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Field Trips on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ence and Awareness of Science Museum

현장학습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관 선호도 및 인식 변화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cience museum field trips over a duration of 7 months would effect student preference and awareness of science museums. 32 eighth and ninth graders were sampled from a middle school in Seoul and asked about their preference, awareness and the effect of the science museum visits both before and after a field trip. Findings showed a preference for science museums which dealt with themes and topics of student interest. After a field trip, student responded that science museums were information providers which yielded opportunity to explore forthcoming science feats, science in everyday life, developmental histor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related news, social issues, and science rationale. Even though science museums in Korea leave much to be desired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field trips were positively received by students. This reception and its usefulness implied that expansion publizing and active use of formal/informal education relating to science museum facilities need to be top-priority business.

본 연구에서는 7개윌에 걸친 5회의 과학관 견학활동을 경험한 중학생들의 과학관 현장학습에 대한 선호도 및 인식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 2, 3 학년 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과학관 현장학습 전후 연구 대상 학생들에게 과학관 및 과학관 현장학습에 대한 선호도, 효율성, 영향 등에 대해 묻는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관 현장학습을 통해 중학생들은 과학관을 흥미위주의 공간이기보다 자신의 관심 분야와 관련지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즉 정보 제공의 매체로 인식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많은 학생들이 과학관 현장학습을 통해 경험한 내용은 학교에서 배운 과학 내용과 관련짓거나 미래 과학의 발전, 실생활에 과학의 적용, 과학 기술의 역사적 발달 과정, 과학관련 뉴스나 사회문제, 과학이란 무엇인가 등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어 과학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우리나라의 과학관들은 아직 양적 질적 측면에서 미흡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과학관 및 과학관 현장학습의 영향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과학 기술을 발전시키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키는데 기여를 할 수 있는 수준높은 과학관 시설의 확충 및 적극적인 홍보, 정규 비정규 교육에서 과학관의 적극적인 활용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8). 제7차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김혜원 (2004). 과학관의 교육활동과 학교교육의 연계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효경 (1999). 과학박물관의 현황과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송진웅, 오원근, 조숙경, 구수정 (2002). 청소년 학교밖 과학활동 지원 시설에 대한 실태 조사 및 DB 구축. 한국과학문화재단 제2002-30호
  5. 정세진 (2003). 현장체험활동에 관한 교사 인식과 적용-전기박물관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최경희, 장현숙 (2005). 과학관 전시물의 분석을 통한 국내외 주요 과학관의 STS 교육 실시 현황 파악.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36-345
  7. Beetlestone, J. G., Johnson, C. H., Quin, M., & White, H (1998). The science center movement: Contexts, practice, next challeng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7(1), 5-26
  8. Bradburne, J. M (1998). Dinosaurs and white elephants: The science centre in the 21st century.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17(2), 119-137
  9. Choi, K. (2004). Developing active role of science museum in educating on ethical issues on science and technology: Four case studi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1), 109-120
  10. Henriksen, E. K. (1998). Environmental issues in the museum: Applying public perceptions in exhibition development. Curator, 41(2), 90-105
  11. Koster, E. H. (1999). In search of relevance: Science centers as innovators in the evolution of museums. Daedalus, 128(3), 277-296
  12. Lucas, A. (1994). STS beyond school: Public perceptions and sources of knowledge. In J. Solomon., & G. Aikenhead (Eds.). STS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in reform, (pp. 111-119).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3. Pedretti, E. (2002). T. Kuhn meets T. Rex: Critical conversations and new directions in science centres and science museum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7, 1-42
  14. Song, J., Lee, J., Kim, S., Oh, W? & Cho, S. (2004). A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the facilities supporting students' out-of-school science activities and their program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1), 157-170
  15. Wellington, J. (1990).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science: The role of the interactive science centres. Physics Education, 25, 247-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