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aptitude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33초

쌀 품종에 따른 증편의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xture of Jeung-pyun According the Kinds of Rice)

  • 김효진;이숙미;조정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5
    • /
    • 1997
  • The composition and polymeric structure of starch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rice. In an effort to rel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ts functional properties of starch in rice, molecular structural properties of starch from 6 rice cultivars were analysed. To relat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tarch the texture of Jeung-pyun made of rice were analyzed during retrogradation. The polymeric structure of rice starch was analyzed by debranching with isoamylase after gelatinization and fractionated with Sephadex G-75 gel filteration. The size fractionated debranched starch was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such as Fraction I, II, III and Intermediate Fraction depending in their max, The fractions with the max higher than 620 nm were designated as Fraction I, while those in the range of 600-620 nm and 540-600 nm as the Intermediate Fraction and Fraction II, respectively. The Fractions with the max lower than 540 were described as Fraction III.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DP) of the Fraction I wa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200, and those of other fractions, i.e. the Intermediate Fraction I, Fraction II and III were 150,45 and 25, respectively. The levels of Fraction I were varied from II to 35% of total sugar. The Fraction I showed the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amylse contents, and the Intermediate Fraction, which might contain the mixture of short chain of amylose and debranched long chain of amylopectin, were measured to be in the range of 2.7∼8.4%. The levels of fraction II and III, both to be considered as the branches of amylopectin, were ranged 14.5∼23.6% and 39.7∼73.0%, respectively. The ratio of Fraction III to Fraction II describing the degree of branch or compactness of amylopectin was estimated to be around 4.0 for waxy varieties and around 2.0 for high amylose cultivars. With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egree of branch of the amylopectin may effect on amylose contents of starch or rice versa, To invertigate processing aptitude of different rice cultivars for the preparation of Jeung-pyun, its texture was analyzed by Instron, hardness, cohesiveness, elasticity, gumminess and chewiness of Jeung-pyun made of rice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amylose content. Hardness was increased during retrogradation of product,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rdness and amylose content due to not only difference in amylose content but also difference i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arch. I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of rice starch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Jeung-pyun during retrogradation elasticity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before retrogradation bur during retrograd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se result,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egree of branch of the amylopectin may effect on elasticity during retrogradation. However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hich were significant different before retrogradation, showed some correlation with structure of rice starch during retrigradation.

  • PDF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문헌 독해능력 평가 연구 - A대학 1학년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ading Ability for the Literature Reading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Freshmen of A University)

  • 이종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27
    • /
    • 201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문헌 독해 실태를 분석, 문제를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대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지문을 읽는 시간 독해패턴 이해력 기억력 독해습관 및 태도 등을 분석한 결과, 첫째 수능평균을 기준으로는 조사대상 학생의 58%가 양호하고 42%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조사대상 학생의 77%는 양호한 패턴을 가지 있으나 23%는 독서패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이해력과 기억력을 평가한 결과 각각 전체의 69%와 67%가 양호한 것으로, 31%와 33%가 보통 또는 미흡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평소 독서습관 및 태도를 조사한 결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 학생은 평균 77%, 문제가 있는 학생은 평균 23%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첫째 대학생들의 독해평가를 위한 과학적이고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할 것을, 둘째 입학전형과정 또는 입학 후에 독해능력과 독서습관 및 태도를 평가할 것을 제언하였다. 그리고 평가결과 미진한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가칭 기초학력교육원을 운영할 것을 제언하였다.

