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sim$efficacy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문제중심학습기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Information Litera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조옥희;황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39-24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SIM-PBL이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한국의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1명이었다. SIM-PBL은 4주 동안, 주 1회(150분) 제공하였고, 교육 전후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을 조사하였다. 교육 후에 정보활용능력의 하부영역 중 정보통합(${\acute{p}}=.030$), 정보표현(${\acute{p}}=.003$) 및 정보윤리(${\acute{p}}=.016$) 영역의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적 효능감은 교육 후에 변화가 없었다. SIM-PBL은 간호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신뢰성 높은 유용한 정보를 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SIM-PBL 교육방안이 필요하다.

웹기반 가상시뮬레이션 학습이 응급구조과 학생의 학습몰입, 문제해결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b-based virtual simulation learning on learning flow,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paramedicine students)

  • 이영아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1-142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use of web-based virtual simulations to improve the learning flow,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paramedicin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pre-post comparison design with 40 pamedicine students at one university. the participants were third grade students and participated in web based virtual simulation(vSi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post was analyzed using a Paired Sample t-test with SPSS 26.0. Results: After web based virtual simulation using vSim® program than before, significantly higher learning flow(t=12.74, p<.001), problem-solving process(t=5.78, p<.001), academic self-efficacy(t=2.77, p<.001), Paramedic-Care Skills Confidence(t=6.30, p<.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e positive effects of web-based virtual simulation(vSim®) learning method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learners and instructors.

문제기반학습 연계 시뮬레이션(SIM-PBL) 교육이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경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M-PBL eduction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in paramedic students)

  • 조혜영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1-7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imulation educ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n paramedic stud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8 students. Pre and post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assigne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one week education for 4 weeks(4 sessions in total) with 90 minutes for each session.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regular skill training curriculu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of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efer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imulation education with scenario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in paramedic students.

응급구조과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 이정은;김순심;피혜영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9-61
    • /
    • 2021
  •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efficacy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while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As indicated abov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conduct future studies. Furthermore, results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efficacy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department of emergency technology.

대학생의 자기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가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Respec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Learning Persistence)

  • 정애경;김지심;김정화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6호
    • /
    • pp.11-1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elf-respec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learning persistence. For this study, a web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who were in college of engineering at D college in Seoul. A total of 702 samples we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self-respect,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significantly. Secondly, self-respect and academic self-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persistence except career maturity. Thridly, the media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learning persistence and self-respec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re partially mediated by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Finally,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had also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enhanc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and design programs that support learning persistence for university students.

문제기반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on Clinica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 이미진;안영미;조인숙;손민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23-131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대상자의 수술 후 간호를 주제로 문제기반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SIM-PBL) 개발과정을 기술하고,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간호 수행능력과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대조군 중재군 전후 시차 설계를 통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4월 23일부터 5월 18일까지 총 4주간이었다. 연구대상은 4년제 간호학과의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중인 학생을 편의표집 하였고, 시차를 이용하여 대조군 18명, 중재군 18명으로 구성하였다. 대조군에게는 기존 임상실습교육이 제공되고, 중재군에게는 임상실습 시간 중 150분을 SIM-PBL로 대체하였다. SIM-PBL의 효과 평가를 위해 시뮬이션을 기반으로 한 임상간호 수행능력 평가(simulation based clinical examination, SCE)와 자아효능감이 이용되었다. 결과 SIM-PBL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교육 후 임상간호 수행능력의 향상 정도가 일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신체검진: 3.019, p =.005; 수술 후 교육: t=2.428, p =.021). 그러나 자아효능감은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어떤 차이도 보여주지 못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사용된 SIM-PBL은 간호대학생들의 아동대상자를 위한 수술 후 간호 및 투약수행에 대한 임상간호 수행능력의 일부 영역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과 문제기반학습의 두 가지 교육방법을 혼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구조화된 체크리스트 도구를 통해 객관적으로 임상간호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추후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의 적극적 활용 및 중재의 크기에 따라 효과를 다양하게 입증하는 연구가 수행될 것을 제언한다.

전문대학 보건계열 대학생의 가치관과 자기효능감에 따른 전공만족도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Value and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 Majoring in Health Science)

  • 정신호;김현희;심상효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1-81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alues and self efficacy of students majoring in health science. Methods: Among the 170 respondents, 25.3% were male and 74.7% were females. The departments were 28.9% of physical therapy, 20.6% of laboratory science, 23.5% of occupational therapy, 14.1% of nursing, and dental hygiene 12.9%.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major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higher self efficacy and significantly lower when the higher value.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ents and appropriate guidance that can enhance the values and self efficacy in order to improve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health science.

  • PDF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College Students'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 안성아;심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021-7033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는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주관적 행복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우울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행복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지만 주관적 행복에 간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스트레스는 주관적 행복에 직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을 위해서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완화,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심미정;오효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28-337
    • /
    • 2012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문제해결능력을 확인하고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3년제 전문대학 2개교의 간호학생 217명이었고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별, 출신학교, 성격성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습동기는 출신학교, 졸업 후 교과목 활용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는 출신학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제해결능력은 졸업 후 교과목 활용도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문제해결능력을 37.3%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높이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공계 대학생의 직업교육에서 숙달목적지향성과 시간관리능력이 직업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정애경;김지심;김정화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12-2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에서 이공계 대학생이 가지는 숙달목적지향과 시간관리가 직업탐색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이공계 남녀 대학생 5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탐색효능감, 숙달목적지향, 시간관리를 검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첫째, 숙달목적지향성은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을 모두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능력은 진로목표선택효능감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성별 및 거주지역에 따른 숙달목적지향성, 시간관리능력,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숙달목적지향성의 평균은 높은 편이나, 시간관리능력의 평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