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school teacher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27초

체육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교과교육학 하위영역에 대한 출제경향 분석 (Trend Analysis of Sport Pedagogy Sub-Domain in Secondary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조기범;김승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339-347
    • /
    • 2021
  • 본 연구는 객관식 문항이 폐지된 이후인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간 체육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교과교육학 문항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시한 평가내용요소를 근거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교과교육학 문항은 7년간 48문항이 출제되었으며, 83개의 하위질문이 발견되었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하위질문 개수의 빈도가 높아지면서 통합형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 둘째, 출제 문항 영역의 심각한 불균형 문제가 드러났다. 셋째, 체육교수학습 및 평가, 체육교육과정 영역에 지나친 출제 의존도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교과내용학과 중복되는 평가 영역이 존재함에 따라 혼란이 가중되었다. 그러므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기존 평가 영역별 분류표를 기반으로 평가 내용 요소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게 내려져야 하며 신뢰로운 교사시험을 위해 특정 학자와 이론에 의존에서 벗어나 학교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문항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중등 초임 수학교사들의 컴퓨터 활용의 인식에 따른 활용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Frequency by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 of Computer Utilization)

  • 이강섭;심상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4호
    • /
    • pp.415-427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about computer of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by utilization frequency of computer. To increase utilization frequency of computer in school mathematics, our finding shows that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hould have an interest in computer utilization and perceive computers as an important tool for mathematics learning. In addition, they are likely to use more frequently computer under the condition that computers have sufficient class materials and supplement their shortcomings that have derived less usage in math classes. Therefore, future studies have to investigate not only how to develope textbooks and run after-school classes but also how to make creative discretional activities by computer, which makes computers more useful for teacher training. In sum, the results of case studies for computer usability should be released to motivate computer utilization and increase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도입에 따른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 (Ways to Improve In-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tise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곽영순;이재봉;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63-271
    • /
    • 2017
  •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이 학교 현장에서 정착되기 위해서는 현직교사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교과목 신설에 대비하여 중등 과학교사의 자격종별로 현직교사 재교육 내용을 구상하고,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과학교육 전문가 22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징을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및 내용 구성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가르치기 위해 필요한 교사 역량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학교 현장의 중등학교 과학교사 자격증 유형별 특징과 통합과학 지도를 위해 추가되어야 할 교사 역량을 탐색하여, 교사 자격증 유형별로 2015 개정 통합과학의 이해 직무 연수(A형), 통합과학 직무연수(B형), 통합과학 부전공 자격연수(C형) 등 3가지 유형의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각각의 연수 프로그램 유형별로 교사 자격증별 대상자, 운영시간, 연수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구성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전문가 의견에 기초하여 현직 교사뿐만 아니라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안과 통합과학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 개선안을 제안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과학 지도를 위한 현직교사 재교육 연수 프로그램 구성상의 유의점 및 통합과학 교사 양성과정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중등 체육교사 임용고사 준비생들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아탄력성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Ego Resilience on Grit of the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안정훈;김상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19-428
    • /
    • 2019
  • 이 연구는 중등 체육교사 임용고사 준비생들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아탄력성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중등 체육교사 임용고사 준비생들이 체육교사에 임용되는데 필요한 그릿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403명의 체육교사 임용고사 준비생들을 대상으로 일원변량분석과 상관관계분석 및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자기결정성 동기 중, 내적동기 수준과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을수록 그릿 하위요인들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아탄력성 하위요인들 중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내적동기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긍정적사고요인과 정서조절, 문제해결 및 확인된 조절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그릿에 있어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아탄력성에 대해 다루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중등 수학교사의 수학내용 지식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of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 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2호
    • /
    • pp.345-36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수학교사가 알아야 할 수학내용 지식에 관한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고, 이를 근거로 현직 수학교사의 수학내용 지식을 부분적으로 조사하는데 있다. 수학교사가 알아야 할 수학내용 지식을 학교수학의 내용지식과 과정지식,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 학교수학의 과정 지식 중 수학외적 문제해결, 추론과 증명 영역을 중심으로 현직 수학교사들의 수학내용 지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수학외적 문제해결력, 추론과 정당화 관련 문제는 물론 학교수학과 학문적 수학 사이의 연결 관련 문제 모두 타당한 설명을 포함한 정답률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학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에서 요구되는 지식의 영역과 수준 분석 (Examining the breadth and depth of knowledge required in the teacher employment test for secondary mathematics)

