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er's guid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19초

수업 준비를 위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활용 실태 - 2009 개정 과학과 3-4학년을 중심으로 -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of Science Teacher's Guide for Lesson Preparation: Focused on Grade 3-4 Science Curriculum Revised in 2009)

  • 이신애;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2호
    • /
    • pp.205-215
    • /
    • 2016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teachers use teachers' guide in preparation for science lessons. First, different uses of teacher's guide were analyzed. Second, how and why teachers use each section in teacher's guide were analyzed. For the study, 2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and/or in small group, and additional interviews were held when necessary.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teachers used teacher's guide only substitutionally, and some teachers rarely use teacher's guide, while only 3 out of 24 teachers used teacher's guide in detail. The reasons that teachers used the teacher's guide substitutionally or rarely were that most science lessons include experiments, and science textbook itself provides enough information for preparation of science lessons for 3rd and 4th grade student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only few teachers read the general guideline in teacher's guide. Some sections of teacher's guide were not used. The sections that many teachers used were the aims of lesson, the learning system of the unit, background knowledge, flow of lesson,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actual use of teacher's guide for lesson preparation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ore helpful teacher's guide.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n Details)

  • 정창희;손정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2호
    • /
    • pp.117-126
    • /
    • 2023
  •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서 초등교사들이 과학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각론은 중요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는 데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교사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별 필요성, 만족도와 활용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 등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수업 준비와 진행에 도움이 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 초등교사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수업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배치와 가독성 높은 디자인 구성을 원하였다. 결론적으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은 과학 교수·학습에 필요한 수업 준비, 수업 흐름, 교수·학습 자료 등을 한눈에 파악하고, 가독성 높게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등교사들이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용도서가 될 수 있게 새로운 접근과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2007년 개정 3, 4학년 1학기 교사용 지도서 및 실험 관찰에 제시된 그림그리기 활동과 학습 결과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Drawing Outcomes and Drawing Activities in the First Term of 3~4th Grade Teacher's Guide and Supplementary 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National Curriculum)

  • 박헌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96-504
    • /
    • 2010
  • In this study, we analyzed request methods and demanding levels of drawing activities in teacher's guide and supplementary book (experimental observation). Student's drawing results were also compared to teacher's guide and supplementary books demanding. As a result, drawing activities of supplementary book were reached to 42.8% of all activities. Activity types were divided to writing, drawing, writing and drawing and writing or drawing activities. Writing and drawing activity type was 44.4%, and drawing activity was 37.8%. The level of teacher's guide were higher than normal needs. But answer examples and learning levels of teacher's guide were appropriate for curriculum levels. The students drawing activities were matched to requirements of the teacher's guide to 72.3% in grade 3 level and 64.5% in 4th grade level. In order to improve effectively learning, statement of supplementary book and teacher's guide should write more concrete words and creative sentences.

  • PDF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Uses of Teacher's Guide in Planning Lessons)

  • 양찬호;송나윤;김민환;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81-69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11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및 부속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수업과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계획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지,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구분을 그대로 따랐으나, 전체 대단원의 차시 구성이나 교육과정 상의 내용 간 연계에 대한 고려는 부족하였다. 또한, 수업에 적용할 모형을 선정할 때 제시된 예시 지도안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 일반적인 수업에서는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제시된 질문을 변형하였고,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모형의 각 단계에 맞춰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변형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부속자료로 제공된 활동지를 활용하지 않고 교사용 지도서와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활동지를 제작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예시 지도안에 제시된 평가 단계를 보고 교수학습 평가 요소를 인식하였으나,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주로 내용 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지필평가를 계획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소단원 도입 질문이 학생의 흥미 유발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평가하여, 이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예비교사의 PDC 향상을 위한 교사용 지도서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향 (Teachers Perception and Improvement on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 s Guide)

  • 권종미;정완호;김영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75-8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the more qualified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as a major curriculum material for teachers and to find more improvement suggestions by analyzing of the teachers' perception and using status of it.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is study, 183 teachers from the elementary schools were surveyed by the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researcher, and statistical technique for data analysis was frequency, using SPSS win(version 7.5). Teachers generally thought that the general remarks of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were helpful to understand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the detailed subjects were useful, but teachers less satisfied about 'practice of teaching' of the detailed subjects. The most interested sector of the teachers' was the sector of the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sector' the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of the general remarks and the sector' practice of teaching' of the detailed subjects were mostly interested. So it is necessary to be more detailedly guided when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are considered.

  • PDF

과학관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Museum Field Trips)

  • 문재원;나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87-10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museum field trips by using a questionnaire (188 teachers) and interview (6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hoose the science museum as a place for field trips were 'student's interest', 'teacher's own experience related to the science museum', 'science curriculum', 'suggestions from a fellow teacher', 'space available for field work' and so on. Second, 82% of the respondents conducted pre-education program, but they mainly conducted safety education. Third, the teacher conducted post-education program less than pre-education program. In the post-education program, the most activities were to express and share knowledge and experience gained from the science museum. Fourth, 52.2% of the teachers provided tasks or activity sheets during science museum field trips. Fifth, the teachers mainly served as safety guide. In addition, the teachers thought that safety guide w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teacher in science museum field trips. Sixth,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method of viewing the science museum's collection,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docent rather than the teacher, was more educational.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사용 지도서 총론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s and Utilization on the General Remarks in the Science Teacher's Guide)

  • 장명덕;정용재;김한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535-55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s on the general remarks (GR) in the new science teacher's guide, the teachers' conceptions on inservice training program of the GR, and their opinions of improvement on the GR. Also, the teachers' utilization of the GR was examined. The participants were 15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teaching grade 3~6.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 least 13.2~17.1% of the teachers did not have specific conception of the purpose of the GR, and more than 90% of the teachers expressed that the GR is necessary in the teachers' guide. Second, about 60%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training program on the GR is necessary, and when the program is open, their most favorite agency and speaker were a provincial education office and a textbook developer(or author), respectively. Their most favorite time and period of the training program were the vacation and 15~30 hours, respectively. Third, the mean values on the frequency of use were lower than 3 point of the five-point Likert scale at both the GR for grade 3~4 and the GR for grade 5~6, and the teachers' main use of the GR was the planning a science lesson for an open class. Fourth, the teachers suggested various opinions and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opinions about the GR for grade 3~4 and the opinions about the GR for grade 5~6.

