항공서비스전공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9년 11월 18일부터 12월 13일까지 진행하였다. 총 203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항공서비스전공 학생들은 객실승무원 이미지메이킹 규정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규정변화에 대한 인식은 직업선택동기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직업선택동기는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고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공사에는 채용할 인재를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취업준비생에게는 취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 연구의 표본대상의 지역적 한계, 성별적 한계와 표본 크기의 한계점을 갖는다.

중심와 시각에서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른 컬러 어피어런스 연구 (A study on colour appearance by the size of colour stimulation at foveal vision)

  • 홍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3-28
    • /
    • 2018
  • 차세대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TV를 대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환경에서 모바일 환경으로 진화 하고 있는 추세이다. 개인용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경우, 홈시어터의 개념과 동일하지만 보다 경량 화된 사이즈에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기에 디스플레이 산업에서는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제품 응용 및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보다 정확한 색채와 향상된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라 인지될 수 있는 색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정아래, 배경의 밝기를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중심와 시각에 해당하는 색채 자극의 크기를 비교하는 정신 물리학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선행 연구에서는 배경의 밝기가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색채 자극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더욱 밝고 더욱 선명하게 인지한다는 결과와 달리, 배경의 밝기와 색채 자극의 크기에 따라 색채를 인지하는 특성이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형 화면의 크기에서 모바일 크기의 화면으로 입력 영상이 전환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색채 변환 오류를 해결 하여 보다 정확한 색채 표현과 향상된 화질 영상 재현이 가능하다.

공간의 초기 주시과정에 나타난 동공지표의 크기변화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hange in Index of Pupil in the Initial Observation on Large Space of Library)

  • 김종하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15-28
    • /
    • 2018
  • 본 연구는 대형공간을 대상으로 시선추적 실험을 실시하고, 성별에 나타난 동공의 주시특성을 분석하였다. 시선추적 실험 시간의 흐름에서 생겨나는 동공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성별 주시행태를 객관적이면서도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했다. 나아가 동공의 크기가 안정적으로 변하는 시간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정리하였는데 성별에 따른 시지각 정보 획득 시간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1~2초 정도 늦게 관심과 흥미요소를 시각정보로서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초기 "1초${\rightarrow}$2초"에서 남자는 도약, 여자는 고정에서 동공크기가 확대되었다. 또한 고정 주시에 국한하여 성별 변화율을 보면 9초를 전환점으로 해서 9초 이하 시간에서는 여자가, 9초 이후 시간에서는 남자의 동공크기가 더 커졌다. 즉 1-8초 시간에서는 여자가, 10-15초 범위에서는 남자가 상대적으로 더 큰 동공확대를 통해 시지각 정보를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주시시간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여자의 동공크기가 더 크게 확대된 것에서부터 여자의 경우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관심이나 흥미가 있는 요소를 더 많이 주시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했다.

사업체 급식서비스 품질의 업무형태별 만족요인 분석 1. 기대도, 인식도 및 품질만족도 조사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on Foodservice Quality for Employee Grouped by Working Types 1. Analysis of Expectation and Perception, Satisfaction)

  • 김신자;김명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37-444
    • /
    • 2000
  • 본 연구는 서울 경인지역 사업체 급식소 4개소을 대상으로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 및 서비스품질 특성의 기대도와 인식도 등을 조사하여 만족도를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업무형태별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사항에는 여자가 많았고, 20-40세가 89%로서 많고, 미혼이 많았다. 가족. 친지가 72.5%로 많았고, 고졸이상이 대부분이었다. 급식경험 2년이상이 80%로 거의 많았으며, 급식횟수는 1-2회가 95%로 대체적으로 많아서 1끼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사원이 86.5%로 분석되었다. 2. 음식 및 서비스품질 특성이 모두 인식도보다 기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들이 식당을 이용할 때 기대한 만큼 실제 느꼈던 항목에는 계절음식의 제공, 음식의 맛, 배식원의 청결, 식당의 청결, 식당의 조명 밝기이었고, 기대하지도 실제 느끼기도 않는 항목에는 메뉴가 품절되지 않음, 주반찬과 부반찬의 조화, 후식의 제공, 식사에 대한 불만의 신속한 처리이었다. 고객들은 위생적인 측면에서 음식의 위생, 식기의 위생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음식 및 서비스의 만족도는 적당한 1인 분량, 식당의 조명 밝기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호메뉴의 제공, 식사 불만의 신속처리에 대해서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음식 및 서비스 품질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대도는 만족도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인식도는 만족도와 상대적으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분석 되었다. 5. 요인별 서비스1요인(메뉴가 품절되지 않음)과 서비스2요인(식사불만의 신속한 처리, 배식원의 친절)에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위생2요인(식기의 위생, 식당의 청결, 식기반납구의 청결, 배식원의 청결)에는 계속적으로 유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 각 요인의 상관계수에는 기대도와 인식도의 상관이 높은 문항은 식기위생 (r = 0.422 )이었으며, 기대도와 인식도의 상관이 적은 문항은 식사불만의 신속한 처리로 분석 되었다. 앞으로의 연구는 사업체 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 및 서비스 품질관리 평가된 결과를 근거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음식과 서비스의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여 고객만족, 나아가 고객감동을 이끌어야 하고 고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급식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대구·경북지역 섬유업체들의 협력관계에 관한 실태조사 (Partnerships Among Textile Firm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in Korea)

  • 박광희;박경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8-84
    • /
    • 2004
  • To regain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global textile industry the Korean textile firms need to strategically collaborate each other on developing partnership relations. This study, as a first step for developing a futuristic partnership between textile firm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urrent partnership relations among textile firm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Data were obtained from 163 textile firms in the region by a questionnaire survey. More than a half of the textile firms had a partnership experience in product manufacturing and wanted to have one in product development. Partnerships with firms in the same sub-industry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even though various pairs were observed. Length of partnership was related with the history and size of the firm but not with partnership performance. Partnership itself affected neither the firm's perception of its competitive power nor the perceived intensity of industry compet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