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year-old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in Relation to Their Gender and Teachers' Background

유아의 성과 교사 변인에 따른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 Published : 2004.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kindergarten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by their gender and teachers' background. 90 kindergarten teachers and 180 5-year-old students were intentionally sampled in a suburban area.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interview questions of student attitude to science and the teacher's background questionnaire. The interview questions constructed by two researchers, based on "The Students' Attitude to Science Scale"(Pell & Farvis, 2001). It was composed of 13 questions; 7 questions on preference for science and 6 on perception to science. The teacher's background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I question on educational background, I on career, and 51 on scientific literacy("Test of Basic Scientific Literacy")(Laugksch & Spargo, 1996).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attitude to science was positive and was different by their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not by their gender and their teacher's career and scientific literacy. However, the students showed different preference for science by their teachers' scientific literacy. These results impl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have enough chances to be more educated and to improve their scientific literacy.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어떠하며, 유아의 성과 교사의 학력, 경력, 과학적 소양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유치원 교사 90명을 대상으로 기초 배경과 과학적 소양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유아 180명에게는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문항을 토대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교사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과학에 대한 선호는 교사의 과학적 소양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교사들이 양성 교육과 현직 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부
  2. 김성은(2001). 고등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른 과학적 세계관과 과학 관련 태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수배 (1999). 가정환경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정화,조부경(2002).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과학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17-631
  5. 노국향,최미숙,최승현,박경미,신동희(2001). PRE 2001-9-1 PISA 2000 평가 결과 분석 연구(총론)-국내 학생의 읽기 수학 과학적 소양 성취도 및 배경 변인의 영향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 노태희,최용남(1996).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수업 환경 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17-255
  7. 박미란(1997). 부모의 배경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성혜(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애 대한 태도,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I) -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42-561
  9. 신동희, 노국향(2001). PRE 2001-9-4 PISA 2000 과학평가 결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이수정(1999). 고등학교 학생들과 예비교사, 현직교사의 과학적 소양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임염(1996). 국민학교 교사의 과학적 배경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임청환(1995). 국민학생과 중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2), 194-200
  13. 임청환, 최종식(1999). 교사의 과학불안이 학생들의 과학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지, 18(1). 87-94
  14. 최종식(1999).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불안이 학생들의 과학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정영은(2001). 중등학교 교사들의 과학적 소양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조규성, 이광호, 김수민(2000). 전북지역 중등과학교사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조사연구.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3). 201-2
  17. 허명(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18. Freedman, M. P. (1997).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vels of classroom individualization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 143-154 https://doi.org/10.1002/tea.3660190206
  19. Finson, K. D., Beaver, J. B., Cramdnd, R. L. (1995). Development of a field test of a checklist for the draw-a-scientist 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 195-205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5762.x
  20. Gauld, C. F., & Hukins, A. A. (1980). Scientific attitudes: A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7, 129-161 https://doi.org/10.1080/03057268008559877
  21. Laugksch, R. C., & Spargo, P. E. (1996a). Construction of a paper and pencil test of basic scientific literacy based on selected literacy goals recommended by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5(4), 331-359 https://doi.org/10.1088/0963-6625/5/4/003
  22. Laugksch, R. C., & Spargo, P. E. (1996b). Development of a pool of scientific literacy testitems based on selected AAAS literacy goals. Science Education, 80(2), 121-143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604)80:2<121::AID-SCE1>3.0.CO;2-I
  23. Papanastasiou, C. (2002). School, teaching and family influence on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Based on TIMMS data for cyprus.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28, 71-86 https://doi.org/10.1016/S0191-491X(02)00013-5
  24. Pell, T., & Farvis, T. (2001). Developing attitude to science scale for use with children of ages from five to eleven yea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8), 847-862 https://doi.org/10.1080/09500690010016111
  25. Simpson, R. D., Koballa, T. R., & Crawiey, F. E. (1994). Research on the affective dimension of science learning. In. D.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211-234). New York: Macmillan
  26. Simpson, R. D., & Oliver, J. S. (1990). A summary of major influences on attitude toward achievement in science among adolescent students. Science Education, 74, 1-18 https://doi.org/10.1002/sce.3730740102
  27. Stark, R. (1999). Gender preferences in learning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6). 633-643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480
  28. Weinburgh, M. (1995). Gender difference in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A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from 1970 to 1991. Journal of Research in &ience Teaching, 32(4), 387-398 https://doi.org/10.1002/tea.366032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