초등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과학 교사용지도서의 과학적 태도 분석: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Scientific Attitude in the Government-designated and Authorized Teacher's Guide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for the 3rd~4th Grades)

  • 장명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2-212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지도서 8종의 총론 그리고 각론의 지구와 우주 영역 4개 단원의 단원 목표, 단원 평가, 차시 목표 및 차시 평가에서 다루어진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 분석을 통해 향후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지도서 8종 중 5종(62.5%)이 총론에서 과학적 태도와 행동 요소에 대해 매우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고 이에 대해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한 지도서 3종도 이에 대한 지도 및 평가를 위한 실제적인 정보는 미흡한 편이다; 둘째, 지도서 각론 4개 단원의 단원 목표의 경우 지도서 5종(62.5%)은 호기심, 협동심, 객관성, 비판성, 증거의 존중 중 3~4가지 행동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그 나머지 지도서 3종(37.5%)은 행동 요소로 호기심만 포함하고 있거나 태도에 대한 내용 없이 지식과 탐구만을 포함하고 있거나 단원 목표 항목 자체가 없다; 셋째, 분석 대상 지도서 8종 중 1종(12.5%)만이 단원 평가에 해당하는 독자적인 항목을 포함하고 있고, 그 내용으로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 행동 요소는 단원 목표에서의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와도 대체로 일치하는 편이다; 넷째, 차시 목표의 경우, 지도서 3종(37.5%)에는 호기심, 협동심, 객관성 및 비판성 중 3~4개의 행동 요소가 반영되어 있고 나머지 5종(62.5%)에는 호기심만 포함되어 있다; 다섯째, 차시 평가의 경우, 지도서 8종 중 5종(62.5%)에서 3~4가지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가 평가되고 있고, 2종(25.0%)에는 호기심과 협동심 두 가지 행동 요소만 평가되고 있으며, 1종(12.5%)에는 전혀 평가되고 있지 않다.

빛의 굴절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개념이해와 지도계획의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ifficulties i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al Planning of Light Refraction)

  • 이지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18
    • /
    • 2021
  •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가 빛의 굴절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를 읽을 때 생성한 질문을 분석함으로써 개념이해에 있어서의 어려움과 지도계획을 세울 때의 어려움에 어떤 것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6학년 1학기 '빛과 렌즈' 단원의 지도서를 읽고 초등예비교사 283명이 생성한 의미있는 질문은 총 592개였고 이 중 물리 개념이해를 위한 질문은 총 306개, 교육학적 질문은 총 286개였다. 분석 결과, 초등예비교사는 물리 개념이해 측면에서 굴절이 일어나는 원인, 빛을 산란시켜야 하는 이유,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상의 변화 원인 등 교과서에 제시된 현상이 일어난 '원인'의 개념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지도계획 측면에서는 개념의 설명방법에 대한 질문, 즉 초등학생에게 개념에 대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현상만을 지도하여야 하는 것에 대한 질문, 특정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방법, 실험 방법 등에 대한 질문 그 뒤를 이었다. 교사용 지도서에는 교사들의 개념이해를 돕기 위한 여러 가지 설명들과 보충자료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개념에 대해서는 지도서를 읽고서도 의문이 해결되지 않는 초등예비교사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문의 빈도가 높은 개념에 대해서는 좀 더 알기 쉽게 지도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지도계획에 있어서는 교수법과 실험방법에 대한 질문이 많았기 때문에 교사용 지도서에서 개념의 설명방법에 대한 예시와 구체적 실험방법을 좀 더 제공할 필요가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 6학년 초등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발문 유형 분석 (The Analysis on Question's Patter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books of 5, 6th Grade und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김경아;이형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1호
    • /
    • pp.1-1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estion's pattern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books of 5, 6th grade und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 modified analysis framework based on Blosser's classified system was used to analyze 1,982 questions extracted from elementary science teacher's guide books by grade, by domain, and by teaching and learning st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the 1,982 questions, the most prominent type of question was the propositional question and the following was the reproductive question. And, in comparing the question's patterns between 5, 6th grade, it was found that 6th grade had higher rate of close typed question, while 5th grade had higher rate of open typed question in its curriculum. Secondly, a comparative study about two domains, material and energy science domain and earth and life science domain, showed that the number of questions of each domain was not much different. However, it was found that propositional questions and applicable questions showed a higher rate in material and energy science domain, and anticipated questions and open typed questions including divergent and evaluative question showed higher rate in earth and life science domain. Moreover,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from integration and my fun research domain's contents was small, the rate of open typed questions was higher than any other domains. Fin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question's pattern in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the rate of reproductive question and anticipated questions was high at the stage of introduction. At the stage of development, the rate of propositional and reproductive questions was high. At the stage of conclusion, the rate of synthetic and applicable questions was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