예술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erceptual Change of High School of the Arts Students through Explicit Instruc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 김희정;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6-283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예술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명시적으로 과학의 본성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이전과 비교하여 개념이 변화된 과학의 본성 요소를 찾아 변화 유형별로 고찰하였다. 학생들에게 어떤 과학의 본성 요소가 변화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의 본성 검사(VNOS-C)를 실시한 결과 실험탐구 집단은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 및 '과학지식의 잠정성'의 요소가, 과학사 집단은 '과학지식의 잠정성' 및 '과학의 사회문화적 내재성'의 요소가 유의미한 개념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명시적 수업의 구체적 내용과 관련된 변화이며, 각각의 수업 전략이 강조하는 점이 과학의 본성 요소에 영향을 끼친 것이다. 과학의 본성 요소의 개념 변화를 가져온 구체적 원인을 밝히기 위해 10명의 초점학생들을 선별하여 면담을 진행하였고, 과학의 본성 요소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원인과 그에 따른 영향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은 명시적 수업의 효과로 현대의 과학 철학적 관점으로의 통합적이고 심층적인 개념 변화가 있었으나, 분석 결과 학생들은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의 요소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론과 법칙의 차이'의 요소에 대해 피상적으로, '과학의 사회문화적 내재성' 역시 불완전하게 이해하고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 상상력의 특징'의 요소에 대해서 학생들 자신이 인식하고 있는 창의성의 정의에 따라 창의성이 관여하는 탐구 단계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예술 고등학생들에게 실험탐구와 과학사 전략을 적절히 사용함으로 각기 다른 과학의 본성 요소를 현대의 과학 철학적 관점으로 양적 질적 측면에서 변화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하여 예술 고등학생들이 구성주의적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개념 변화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 학생들의 개념생태와 수업전략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도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 수업에 대한 과학 교육 과정을 수립하는 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하겠다.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 및 변화 이해 -과학진로 문화자본 관점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and it's Change -Focus on the Science Career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 안주영;윤선미;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9-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과학진로 문화자본의 관점에서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 및 그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맞게 설문지를 개발하여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과학관련 진로를 선택한 학생들의 과학진로 문화자본의 요인 및 특징을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과학관련 진로의 포기, 중간 선택, 유지한 경우에서 각각 4명씩의 참여자를 선별하였고, 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과학진로 문화자본의 각 요인이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외재적 자원을 기반으로 가정, 학교, 지역사회라는 구조 안에서 의무 및 상호관계 규범을 통해 내재적 자원을 형성하였다. 이 때 형성된 내재적 자원은 과학관련 진로에 대한 희망 여부를 결정하였다. 초등학교 때는 주로 과학 및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를 중요시 한 반면, 고등학교로 가면서 진로인식, 적성인식, 진로 가치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과학관련 진로를 선택하였다. 과학에 대한 흥미는 교육 활동과 일상 활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교육 활동의 영향이 증가하였다.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는 초등학교 때는 주로 일상 활동을 통해 형성되며, 고등학교로 가면서 다양한 내재적, 외재적 자원이 영향을 주어 형성되었다. 과학관련 진로를 꾸준히 유지한 학생들은 과학 및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를 바탕으로 외재적 자원을 유입시키면서 흥미를 갖는 과학 분야를 좀 더 세분화하고 과학관련 진로를 구체화하였으며, 다양한 외재적 자원과 상호작용하여 내재적 자원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에 있어 과학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고등학교 선행학습경험과 대학수학교과성적 및 대학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experienc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GPA of college)

  • 이경희;이정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423-439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재학 시 선행학습경험, 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에서의 대학수학교과성적, 대학학업성취도(GPA) 간의 관계를 보았다. 이를 통해, 고등학교 재학 시의 수학교과 학업능력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수학교과성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A대학교 2014학년 1학기에 개설된 '기초미적분학'을 수강한 이과대학 및 공과대학 신입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성적 등 관련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들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차이검정, 일원변량분석(ANOVA), 사후검정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 대학생의 90% 이상이 고등학교 재학 시 수학교과 선행학습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선행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필요성 인식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수학교과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내신등급과 대학학업성취도 간 및 수능수리영역등급과 대학수학교과성적 간에는 미미한 수준의 상관관계만 있었다. 넷째, 고교성적(내신등급, 수능수리영역등급), 선행학습노력, 선행학습만족도, 선행학습필요성이 대학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개원의사와 개원한의사의 전문직업성, 직무스트레스 및 직업만족도 (Professional Job Percepti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Westerm Doctors and Oriental Doctors Practicing at Local Clinic)

