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literacy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6초

메이커 교육을 활용한 에너지 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에너지 소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ker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and Energy Literacy)

  • 정경제;배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4호
    • /
    • pp.510-51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을 활용한 에너지 교육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에너지 소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남학생 13명 여학생 10명 총 23명이며 메이커 교육을 활용하여 에너지 교육 수업을 실시하여 수업 전과 후의 과학적 태도와 에너지 소양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메이커 교육을 활용한 에너지 교육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과학적 태도의 하위 영역 중 호기심, 개방성, 비판성, 협동성, 자진성, 끈기성, 창의성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메이커 교육을 활용한 에너지 교육은 초등학생의 에너지 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에너지 소양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지구과학 영역의 과학적 소양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Literacy on Korean Science Curriculum of Earth Science Contents)

  • 조미선;정진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9-275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 중 과학적 소양이 교육의 목표로 제시된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과학' 과목의 지구과학영역 내용 변화를 과학적 소양의 측면에서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지구과학 영역을 천문, 지질, 기상, 해양 내용으로 구분하여 과학적 소양의 요소 중에서 STS적인 요소에 초점을 두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천문과 기상 내용 영역에서는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든 시기에서 과학적 소양의 측면이 나타났으며, 지질 영역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 해양 영역에서는 7차 교육과정을 제외하고 모든 시기에서 과학적 소양의 측면이 나타났다. 천문 내용 영역에서는 과학과 기술의 유용성이 강조되었고, 지질과 기상 내용 영역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과학의 이용이 강조되었다. 해양 내용영역에서는 자원부족과 환경오염 등 과학관련 사회적 이슈가 강조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을 과학적 소양이라는 새로운 측면에서 살펴보려는 시도로 차후 지구과학의 다른 영역 및 물리, 화학, 생물 과목으로 확대하여 내용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기존의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이라는 과목의 테두리에서 벗어나 통합된 학문의 관점에서 과학적 소양을 알아볼 것을 제안한다.

지역체험자원을 활용한 STEAM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STEAM Program utilizing Regional Science Experiences Resource for Scientific Attitude and STEAM Literacy)

  • 이상균;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61-27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e thinking activities and STEAM Literacy through the use of the STEAM program utilizing Regional Science Experience Resource for elementary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eaching plan and worksheet for students using STEAM Programs was developed and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 score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05). Second, the change in students' STEAM literach by applying the STEAM program utilizing Regional Science Experiences Resource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05).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 questionnaire used to evaluate the program, student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STEAM program and gain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bout the lesson. Therefore, STEAM Program utilizing Regional Science Experiences Resource applied in this study might be useful to improve STEAM Literacy, and can be expected to improve scientific attitude and should be widely applied to Science education.

과학 커뮤니케이션 차원과 과학적 소양 영역에 의한 국립대구과학관 전시물과 프로그램 분석 (Analyses of Exhibitions and Programs of Daegu National Science Museum by levels of science communication and domains of scientific literacy)

  • 박주은;윤은정;박윤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290-30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립대구과학관의 전시물과 프로그램을 과학 커뮤니케이션 차원과 과학적 소양 영역에 의해 분석하고, 관람객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커뮤니케이션 차원으로는 1세대가 48.3%, 2세대가 49.0%, 3세대가 2.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내용 영역 구분에서는 '설계된 세상'과 '기술의 본질' 영역의 내용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의 관람객들은 체험 위주의 2세대 과학관 형태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대적 요구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3세대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확대하고, 지역 시민들의 과학적 소양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의식 함양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을 제언하였다.

  • PDF

유아의 성과 교사 변인에 따른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5-year-old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in Relation to Their Gender and Teachers' Background)

  • 조부경;고영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33-84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어떠하며, 유아의 성과 교사의 학력, 경력, 과학적 소양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유치원 교사 90명을 대상으로 기초 배경과 과학적 소양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유아 180명에게는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문항을 토대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교사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과학에 대한 선호는 교사의 과학적 소양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교사들이 양성 교육과 현직 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Directions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Scientific Creativity)

  • 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65-89
    • /
    • 2004
  • 과학교육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탐구능력, 문제 해결력 등을 함양하여 21세기의 격변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과학적 소양을 갖춘 창의적 인적자원의 기반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과학교육 목표에서 제시된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적 소양을 논의하고 21세기 현대 과학의 특징을 고찰한 후, 미래 첨단과학기술 사회 발전의 핵심이 되는 과학적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과학영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했다. 논의한 바와 같이 과학적 소양에 기반을 과학적 창의성을 추구하는 과학교육의 방향은, 첫째, 과학기술의 내용을 도입하며, 둘째, 통합적 과학 개념을 도입하고, 셋째, 개인$.$사회적 관점을 강조하고 넷째, 사회 문제 해결 중심의 탐구과정을 강조한다. 특히 과학영재교육을 통해 강조해야 할 탁월한 과학적 창의성은 첫째, 구체화된 자료를 전체적 관점에서 상상력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둘째, 과학적 과정에 예술적 관점을 적용하며, 셋째, 직관적 관점에서 과학의 현상을 해석하고 넷째, 개인적 만족감을 추구하는 데서 발휘된다.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이 이상과 같은 요소들을 경험할 수 있을 때 과학적 창의성 신장 과학교육과학영재교육이 실현된다고 볼 수 있다.

