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nd Essential Features of Science Inquiry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 Received : 2019.02.15
  • Accepted : 2019.04.02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ssential features of science inquiry, the appropriateness of inquiry activities to science inquiry, and the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by inquiry activities. 85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Likert scale survey, and 7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eatures that elementary teachers perceived the most essential were 'Engaging students in evaluating their explanations in light of alternative explanations' and 'Engaging students in communicating and justifying their explanations'. Second, The inquiry activities that teachers thought the most appropriate to science inquiry were 'experiment' and 'project'.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s on 'discussion' and 'field trip' were relatively low. Third, the inquiry activity that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of five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was 'experiment' while the mean score of 'field trip' was the lowest.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the science inquiry were discussed.

Keywords

Table 1. The average and the comparison of the essential features of science inquiry

CDRHBB_2019_v38n2_163_t0001.png 이미지

Table 2. The average and the comparison of the suitability of inquiry activities to the science inquiry

CDRHBB_2019_v38n2_163_t0002.png 이미지

Table 3. The average and the comparison of the essential features of science inquiry by science inquiry activities

CDRHBB_2019_v38n2_163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 권용만, 장인홍, 이동수(2017). SPSS를 활용한 실전 데이터 분석: 통계분석 이해. 파주: 자유아카데미.
  3. 김자희(2012).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토의.토론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지도실태 및 인식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지혜, 신영준(2013). 성별과 학업 성취도에 따른 학교과학 실험의 목적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2(2), 159-168.
  5. 김희백, 강남호, 김명화, 맹승호, 박종석, 백윤수, 손정우, 심규철, 오필석, 이기영, 이봉우, 정은영, 한인식, 하희수, 한화정(2017).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업 최종보고서.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BD17020011.
  6. 박영신(2010). 과학탐구에 대한 중등 초임교사의 인식: Hands-on, Minds-on, Hearts-on의 관점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1(7), 798-812. https://doi.org/10.5467/JKESS.2010.31.7.798
  7. 박효순, 조희형(2003).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39-245.
  8. 성혜진, 임희준(2018).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7(4), 391-401.
  9. 신미영, 최승언(2008). 8학년 학생들의 탐구 보고서에 나타난 과학방법의 특징. 한국지구과학회지, 29(4), 341-351. https://doi.org/10.5467/JKESS.2008.29.4.341
  10. 신현화, 김효남(2010).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62-276.
  11. 양일호, 조현준(2005). 학교 과학수업에서 실험의 목적에 대한 고찰. 초등과학교육, 24(3), 268-280.
  12. 임희준(2015). 초등학생의 증거에 기반한 과학적 설명의 수정 과정 고찰. 초등과학교육, 34(3), 346-356.
  13. 장신호, 정수진(2010). 초등학생의 "증거"사용에 따른 "과학적 정당화"활동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29(4), 414-426.
  14. 전성수(2013).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전영석, 전민지(2010).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16.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2008). 초등학교 과학 탐구 수업 실행의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01-921.
  17. 진순희, 장신호(2007).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지도 경험. 초등과학교육, 26(2), 181-191.
  18. Bodzin, A. M. & Beerer, K. M. (2003). Promoting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The validation of the science teacher inquiry rubric (STIR). Th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5(2), 39-49. https://doi.org/10.1007/BF03173842
  19. Bybee, R. W. (2011). Scientific and engineering practices in K-12 classrooms. The Science Teacher, 78(9), 34-40.
  20. Forbes, C. T., Biggers, M. & Zangori, L. (2013). Investigating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practices in elementary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the practices of science observation protocol (P SOP).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3(4), 180-190. https://doi.org/10.1111/ssm.12014
  21.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5). 교사를 위한 과학 탐구 안내서.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주머니 역.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Cited by

  1.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라는 과학 교사의 모습에 대한 요인 분석 vol.40, pp.3, 2019, https://doi.org/10.15267/keses.2021.40.3.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