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constructing material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7초

망간단괴 용융환원 폐슬래그의 재활용 방안 (Survey on the Recycling of Waste Slag Generated by Smelting Reduction of Deep-Sea Manganese Nodules)

  • 박형규;남철우;김성돈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4호
    • /
    • pp.69-74
    • /
    • 2014
  • 심해저 망간단괴를 용융환원 제련시 발생된 슬래그에 규사와 cokes를 일정량 배합하여 아크로에서 재용융하여 Fe-Si-Mn 합금철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2차 슬래그는 아직 특정 용도가 개발되지 않은 폐슬래그로 취급되는데, 이 폐슬래그의 재활용 방안에 대하여 요업 원료로의 활용가능성과 건설재료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망간단괴 폐슬래그를 포틀랜드시멘트, 캐스타블내화물과 같은 요업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조성 차이가 많아서 직접적인 활용이 곤란하고, 다른 활용방법으로서 폐슬래그를 도로 노반재나 성토재 및 복토재 등과 같은 건설재료로 활용하는 것이 무난하다고 판단된다. 도로 건설재료로 사용시 혹시 있을지도 모를 토양 오염에 대비하여 유해물질들에 대한 용출시험을 KS 기준에 따라 수행한 결과 폐슬래그의 무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망간단괴 폐슬래그를 도로 성토재나 노반재와 같은 건설재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코자 한다.

생태계의 보전·복원을 고려한 일본의 환경친화적 도로건설 기술 사례 연구 (Sustainable Road Construction Technique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Ecosystem in Japan)

  • 성현찬;문다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74-84
    • /
    • 2003
  • This study focuses on the technology to reduce destruction and damages of an ecosystem in the process of road construction.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cological conservation activities and restoration technology which wer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2 bridges in Japan.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ing : Firs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onstructing eco-road was the linear design. Second, we need to adopt the environmental construction forms and materials to the design of structure. Finally, we have to use environment-friendly methods for the sake of the ecosystem at the real construction stage. Adopting those technologies has at least a few merits. First, we can achieve out goals :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in the local habitat. Second, we can save money instead of building a eco-bridge. There is a further advantage which makes it possible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than before by drawing developers' attention.

전과정평가기법에 의한 도로건설공사 환경부하량 평가 연구 (Evaluation of Environmental Stress for Highway Construction Project by Life Cycle Assessment Method)

  • 문진석;주기범;서명배;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83-91
    • /
    • 2014
  • 최근의 국제사회는 경제성장에 따른 기상이변을 방지하고자 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등의 환경 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에 따라 에너지 다소비 산업 가운데 도로건설에 대한 효율적인 환경오염물질 배출 저감 방안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과정 영향평가의 절차에 적합한 도로건설공사 환경영향평가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수의 도로건설공사에 대하여 주요 건설자재의 환경부하량을 분석한 후, 1km 도로건설공사에서 발생하는 평균 환경부하량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자재수량에 대해서는 환경부하량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는 도로건설공사의 공법 및 자재별 수량 변화에 따른 전과정 환경영향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작업로 노면의 피해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Surface Damage Possibility on Strip Roads)

  • 지병윤;정도현;오재헌;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656-660
    • /
    • 2008
  • 본 연구는 숲가꾸기 작업을 위하여 개설된 작업로를 대상으로 노면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여 작업로 노면의 피해예방을 위한 적정 시설기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작업로 노면피해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요인은 시설위치, 종단기울기, 겉보기토질, 산지사면형상, 노폭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단기울기, 노폭 등 도로 구조적인 요인과 시설위치, 산지사면형상 등 입지적 요인 그리고 겉보기 토질과 같은 도로 구성물질이 노면 피해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로의 피해발생은 계곡부, 종단기울기 24%이상, 마사토 토질, 요형사면, 노폭 3.0 m이상에서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안정성은 능선부, 종단기울기 4~24%, 토사지역, 직선형(-)사면, 노폭 3.0 m이하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화II류의 판별식의 판별적중률은 79.4%로 상당히 양호한 값으로 나타나 작업로 노면의 양부판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생 방음벽의 개발현황 및 적용방안에 관한 고찰 (Develop Conditions and Apply Plans of Greening Noise Barrier)

  • 김경우;양관섭;안근영;김현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I
    • /
    • pp.133-138
    • /
    • 2001
  • Traffic noise is a significant national problem in many communities. Construction of noise barriers has been the most often used mechanism to mitigate vehicle noise for residents next to high density roadways. The most common materials for constructing noise barriers are metal. The character of the wall can be significantly modified by the type of surface treatment used on the wall body. Noise barrier walls can be softened through the use of plants. Greening Noise Barrier helps blend the roadway into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provides an interesting and aesthetic view of the road.