21세기 과학적 소양 평가기준 개발 및 교과서 내용 분석에의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Evaluation Framework on Korean High School Science Text Books)

  • 문공주;문지영;조미영;정윤숙;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89-804
    • /
    • 2012
  • 본 연구는 21세기 과학적 소양을 탐색하기 위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교과서 내용 분석에 적용하였다. 21세기 과학적 소양의 하위 영역으로 과학적 사고습관(habits of mind), 과학에서의 가치관(character and value), 과학 본성의 이해(science as human endeavor)를 설정하고, 각 하위 영역에 대한 평가 요소와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기준은 21세기 과학적 소양이 교육 상황에서 실제 실현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개발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과학 교과서 내용에서 21세기 과학적 소양의 3개 영역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 과학적 사고 습관에 관련된 내용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과학에서의 가치관과 과학본성의 이해에 관련된 내용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개발된 21세기 과학적 소양 평가 기준은 교과서 내용 분석 외에도 교실 수업 평가, 교사 평가, 교수-학습 자료의 평가에 활용하여 현장 과학 수업 실행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스타트(We Start) 기관방문 교육중재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We Start" Institution Visiting Intervention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황혜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2호
    • /
    • pp.189-19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e Start center visiting intervention program on the positive changes in the developmental areas and literacy interests of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subjects were 195 young children (109 in the experimental group, M=71.7 months; 86 in the control group, M=73.3 months) living in We Start areas (Ansan, Gwangmyeong, and Suwon cities) of Gyeonggi-do. The We Start center visiting intervention programs were conducted for 30-34 weeks in each city, and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s.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developmental checklist and the literacy interests test The developmental checklist consisted of 7 domains (personality & sociality; language, reading, & writing; scientific thinking; mathematical thinking; arts; social learning; and physical development). The literacy interests test consisted of 2 factors (interest in literacy and interaction during activity). The scores on the developmental checklist showed positive changes in several domains (personality & social development; language, reading, & writing ability; scientific thinking; and social learning), but not in mathematical thinking, arts, and physical development. Second, the results of the literacy interests test showed positive effects on interaction during activity and the total score. In conclusion, the We Start center visiting program for you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s an effective early intervention program to end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ence of poverty in Korea.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역진행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21세기 핵심 역량,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ementary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21st Century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 배진호;김진수;김은아;소금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476-48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on digital literacy, $21^{st}$ century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of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different $5^{th}$ grade classes in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were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whereas comparison group was taught general free inquiry lessons using ordinary teaching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on students' digital literacy. Second,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on students' $21^{st}$ century skills. Third,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 teaching with smart devices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o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Fourth,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caused an effectiveness on students' interests.

공학소양교육 모델로서의 막스 플랑크 (A Case of Max Planck as a Model of Engineering Literacy Education)

  • 남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67-78
    • /
    • 2021
  •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life of Max Planck (1858-1947), the in view of engineering literacy education. Some expressions describing Planck include "the father of German science", "the namer of Quantum". Furthermore, he is the scientist who permanently engraved his name in a scientific invariant called the Planck Constant. Planck had already made remarkable scientific achievements in his mid-ages, which became the springboard of quantum mechanics, but he went on to achieve much more in his old age. Between 1910s and 1930s, he was the director of the Kaiser-Wilhelm Gesellschaft, the Berlin Academy, and the German Physics Society, which is the German core research group. In the 1910s, he endured the terrible personal suffering of losing his three children and then succeeded in rebuilding German science in the 1920s in his golden age of 70s. His achievement was great not only as a scientist but also as a science administrator. His life was contradictory in several ways. While fundamentally being a conservative, he initiated a great scientific revolution. While making efforts to preserve traditional values, he was in the center of great many upheavals and destruction. While being the incarnation of honesty, he was also given to extremely delicate political positions. In his long career, Planck lived with all his might as a leader of the German science organizations and permanently left his name on the institute representing Germany. Planck succeeded in his work for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scienc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as a role model of exemplary scientist. His long life was accompanied by both achievements and failures, intangible and difficult to judge. Today, as research and development management and scientific leadership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Planck's life may be a good example of engineering literacy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