  • 김종연;강윤식;조용기;이상원;진대구;안순기;천병렬;예민해;감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1호
    • /
    • pp.44-50
    • /
    • 200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fessionalism,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western and oriental doctors in Korea. Methods : The authors conducted a surve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nducted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01. The study subjects were 457 western doctors and 161 oriental doctors practicing at local clinics in Daegu City. Results : For the professionalism scale, the score for belief in service to the public of western doct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riental doctors (p<0.05) whereas the scores for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and feeling of autonomy were higher in oriental doctors (p<0.01). For the job stress scale, the scores for work factor, and clinical responsibility/decision factor of western doct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riental doctors (p<0.01). Of the western doctors, 59.7%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ir job as a doctor, 69.5% responded that the role of a doctor was appropriate to their aptitude, and 61.8% answered that they wouldn't consider other kinds of job even if offered. In case of oriental doctors, these responses were 83.1%, 82.5%, and 82.3%,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job stress scores of western doctors were higher than those of oriental doctors, but the job satisfaction was lower. The reasons for the above results are not clea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doctors.

정신적 병동 간호업무 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mprovement of the psychiatric Nursing)

  • 신영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9-69
    • /
    • 1975
  • Author studied on various psychiatric nursing problems applying with the test of questionnaire to the 376 nurses who are attending at 13 general hospitals and one mental hospital in Korea from Apr. 1, 1974 to July 30. 1974. The results obtained were ai follows: 1. 13.095 of nonpsychiatric registered nurses wanted the psychiatric service for their most attractive assignment and this was the 3rd in order next to the general surgical and operating room. Among the psychiatric nurses, the popularity toward psychiatric ward was 31. 0% and they were 26.0%at the private general hospitals and 6, 0% in national public hospitals. 2, The feelings or attitudes of disgust and apprehension on nursing care of the patients at-flirted with infectious diseases were the highest responses (38.5%) and these 1.ends were also appeared in 6.9% of psychiatric nurses. 3. 85.5% of nonpsychiatric registered nurses have had received course lectures on psychiatric nursing and nursing care training on the psychiatric ward at their school of nursing. 38.0% of psychiatric nurses had received post graduate psychiatric nursing and they were higher in national public hospitals (27.0% ) than in private general hospitals (11.0%). 4. The responses of satisfaction and security on their employment were almost similar patterns between nonpsychiatric registered nurses and psychiatric nurses. But among the psychiatric nurses. they were more satisfied at private general hospitals (33.0%) than that of national public hospitals (10.0%). 5. Almost the half of the nurses (50.8%) were employed by the hospitals without considering their past educational or clinical experience or career. Among the psychiatric nurses, who were employed by hospitals without considering their past experience or career were 35.0% in national public hospitals and 12.0% in private hospitals. On the contrary, the nurses who were employed by their wishes fore more higher (26.0%) in private general hospitals than national public hospitals (2.0%). 6. The nurses who thought their employment was fit for their aptitude were 48.6% in nonpsychiatric registered nurses and 51.0% in psychiatric nurses. Among the psychiatric nurses, this response was higher in private general hospitals (34.0%) than the national public hospitals (17.0%). 7. Responses on wort loadings of nurses showed almost same patterns between nonpsychiatric registered nurses and psychiatric nurses. But. among the psychiatric nurses who felt much heavier than the nurses of other part were 24.0% in national public hospitals and 8.0% in private general hospitals. 8. 92.6% of nurses felt that the psychiatric nurses should have post graduate training in psychiatric nursing prior to their assignment. 9. 96.0% of nurses agreed to the risk coverage on the payment for the nurses assigned to the psychiatric ward and the ward for infection diseases.

  • PDF

근로여성과 산업피로에 관한 조사연구 (Study on Industrial Fatigue of Working Girls in a Spinning and Weaving Industry)

