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museum field trip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34초

과학관 현장학습 실태조사를 통한 과학 현장학습 활성화 방안 (Science Field Trip Activation Plan through the Survey of Science Museum Field Trip)

  • 권치순;김장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2-150
    • /
    • 2011
  • This study is aimed to offe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and awareness about science field trip and science museum field trip, by analyzing the survey of 867 students and 81 teachers in Seoul. Research shows 67.9% high figur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n science field trip. That experience is include 61.8% of science museum using experience. In ca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e-activity is only 53.1% and most of them was visiting Website. Post-activity is more than preceding activity(74.1%) but method is too simple like checking work sheets. 62.3%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been to science field trip and science museum that is higher than teachers'. 66.5% of students said science field trip is influence on science study in good ways but there are some difficulties like lack of pre-activity(33.0%) and unkind information about science museum(21.9%). For activation of science field trip, resources development for effective science field trip operating, program development for pre- and post-activity, school group science field trip program development which is linked science curriculum, complement and expand activity information of science field trip institution.

과학관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Museum Field Trips)

  • 문재원;나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87-10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 on science museum field trips by using a questionnaire (188 teachers) and interview (6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hoose the science museum as a place for field trips were 'student's interest', 'teacher's own experience related to the science museum', 'science curriculum', 'suggestions from a fellow teacher', 'space available for field work' and so on. Second, 82% of the respondents conducted pre-education program, but they mainly conducted safety education. Third, the teacher conducted post-education program less than pre-education program. In the post-education program, the most activities were to express and share knowledge and experience gained from the science museum. Fourth, 52.2% of the teachers provided tasks or activity sheets during science museum field trips. Fifth, the teachers mainly served as safety guide. In addition, the teachers thought that safety guide w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teacher in science museum field trips. Sixth,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method of viewing the science museum's collection,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docent rather than the teacher, was more educational.

현장학습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관 선호도 및 인식 변화 (The Effects of Field Trips on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 and Awareness of Science Museum)

  • 장현숙;최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0-34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7개윌에 걸친 5회의 과학관 견학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과학관 현장학습에 대한 선호도 및 인식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 2, 3 학년 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과학관 현장학습 전후 연구 대상 학생들에게 과학관 및 과학관 현장학습에 대한 선호도, 효율성, 영향 등에 대해 묻는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관 현장학습을 통해 중학생들은 과학관을 흥미위주의 공간이기보다 자신의 관심 분야와 관련지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즉 정보 제공의 매체로 인식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관 현장학습을 통해 경험한 내용은 학교에서 배운 과학 내용과 관련짓거나 미래 과학의 발전, 실생활에 과학의 적용, 과학 기술의 역사적 발달 과정, 과학관련 뉴스나 사회문제, 과학이란 무엇인가 등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어 과학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우리나라의 과학관들은 아직 양적 질적 측면에서 미흡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과학관 및 과학관 현장학습의 영향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과학 기술을 발전시키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는데 기여를 할 수 있는 수준높은 과학관 시설의 확충 및 적극적인 홍보, 정규 비정규 교육에서 과학관의 적극적인 활용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한다.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Offered by Science Museums

  • Chang, Hyun-Sook;Lee, Hyun-J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755-764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use of science museums in their teaching and their perception/evaluation/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n science museums. We found that teachers do not use science museum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ir formal education; therefore, the students' experiences usually are minimal or are personal experiences. The main reason for this infrequent use of science museums is not because of their insignificant educational effects, but because of the lack of exter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s. Science teachers want the museums to have structured/organized programs such as science camps or experiments and a lending program which would provide experimental equipment and exhibits relevant to the school science curriculum. 90% of teachers who answered the survey wanted to participate in develop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al programs of science museums. The educational programs would be used more effectively in relation to formal science learning if the science teachers, who are science education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managing and planning the educational programs of science museums.

극지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극지연구소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KOPRI's Experiential Field Trip Programs for the Spread of Polar Science Culture)

  • 정찬미;최규리;백은주;백희수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4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부각되는 극지연구의 중요성을 알리고 극지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하기 위하여 극지연구소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행 극지연구소 견학 프로그램 진단 및 극지연구소 연구·전시 시설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및 견학 코스를 정립했다. 이를 바탕으로 극지연구소 및 극지과학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위한 기본형 견학 프로그램 1종과 선택형 체험 프로그램 1종, 극지과학 분야별 연구 시설 견학 및 전문적 체험 학습 활동이 가능한 수요자별 선택형 견학·체험 프로그램 4종 등 총 6종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2회 시범적용을 통해 수정·보완되었고, 견학 시설별 안내 스크립트와 체험 키트, 활동지 및 강사 가이드를 포함한 견학 프로그램 매뉴얼이 제작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발 프로그램의 의의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Digilog를 이용한 과학관의 활성화 방안 (A study on Vitalizations of Science Museum with Digilog-Book)

