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467/JKESS.2007.28.2.159

A Development of Earth Science Learning Materials Using Paleolithic Remains and Its Applications  

Cho, Kyu-Seo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Lee, Heon-Jong (Division of History and Cul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Kim, Cheong-B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Chung, Duk-Ho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in, Min-Jeo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v.28, no.2, 2007 , pp. 159-1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earth science learning materials based on paleolithic remains in the Youngsan River basin to provide students with curiosity and interest of science. These materials consist of four activities such as orientation, tour of museum, field trip to paleolithic sites, and making of remains. More than 60% of the teachers said that these materials are likely to improve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of students and also suggested that these could be applied to club activity, field trip, and homework. In addition, materials seemed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the mineral and rock. We suggested that these materials could broaden teachers' subject of teaching in science.
Keywords
paleolithic remains; Earth Science learning material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동식, 이용규, 2004, SF 영화를 활용한 과학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748-753
2 김동조, 1998, 중학생 과학흥미도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 p
3 김찬종, 신명경, 이창진, 차현정, 2006,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반영 정도와 전시 방법의 교육적 분석: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2), 130-139   과학기술학회마을
4 신명경, 이창진, 2003,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81-289
5 이찬진, 정상원, 2005, 충북 괴산군 두타산 일대의 야외 지질조사 학습장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41-57   과학기술학회마을
6 이헌종, 1998, 영산강유역 구석기유적의 분포와 연구방법. 지방사와 지방문화(역사문화학회), 창간호(1), 187-219
7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8), 649-658
8 Kern, E.L. and Carpenter, J.R., 1984, Enhancement of student values, interests and attitudes in earth science through a field-oriented approach.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2 (3), 299-305   DOI
9 Orion, N and Hof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10), 1097-1119   DOI   ScienceOn
10 정광중, 2000, 지역 박물관을 활용한 사회과 현장학습의 실제(제주교육박물관 야회 전시장을 사례로). 초등교육연구, 5(1), 97-124
11 교육부, 1997, 교육부 고시 제 1997-15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대한 교과서(주), 서울, 101 p
12 방인옥, 2002, 유아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박물관의 활용 방안. 장안대학 장안논총, 22, 287-307
13 Rennie, L.J., Feher, E., Dierking, L.D., and Falk, J.H., 2003, Toward an agenda for advancing research on science learning in out of school setting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2), 112-120   DOI   ScienceOn
14 이헌종, 2004, 우리나라 서남해안 일대의 구석기시대 유적 분포와 문화적 성격에 대한 고찰. 한국구석기학보, 9, 19-45
15 이헌종, 노선호, 이혜연, 2004, 나주 당가유적. 촌곡리 유적. 목표대학교박물관, 목포, 371 p
16 이기길, 2002, 화순 도산유적. 조선대학교 박물관, 목포, 124 p
17 이선경, 최지은, 신명경, 김찬종, 이선경, 임진영, 변호승, 이창진, 2004,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57-374
18 Chung, D.H. and Cho, K.S, 2004, The effects of implementing a science history program for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process skill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3), 119-128
19 Lock, R., 1998, Fieldwork in the life sc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 (6), 633-642   DOI   ScienceOn
20 서동욱, 2004, 야외지질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86-594
21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 13-17   DOI
22 박진홍, 정진우, 조규성, 이병주, 2000, 중고등학생을 위한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야외 활동 지도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12(1), 13-21
23 안병준, 조규성, 양우헌, 노병섭, 정덕호, 정주상, 문수연, 2006, 전북지역 자연생태 탐구학습자료 개발(마이산과 모악산 지역 자연 학습자료 개발).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6 전라북도교육청 지원사업 보고서, 96 p
24 Folkomer, T.H., 1981, Comparison of three methods of teaching geology in junior high school.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29 (1), 74-75   DOI
25 국동식, 이용규, 2004, SF 영화를 활용한 과학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748-753
26 이헌종, 김주용, 양동윤, 김정빈, 홍미영, 이혜연, 2003, 영산강유역 하류 신발견 구석기 유적군. 한국구석기학회지, 8, 67-98
27 배창호, 김정길, 김해경, 2002, 초등학교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활용방안. 초등과학교육, 21(2), 241-252
28 이범홍,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이미경, 이창훈, 신일용, 심재호, 곽영순, 전영석, 김동영, 장재현, 2005, 과학과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5-7, 327 p
29 Manner, B.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2), 128-131   DOI
30 윤여각, 2000, 박물관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시론. 교육인류학연구, 3(1), 4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