  • 김광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87-96
    • /
    • 197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resent health status and fatigue of the workers in T. Industrial Company in Pusan in Jan. 1971. The results were based on a question are from 354 working gir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largest portion of the workers, 20.2% of the questioned employees, were observed to lie at age 20. 2. Regarding their formal education, 76.0% of them had completed middle school. while only 7. 1% had graduated from high school, . 3. 63.0% receive 7-8 hrs. of sleep a day while 18.4% receive S-6 hrs. of sleep a day. 4. 36.4% spend leisure time reading: while 15.5% spend it resting and thinking. 5. 53.8% of them live in the company′s dormitory and 31.6% live at home. 6. Time spent in travel to work: 32.8% spent 40-49 min., 23.6% spent 10-29 min. 7. The shift times were reported as: 44.1% wonting from 8 A.M. to 4 P.M. and 33.9% working from 6. A.M. to 2. P.M. which is what they are doing now. 8. Regarding symptoms of fatigue: 1) Physical symptoms were: 48.3% complained of "feeling bean in the legs, ", and 39.3% complained of "general exhaustion. " 2) Psychological symptoms were: 37.6% said that "it is boring to talk"and 26.3% said" they had a desire to be alone". 3) Nitrogenic symptoms were 49.7% complained of "asthenopia"and 37.0% complained of"vertigo and "staggering legs". 9. When asked about the most fatiguing time during work,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reported: 25.2% felt the first hour in the morning was most fatiguing while 22.9% felt the sixth hour in the evening, and 22.8% eelt the fifth hour at night was. 10. 38.4% complained of sleepiness at 3 A.M. and 35.0% at 4 A.M. during night work. 11. 38.1% found Sunday the most fatiguing work day and 20.% found Monday. 12.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their work on certain diseases: 51.1% showed those with anemia as most effected by work. 13. In their Response to the question, "do you eat breakfast\ulcorner"57.0%, the largest portion, answered, " none at all ": 36.3%, enough. 14. Regarding the accident rate relating to the length of time employed at the company 28.5% was the highest accident rate from 5year to 6 yea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mployer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points: 1. employ according to the worker′s vocational aptitude. 2. adjust the shifts. 3. offer rest time and off days, and establish recreational facilities. In the end we can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he workers of the workers and to the prevention of accidents due to industrial fatigue.

  • PDF

대학생들의 대학 내 활동적 요소들이 대학교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University Activity Factors of Students on University Satisfaction and Loyalty)

  • 김문태
    • 서비스연구
    • /
    • 제7권3호
    • /
    • pp.93-104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만족에 대한 원인변수의 규명에 있어 대학교에서 학생들의 참여 및 활동 등의 변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학생들의 학과적성부합도는 대학활동적 요소들 및 대학교 만족 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태도 또한 이러한 요소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학교행사에 대한 참여도는 친교관계, 진로준비행동, 그리고 대학교 만족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들의 친교관계는 대학교 만족 및 대학교 충성도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준비행동 또한 대학교 만족, 대학교 충성도 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마케팅 연구들은 소비자 간의 상호작용성이 소비자들이 서비스에 몰입하는데 중요한 원인이 됨을 검증하였는데 대학에서도 마찬가지로 학생들 간의 적극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및 친교관계가 좋은 것이 학교 만족에 중요한 영향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교 만족은 대학교 충성도에 매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학교를 만족할수록 학교를 추천하려는 의도가 높기에 학생 자원이 부족해지는 현재의 위기에서 재학생들의 학업지속의도 및 재학생 추천에 의한 입학을 확보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만족시키기 위한 대학당국의 선행변수들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진로교육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plan of course education and the recognition about the course&vocation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

  • 임병웅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1-19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과 직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효율적인 진로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미래에 대한 대화상대로는 친구가 가장 선택했고, 학교 선생님과 상담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39.84%로 높게 나타났다. 진로 선택 시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는 학업성적을 가장 크게 보고 있었다. 둘째, 많은 학생들이 진로교육의 시작 시기는 '중학교'가 적절하다고 응답했고, 학교가 제공하는 진로교육 자료가 부족하다고 응답한 학생이 76.56%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 진로에 대해 많이 배우는 과목은 사회, 영어, 국어, 과학, 수학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은 직업을 선택할 때에는 적성과 능력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직업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주요 경로는 매스컴이 52.34%로 가장 높았고, 교사는 20.31%로 나타났다. '좋지 않은' 가정환경의 학생들의 경우 '교사로부터 직업에 대한 정보를 받는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넷째, 고등학교 진학에 가장 영향을 많이 준 사람으로는 부모님이 46.09%로 높게 나타났다. 진학하고 싶은 상급학교 수준으로는 대학교까지가 65.6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형편과 성적이 좋을수록 대학원이상의 진학을 희망하고 있었다. 일반계 고등학교에 진학하는 이유는 '희망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서'라고 응답한 학생이 70.31%로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