  • 윤영두;최훈;최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6-568
    • /
    • 2013
  • 최근 정부의 창조과학의 일환으로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과학전시는 인프라의 부족과 예산 및 인력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과거의 과학관은 현장학습 체험의 대표적인 장소이자 유청소년들의 호기심의 장소였다. 그러나 현대에는 과학관의 경쟁상대는 테마파크나 온라인 게임들이 경쟁의 대상으로 부각되어지면서 체험과 교육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학체험 전시기기의 변화가 요구되어진다. 해외 선진 과학관의 사례를 살펴보면 과학관이 단순한 과학교육 체험의 장이 아닌 하나의 문화공간으로서 휴식과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과학이외에도 주변 생활을 다양한 장르의 예술이나 패션 등과 결합하여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획일화 되어진 전시기기의 설명 패널을 디지로그 북을 이용한 설명 패널로 교체하여 관람객의 연령과 학년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과학지식에 대한 지적 호기심 유발과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구성주의 기반의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ist Based Field-Trip Support System)

  • 안성훈;손찬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3-45
    • /
    • 2008
  • 현장 학습은 학생들의 주위 환경에 대한 사고력과 학습력을 신장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또한 실생활에서의 경험을 학습에 연관시켜주므로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준다. 더 나아가 학생 스스로 실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장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RFID 기반의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현장 학습 지원 시스템은 박물관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구현되었으나 같은 형태로 동물원, 미술관, 과학관 등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설계 및 구현된 RFID 기반의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은 현재 초중학교에서 많이 실시되고 있는 현장 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구석기 유물 유적을 활용한 지구과학 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A Development of Earth Science Learning Materials Using Paleolithic Remains and Its Applications)

  • 조규성;이헌종;김정빈;정덕호;신민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9-1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적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해 영산강 유역에서 발굴된 구석기시대 유물 유적을 활용하여 지구과학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구석기 유물 유적을 활용한 학습 자료는 예비 활동 자료, 박물관에서의 활동 자료, 유적지 답사를 위한 활동 자료, 구석기 유물을 제작하는 활동 자료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학습 자료에 대해 과학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설문에 응답한 과학 교사들 10명 중 6명은 유물 유적을 활용한 교수 학습 자료가 탐구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 자료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정규 수업이 아닌 동아리 활동, 현장학습, 과제부여 등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반응하였다. 구석기 유물 유적을 활용한 학습자료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질문 방향이 다양해졌으며 질문하는 횟수도 증가하였다. 유물 유적을 활용한 학습자료는 학생들이 광물과 암석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본 학습 자료는 교사들의 학습 주제 선택의 폭을 넓혀줄 것이라 기대된다.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Use of Educational Programs in Science Museums)

  • 최경희;장현숙;이현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3호
    • /
    • pp.331-3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관의 교수-학습에 활용 현황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지금까지 과학관은 학교 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운영되지 못하였으며, 주로 일회적이거나 개인적인 활동으로 과학관 경험이 끝나는 경우가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관이 교수-학습에 많이 이용되지 못하는 것은 그 교육적 효과가 미미해서보다는 외부의 물적 행정적 지원의 부족으로 인함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이 선호하는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은 캠프나 실험 등의 학생 위탁 프로그램과 학교 교육과 정과 관련된 전시물이었으며, 교사들에게 과학관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기를 물어본 결과 설문 대상의 약 80%의 교사가 과학관 학생 위탁 프로그램 개발, 과학관 투어, 캠프, 실험 등의 과학관 위탁 프로그램 운영 담당, 과학관 중심 교사 커뮤니티에의 참여, 과학관 방문 전후 프로그램 개발 등에 참여를 희망하였다.

  • PDF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과학문화 프로그램 실태조사 - 대덕연구개발특구 소재 기관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Scientific Culture Program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Focusing on Institutions Located in Daedeok Innopolis)

  • 권미자;정기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17-326
    • /
    • 2021
  • 대덕특구 소재 13개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과기출연(연))의 최근 3년간(2017~19년)의 과학문화 활동프로그램을 활동방법과 운영주체에 따라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과기출연(연)이 운영한 총 프로그램 수는 150개이며 기관 당 연평균 11.5개의 과학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과학문화 활동방법으로는 과학축제와 견학이 전체 프로그램 수의 72%이고 운영주체는 '자체(PPOI)' 프로그램이 68개(45.3%), '협력(PCPI)'프로그램이 82개(54.7%)로 조사되었다. 또한 참가 대상의 87.2%가 초·중·고 및 대학생이며 성인대상의 프로그램은 없었다. 우리는 본 연구의 결과로 대중의 연구이해(PUR)를 위해 첨단과학기술을 포함한 현재 진행 중인 연구내용중심으로 각 과기출연(연) 주관·주최의 열린 과학축제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과학콘서트 등의 과학문화 활동 프로그램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