  • 이소연;김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3호
    • /
    • pp.281-295
    • /
    • 2021
  • 본 연구는 수학과 중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이 예비 교사의 지식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최근 8년간 시행된 임용시험 1차 180개의 문항을 지식의 영역과 수준의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분야에 따라 특정 영역과 수준에의 편중성과 평가 외적 내용 요소의 출현 등이 나타나 이로부터 임용시험의 질 개선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중등교사 임용시험 관련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 of Secondary-School Teacher's Employment Examin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권충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44-247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형태가 개편된 2014년도 이후부터 2018년도 현재까지 진행된 중등교사 임용시험 관련 선행연구들을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그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도 이후 5년간 진행된 중등교사 임용시험 관련 연구 55건을 대상으로 주요 핵심어 추출 및 워드클라우드 제시, 주요 핵심어의 언어네트워크 전체 분석 및 3종 중심성(연결정도, 근접, 매개) 분석, 네트워크 값을 반영한 네트워크 그림 시각화 작업 등을 진행하였다. 중등교사 임용시험 관련 선행연구의 주요 핵심어는 분석, 문항, 출제, 인식, 임용후보자, 교과교육학, 국어과, 선정경쟁시험, 개선, 예비교사, 교과내용학, 기출문항, 임용교사, 제도, 탐색 등이었다. 이들 상위 빈도 핵심어들은 나름 높은 연결정도를 가지고 다른 핵심어들간의 의미연결망을 구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는 중등교사 임용시험 주제 연구 진행을 할 때, 연구주제 선정 및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풍토 유형 간 비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Efforts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on Teacher Efficacy: Focused on Comparison among Types of School Climate)

  • 최원석;길혜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72-48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과 교사 효능감 간 관계를 수업변화 경험과 사기 열의, 학교 풍토가 어떻게 매개 조절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에 경기도의 197개 중학교 3학년 학생 표집과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된 경기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등교사의 수업변화 경험이 수업개선 노력과 교사 효능감 간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사기 열의라는 개인 수준의 변수가 조절하는지에 대해 조건부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학교풍토 유형 간에 조절된 매개효과가 상이할 수 있다고 보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학교 풍토를 보수적, 허용적, 혁신적 풍토로 유형화한 후, 각 유형별로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수업변화 경험이 매개하는 효과는 혁신풍토 학교에서만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의 수업변화 경험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의 사기 열의가 조절하는 효과는 허용적 및 혁신적 풍토에서만 발견되었다. 끝으로 교사의 사기 열의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는 허용적 풍토에서보다 혁신적 풍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담화양상과 의미형성전략에 관한 초임 교사의 중등 과학수업 사례 탐색 (An Exploratory Analysis of Discourse Types and Meaning-making Strategies Used by a Beginning Teacher in Secondary Science Class)

  • 김혜리;이선경;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47-65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 교사는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었으며,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연구진은 참여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비디오 녹화하였고 전사하였다. 자료는 두 단계로 분석되었다. 첫 단계에서는 담화 양상을 범주화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미시적 수준에서 의미형성 전략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초임교사의 '빛의 경로와 성질' 단원의 과학 수업담화에서 나타난 담화양상과 의미형성 전략에 관하여 5개의 에피소드가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후속연구와 교사전문성 발달에 관한 시사점이 탐색되었다.

헌신적인 교사가 갖추어야 할 창의성에 대한 중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about the Creativity as an Essential Quality of Highly Professional and Committed Teachers)

  • 윤마병;서재복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3-312
    • /
    • 2014
  • In order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who possess a certain degree of creativity must learn about this new approach as part of their teacher training.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n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 education-training college in question by analys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 and by collecting sufficient data to develop a positive feedback model for selecting, cultivating, and appointing pre-service teachers who fulfil the requirements of said college of education. Such teachers will display the commitment and professionalism to fulfil their teaching duties in the best possible manner and will consistently produce valuable contributions to their chosen subject matter and integrate these into their daily teaching. These teachers will complete all their tasks in a creative way, including student guidance, administrative duties, and academic lessons. The factors that distinguished creative teachers from others included originality and fluency. Our test group comprised 216 pre-service teachers as well as 137 fully qualified teacher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required in order to qualify as a 'creative and committed teacher' was very low. We provided data to the college of education to increase creativity when selecting teachers and curricula based on an analysis of perceptions of creativity provided b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