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ers' perception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28초

양호교사의 역할인식과 일반교사 및 학생의 역할기대에 관한 일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Role Perception Role Expectation of School Health Nurses, Teachers and Students in Urban Area)

  • 장광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7-120
    • /
    • 1974
  • Healthy second generation is considered the wealth of the nation. Recant statistical data revealers that student population: primary through university, is 25% of population. Despite the fact that health education is one of the three most valued educational aims of Ministry of Educatio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seem reluctant to its value. In this contort, influences of school health nurses on this aspect of education can not bi disregarded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working condition of school health nurses and analyse the correlation between role perception and role expectation of school health nursers. teachers and students. Prior to main study. pilot interviews with 10 of each group according to check-list are performed. Data for main study is collected through check-list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10. 1973 from 100 of each group. All responses of questionnaire item are categories into 4 aspects; health education, environmental sanitation qualification of school health nurses and social aspect of school.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Differences on role perception of school health nurses and role expectation of teachers is revealed-non-significant by .05〈P〈.10 level. while between students i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by P〈.005 level, in health education role of school hearth nurses. 2. The environmental sanitation category of school health nurses role: non-significant difference is revealed between teachers and school health nurses by. 05〈P〈.10 level, and significant difference-is revealed by P〈.05 level. 3. Difference in value orientation of school health nurses' personal quality; students and teachers differ with school health nurses by P〈.025 1eve1. 4. Social aspect of school in the community aspect: non-significant differences are revealed by.05〈P〈.10 level between air three groups. Conclusions: 1. Role perception of school health nurses is most closely correlated with their role expectation. Some individual differences are noted between items, and aspects. 2. Role perception of school health nurses is more closely correlated than that of with role expectation of teachers than that of students. Some individual differences are noted between items, and aspects. 3. Consensus of role of school health nurses between each group is relatively Low: student is the lowest group. teacher the second, and school health nurses the highest.

  • PDF

영재교육원의 보조교사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 who Participated into Liaison Teacher on the Gifted Education)

  • 김정례;김선자;박종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317-33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운영방식이 다른 영재교육 기관의 보조교사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C지역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과 교육청 지원 기숙형 영재교육원의 보조교사 활동에 참여한 예비교사 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7명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학기 중에 이루어지는 두 영재교육원 간의 교육 분야, 교육 일정, 교육 방법의 차이에 따라 보조교사의 영재성과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대다수 보조교사는 주요 역할인 수업 관찰에서 어려움을 가장 많이 느끼며 이와 관련된 체계적인 연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재교육 현장에서 장기간의 실제적 지도 경험을 가진 보조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영재교육을 위한 예비교사 훈련 방법에 대한 개선책을 찾아보고 영재교육원의 운영 방향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 PDF

생명윤리와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Primary School Teach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Bioethical Issues and Bioethics Teaching)

  • 박인옥;박지영;조은희;소경희;김희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5호특별호
    • /
    • pp.571-582
    • /
    • 200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imary school teach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bioethical issues, and to analyze their perception of bioethics teaching in the primary schoo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53 primary teachers in the whole country. Major findings of the studys are as follows. First, most primary school teachers showed high level of interest about bioethical issues, but they had the limited understanding about bioethical issues. Primary teachers showed the highest interest about' respect for human life' and the lowest understanding of 'awareness of current biotechnology' Second, the prior reasons why primary teachers wanted to teach specific bioethical issues in the classes were that 'they were closely related to social phenomena' and 'they were appropriate for enhancing students' awareness of the value of life'. Third, the lack of the teachers' knowledge about bioethics and limited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were found to be barriers, which prevent them from teaching bioethical issu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for the improvement of bioethics teaching in primary school education.

  • PDF

연구학교 참여 초등교사의 인공지능 활용 과학 수업에 관한 인식 변화 (Changes in Perceptions of Science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ing in Research School)

  • 김태하;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467-479
    • /
    • 2023
  • 학교 교육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인식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학교 참여 전후에 초등교사의 인공지능 활용 과학 수업 필요성에 관한 인식과 교수 효능감 수준을 '학습', '교수', '평가', '의사소통' 네 가지 측면에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에 의해 지정되어 일 년 동안 연구학교로 운영된 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학교 운영 전후에 수집한 설문 결과를 데이터로 활용하여 인공지능 활용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를 탐색하였고, 특히 네 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하여 인공지능 활용과학 수업에 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경험 요인을 탐색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는 연구학교 경험 이전부터 인공지능 활용 과학 수업 필요성에 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연구학교 경험 이후에도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둘째, 초등교사의 인공지능 활용 과학교수 효능감은 대체로 중간 수준이었으며 연구학교 경험 이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아지지 않았다. 셋째, '필요성-효능감'을 함께 사분면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학교를 경험한 초등교사는 '학습', '교수', '평가' 측면에 대하여 절반 정도가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넷째, 초등교사의 인공지능활용 과학 수업에 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경험 요인은 '개인적 배경과 특성', '교사 개인의 수업 실천 경험', '교사공동체 활동', '학교 행정과 업무' 네 가지로 추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연구학교 운영과 인공지능 활용 초등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과학 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Science Textbooks)

