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lerotinia rot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1초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꽃범의 꼬리 균핵병 (Sclerotinia Rot of Obedient plant (Physostegia virginiaqn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28-31
    • /
    • 2003
  • 2002년 5월 상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약초시험포장에 심겨진 꽃범의 꼬리에서 잎과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그 부위에 흰색 곰팡이와 균핵이 생기면서 시들어 죽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여기서 병원균을 분리하였을 때 균핵은 PDA배지 상에서 잘 형성되었으며 모양은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형으로 검은색이고 크기는 1.0~10.3$\times$1.0~8.4 mm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이며, 크기는 0.8~1.8 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84~286$\times$4.7~26.3 $\mu\textrm{m}$이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으로 단세포이며 무색이다. 크기는 7.6~12.8$\times$3.4~6.2 $\mu\textrm{m}$이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circ}C$였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꽃범의 꼬리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팔손이 균핵병 (Sclerotinia Rot of Fatsia japonic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진혁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122-124
    • /
    • 2006
  •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거제시 거제면 팔손이 재배 농가포장에서 잎과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부위에 흰색 곰팡이와 균핵이 생기고 시들어 죽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균총은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띄었다. 균핵은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형으로 검은색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이며, 크기는 $0.8{\sim}1.3 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70{\sim}220{\times}4{\sim}18{\mu}m$이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 단세포, 무색이며 크기는$6{\sim}12{\times}4{\sim}6{\mu}m$이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circ}C$였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팔손이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갯기름나물 균핵병 발생 (Sclerotinia Ro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정원권;임양숙;김민기;김종수
    • 식물병연구
    • /
    • 제27권3호
    • /
    • pp.115-119
    • /
    • 2021
  • 2020년 경상북도 포항군 연일읍의 갯기름나물 재배 농가포장에서 잎에 작은 갈색 반점이 형성되고 잎끝부터 갈변되며 고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균총은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띠었다. 균핵은 검은색의 구형 또는 타원형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이며, 크기는 0.5-0.9 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이고 크기는 75-240×5.9-17.3 ㎛이었다. 자낭포자는 무색의 타원형이었으며 크기는 8.4-10.7×4.8-5.8 ㎛이었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1과 ITS4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Sclerotinia sclerotiorum과 100% 일치하였으며, 이와 같은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병원성 검정 결과 그리고 염기서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갯기름나물 잎반점과 마름 증상의 원인균은 S. sclerotiorum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갯기름나물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Post-harvest Green Pea Pod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Korea

  • Aktaruzzaman, Md.;Afroz, Tania;Kim, Byung-Sup
    • 식물병연구
    • /
    • 제28권1호
    • /
    • pp.46-50
    • /
    • 2022
  • In June 2017, in Gangneung,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green pea pods exhibited post-harvest rot symptoms. The fungus was isolated from infected pea pods and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for identificati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and the β-tubulin (βtub) gene were analyzed, and the pathogenicity was confirmed according to Koch's postulates. The morphology, phylogenetic analysis, and pathogenicity tests confirmed that Sclerotinia sclerotiorum was the causal agent.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case of post-harvest green pea pod rot caused by S. sclerotiorum in Korea.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미나리 균핵병 (Sclerotinia Rot on Water Cress (Oenanthe javanic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진혁;신순선;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85-88
    • /
    • 2003
  • 2002년 12월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비닐하우스 밭미나리 재배포장에서 미나리 잎과 줄기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부위에 흰색 곰팡이와 균핵이 발생하는 이상증상이 발생했다. 균총은 무색에서 흰색을 띠면서 초코렛색으로 된다. 균핵은 병반부와 PDA 배지 모두 검은색의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이었으며, 크기는 1.0~10.7 ${\times}$1.0~7.6 mm 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으로 크기는 0.4~1.6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으로 자낭안에 자낭포자가 8개 들어있으며, 크기는 74~236 ${\times}$4.2~24.8 $\mu\textrm{m}$ 이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으로 단세포이며 무색이다. 크기는 8.3~$12.4{\times}3.6$~7.2 $\mu\textrm{m}$ 이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circ}C$이며, 균핵형성 최적온도는 15~$20^{\circ}C$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병을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미나리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하였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시설재배 들깨 균핵병 발생특성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n Perill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under Structured Cultivation Condition)

  • 신동범;송석보;문병주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158-163
    • /
    • 2006
  • 시설재배 되는 들깨에 발생하여 피해를 초래하는 균핵병 발생 특성에 대하여 조사연구한 결과, 들깨 균핵병균(S. sclerotiorum)의 균사생장 적온은 $20^{\circ}C$이었고, $15^{\circ}C$ 이하의 온도에서 $2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보다 균핵의 형성수는 적었으나 보다 큰 균핵을 형성하였으며 건물중도 높았다. 토양 깊이별 균핵의 자낭반 형성은 0.5 cm에서 가장 높았고 3cm 깊이까지 자낭반을 하였으나 5cm 이상의 깊이에서는 자낭반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들깨 균핵병은 전 생육기에 걸쳐 발생하였고, 특히 저온 다습기인 1월에서 2월에 발생이 높았다. 그리고 5년 이상 연작 재배시 높은 발병을 보였으며, 10년 이상 연작재배 포장은 20% 이상의 발병을 보여 많은 피해를 초래하였다. 또한 들깨 시설재배 농가 포장에서 자연 감염에 의한 균핵병이 떡쑥, 주름잎 등의 잡초에 발생하였으며, 병원성 조사결과, 화본과를 제외한 국화과 등 6개과에 속하는 11종의 잡초에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이런 결과는 윤작과 효율적인 잡초관리가 들깨 균핵병 발생을 경감할 수 있고, 벼 후작으로 시설재배 되는 들깨에 균핵병이 격발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 하나의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의 환경 및 기주조건과 발병과의 관계 (Diseases of Ginseng: Environmental and host effect on disease outbreak and growth of pathogens.)