  • 손영옥;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40-749
    • /
    • 2002
  • 본 연구는 과학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먼저, 교사 및 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과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 학생의 교수 학습관에 따른 교과서관의 관계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생간의 교과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대구 경북지역의 중학교 과학교사 113명과 중학생 7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주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와 학생간의 교과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학교 교사의 인구학적 변인 중 교과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학교소재와 학급규모이었고, 교사의 연령, 성에 따라서는 별 차이가 없었다. 중학교 학생의 인구학적 변인 중 교과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학교소재와 남녀공학여부, 학급규모, 학년이었고, 성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상대주의적 교수관을 가진 교사나 상대주의적 학습관을 가진 학생이 교과서의 지식을 상대적으로 보았으며, 학생중심의 교과서를 선호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보다 더 학생 중심으로 서술된 교과서를 선호하였고, 절대주의적인 지식관과 교수 학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은 교사들보다 더 전자교과서를 선호하였다.

멘토링이 초임 중등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 나타나는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 Chang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 정민경;이순덕;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778-788
    • /
    • 2013
  • 이 연구는 초임 중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멘토링 과정을 통해 교수실행에서 나타나는 인식 변화와 교수실행의 변화를 통해 멘토링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교수 1명, 박사 2명, 박사과정 1명, 석사과정 1명, 4명의 멘티교사와 4명의 멘토교사 등 총 13명이 참여하였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9월까지 1년간 다섯 차례에 걸쳐 멘토링이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사전 중간 사후 인터뷰 녹음 전사자료, 멘티 저널, 일대일 멘토링 대화 녹음 전사자료, 교수관찰지(RTOP)를 수집하였다. 멘토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멘티교사의 교수실행에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고, 이러한 인식 변화는 교수실행에 영향을 주었다.

과학교사들의 2009 개정 교육과정 융합형 '과학' 수용에 관한 인과 모델 연구 (The Study of Causal Model on Science Teachers' Adoption of 'Science' Focusing on the Fus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하민수;신세인;이준기;박현주;정덕호;임재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5-246
    • /
    • 2014
  • 이 연구는 혁신 수용 모델을 바탕으로 융합형 '과학'교과가 현장교사들에 의하여 어떻게 수용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필요성 인식, 지원에 대한 인식, 개인의 혁신성, 인지된 유용성, 교수 효능감, 수용의도의 6가지 요인을 추출하였고, 관련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혁신 수용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6가지 요인의 가설적 모델 역시 제안되었다. 전국 349명의 과학교사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과에 대한 혁신 수용에 관련된 인식의 수준은 교사의 연수 유무, 교사 경력, 전공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 수용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델은 과학교사들의 '과학'교과를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타당한 모델로 확인되었다. 지원에 대한 인식, 인지된 유용성, 교수 효능감은 다른 변인간 관계에서 높은 수준의 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새롭게 개발된 교육과정, 교과서, 교육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수용 의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교사들의 수용 태도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과학교사연구회 활동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on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by Participating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Study Group)

  • 장지은;성승민;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85-59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교사연구회 활동이 교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회의 운영 및 활동내용, 참여 동기는 무엇인지와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N 초등과학교사연구회와 소속된 교사이다. 자료는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종류는 참여관찰록, 연구회 활동사진, 문서자료, 면담자료 등이었다. 참여관찰을 하면서 본 연구회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을 면밀하게 살펴보기 위해서 연구회 참여 경력을 기준으로 5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연구회 참여 동기, 개인적인 만족도, 전문성 신장에 대한 교사의 인식 등에 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N 초등과학교사연구회는 운영 방식과 활동 내용에 관하여 회원들 간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운영 체제를 확립해가고 있으며,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과학 수업을 위해 고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가 과학 및 과학 교수법에 대한 관심과 열의로 연구회에 참여하게 되었으나, 연구회에 대한 만족도는 개인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들 모두 연구회가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더 발전적인 초등과학교사연구회가 운영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PDF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nd Essential Features of Science Inquiry)

  • 성혜진;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163-172
    • /
    • 2019
  •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ssential features of science inquiry, the appropriateness of inquiry activities to science inquiry, and the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by inquiry activities. 85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Likert scale survey, and 7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eatures that elementary teachers perceived the most essential were 'Engaging students in evaluating their explanations in ligh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and 'Engaging students in communicating and justifying their explanations'. Second, The inquiry activities that teachers thought the most appropriate to science inquiry were 'experiment' and 'project'.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s on 'discussion' and 'field trip' were relatively low. Third, the inquiry activity that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five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was 'experiment' while the mean score of 'field trip' was the low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the science inquiry were discussed.

공업계열 전문 교과 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ndustrial High Schools Technical Subjects Teachers' Perception and Present Situation and Towar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 최재우;이은우;김동엽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83-18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ustrial High Schools Technical Subjects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SD). The instrument consisted of totally 12 it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8 Industrial High Schools Technical Subjects teachers. The period of survey is from June 23 to July 15 of 2010.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asking whether they heard about terms such as sustainability 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S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r the urgent task 2 for SD in Korea. Result of survey is following. First, Teacher thought that urgent task for SD is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Second, Most of the teacher consider the concept SD as 'pursuing the balance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some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concept of SD in the paradigm of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Third, half of teachers have not heard terminology of SD .and 80% of them have not conducted ESD. Fourth, a few of teachers replied that obstacle of ESD is shortag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