  • 오승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73-84
    • /
    • 1981
  •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host on the growth and outbreak of various ginseng diseases was reviewed Environmental lectors included hydrogen ion concentration, moisture content, temperature, nutrition, and microbiol populations. Age of the ginseng plants in relation to several ginseng disease occurrence was also included in order to formulate the effective control measure for ginseng diseases. Damping-off caused by Rhizoctonia, Pythium, and Phytophthora, greymold by Botrytis, sclerotinia by Scleretinia, and phytophthora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were usually prevalent during the early growing season of ginseng when temperature is below 20$^{\circ}C$, while anthrac se caused by Colletotrichum, alternaria blight by Alternaria, and bacterial soft rot by Erwinia were so during the latter growing season when temperature is above 25$^{\circ}C$. However, the root rot incited by Fnarium and Cylindrocarpon caused severe damages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Growth range of the temperature for a pathogen was highly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disease outbreak. Hydrogen ion concentration was highly related to the outbreak of sclerotinia, root rot, and red rot. Most severe outbreak of those diseases where the soil acidity was pH 4.7, pH 6.5- 7.5, and pH6.0-6.5, respectively. Nitrogen content in the soil was also related to outbreak of root rot and red rot. More red rot occurred where NH,-nitrogen is above 30 ppm and more root rot obtained when excessive nitrogen fertilizer applied. Yellow necrosis apparently was related to magnesium especially its ratio with potassium or calcium content in a soil. Fusarium Population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to missing rate of ginseng Plants in a Implanting ginseng field, while that of total bacteria showed similar relations in all ginseng field, However, in six year old ginseng fields, the more the Streptomyces population was, the less the Fusarium obtained. Consequently, less missing rate observed in a field where Streptomyces population was high. Damping-off, root rot, Rhytophthor a blight were mose severe on the nursery and on 2-3 years old ginseng plants, whereas sclerotinia, and grey cod, alteraria blight, anthracnose were severe on 4-6 years old ginseng plants. Root rot caused by Fusarium and Erwinia, however, was also severe regardless of the age of the plants when the roots were injured. Therefore, for the effective control of ginseng root rot most careful control of the disease during the early year should be rendered.

  • PDF

Screening of Sclerotinia Rot Resistant Korean Orig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Germplasm Using a Detached Leaf Method

  • Lee, Ho-Sun;Afroz, Tania;Jeon, Young-Ah;Sung, Jung-Sook;Rhee, Ju-Hee;Aseefa, Awraris Derbie;Noh, Jaejong;Hwang, Aejin;Hur, On-Sook;Ro, Na-Young;Lee, Jae-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43-751
    • /
    • 2019
  •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s a devastating disease that poses a serious threat to perilla production in Korea. Identifying effective sources of resistance offers long term prospect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this disease. Screening disease resistant genetic resources is important for development of disease-resistant, new cultivars and conduct related research. In the present study, perilla germplasm were screened in vitro against S. sclerotiorum using detached leaf method. Among 544 perilla accessions, two were highly resistant (IT226504, IT226533), five were resistant (IT226561, IT226532, IT226526, IT226441, and IT226589), five were moderately resistant (IT226525, IT226640, IT226568, IT220624, and IT178655), 16 were moderately susceptible, 31 were susceptible, and 485 were highly susceptible. The resistant accessions in this study could serve as resistance donor in the breeding of Sclerotinia rot resistance or subjected to selection procedure of varietal development for direct use by breeders, farmers, researchers, and end consumers.

결구상추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um)에 대한 길항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Bacterium Active against Sclerotinia sclerotioum Causing Sclerotinia Rot on Crisphead Lettuce)

  • 김한우;이광렬;백정우;김현주;박종영;이진우;정순재;문병주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31-336
    • /
    • 2004
  • 결구상추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균핵병원균 S. sclerotioum YR-1 대한 우수 길항세균을 선발하고 동정하였다. 건전 결구상추에서 분리한 세균들 중 균핵병원균의 균사생육저지 효과가 큰 10 균주를 길항세균으로 1차 선발하고 이들 일차 길항세균에 의한 방제효과를 생육실내 포트검정한 결과, A-2, A-7 및 RH-4 균주의 방제가가 각각 73.0%, 85.0%, 80.0%이었으며, 이 중 가장 높은 방제가를 보인 A-7 균주를 우수 길항균으로 최종선발하였다. A-7 균주의 생화학적 특성 및 16S rDNA와 gyr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로 동정되었으며, B. amyloliquefaciens A-7으로 명명하였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바질 균핵병 (Sclerotinia Rot on Basil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Korea)

  • 함수상;김병련;한광섭;권미경;박인희
    • 식물병연구
    • /
    • 제23권1호
    • /
    • pp.56-59
    • /
    • 2017
  •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예산 지역의 농가포장에서 재배 중인 바질에서 균핵병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초기에는 잎과 줄기가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반점이 커지면서 점차 위쪽으로 진전, 위조하여 결국 전체적으로 썩어 죽는다. 잎과 줄기의 병반부에는 다량의 흰색 균사가 발생하며 $30-100{\mu}m$ 직경의 균핵이 형성하였다. PDA상에 균체는 흰색과 옅은 초콜릿 흑색으로 다양한 색을 나타내었고, 균핵은 검은색으로 대부분 불규칙한 구형이며 크기는 $5-50{\mu}m$였다. 병원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바질의 잎과 줄기에서는 자연 발생된 바질과 동일한 괴사와 위조증상을 보이며, 병반에서 역시 같은 균을 분리하였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TS 염기서열 분석, 병원성 검정 결과 본 병해는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바질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