  • PDF

프리캐스트 판넬을 이용한 장대터널 내부라이닝 개선방안 연구

  • 이두화;오세준;최창림
    • 도로교통
    • /
    • 통권84호
    • /
    • pp.23-39
    • /
    • 2001
  • Increasing constructions of tunnels are become larger of the size and longer of the length. Construction of the tunnellinings is in poor working environment, for example, dark and narrow undergrou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structlining by required quality in these poor working conditions. In case of the designing tunnel in large scale, particularly, there may be several problems as follows; delay of construction due to a long time in constructing lining and difficulty of quality control. It is also indicated that longitudinal cracks of them are main defects in domestic tunnel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ecast lining method is introduced for solving problems, which are delay of the tunnel construction a d deterioration of tunnel lining. Precast linings have mainly been constructed in Norway and North Europe. A new construction method of tunnel lining, suitable in domestic situation, is introduced by detailed case study. Also, useful material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Precast lining are presented.

  • PDF

최대입경 및 시료 크기에 따른 C.S.G의 강도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S.G by the maximum grain size and the specimen size)

  • 김기영;박한규;이종욱;조성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831-835
    • /
    • 2008
  • Recently, the use of C.S.G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construction material for dam, road, revetment and so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S.G is affected by various influence factors such as specimen size, maximum grain size and water contents. Therefore, When designing and constructing the C.S.G structure,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used materials well and to test it's quality. Commonly, C.S.G strength test is used the cylinders specimen size of $15{\times}30$ at KS F2405. But, the specimen size extracted from the field structure is not regular. This paper aims at offering the experimental data about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ity modulus by change of the specimen size for the effective quality control of the C.S.G structure.

  • PDF

도로건설공사 토공작업부에 대한 환경부하 영향인자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Environmental Load in Earthwork Type of Road Project)

  • 박진영;임제규;김병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52-60
    • /
    • 2018
  • 건설산업에서 LCA (Life Cycle Assessment)를 활용하여 환경영향을 평가하려는 시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제한된 사업예산과 일정으로 인해 신속한 의사결정을 수행해야 하는 국내 건설산업에서 모든 자재와 에너지를 대상으로 환경부하량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친환경성 확보를 위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환경부하 저감을 위해 중점적으로 검토가 수행되어야 하는 주요 영향인자와 이를 환경영향평가로 연계할 수 있는 정량화된 정보의 제공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보의 제공을 위해 도로건설공사 사례의 LCA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유, 레미콘, 우레탄계도료, 골재, 아스팔트콘크리트가 도로 토공작업부에서 환경부하량의 93.17%를 발생시키는 주요 영향인자로 조사되었다. 도로 토공작업부 1km를 시공할 때 이들 영향인자에 의해 발생하는 총환경비용은 약 242백만원이며 레미콘과 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작업물량 10%를 절감함에 따라 5.02%와 2.28%의 탄소배출량 감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두 자원의 탄소배출량 감축을 통해 1km당 약 11백만원의 환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로 토공작업부의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해서는 레미콘과 아스팔트콘크리트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신공법이나 친환경자재의 적극적인 개발과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폼드아스팔트를 이용한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 결정 (Determination of Dynamic Modulus of cold In-place Recycling Mixtures with Foamed Asphalt)

  • 김용주;이호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12
    • /
    • 2009
  • 폼드아스팔트를 이용한 현장 상온 재생아스팔트 혼합물에 대한 배합설계법이 아이오아 주 교통국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상온 재생 폼드아스팔트 혼합물의 배합설계를 위한 실내시험절차를 개선하기 위하여 배합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배합설계변수들을 결정하여 상온 재생 폼드아스팔트 혼합물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배합설계절차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배합설계법의 검증을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상온 재생 폼드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simple performance testing 장비를 이용한 상온 재생 폼드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 측정을 위한 표준시험절차를 정립하고, 7가지 재생 아스팔트 골재를 사용하여 생산된 상온 재생 폼드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 계수를 측정하여 마스터곡선을 작성하였다. 또한 재생 아스팔트 골재의 특성이 상온 재생 폼드아스팔트혼합물의 동탄성 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3가지 온도와 6가지의 하중주기에서 측정된 상온 재생 폼드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는 7가지 재생 아스팔트 골재에서 일관된 값을 나타내었으며, 작성된 상온 재생 폼드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스터곡선은 가열 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스터곡선에 비해 하중주기에 대해 덜 민감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저온에서는 재생 아스팔트 골재의 잔골재 함유량이 상온 재생 폼드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온에서는 재생 아스팔트 골재의 잔류 아스팔트 특성이 상온 재생 폼드아스팔트 혼합물의 동탄성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블록식 보강토옹벽의 붕괴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Collapsed Geosynthetic 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

  • 김병일;유완규;김경모;이봉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006-201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위치한 ${\bigcirc}{\bigcirc}$대학교 캠퍼스 내 외곽도로 신설을 위해서 설치된 보강토옹벽의 붕괴사례를 통해 다양한 원인조사 및 분석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붕괴된 보강토옹벽에 대한 안정성 평가 및 설계도서 검토결과 다짐불량, 기초지반의 지지력 검토 누락, 보강재 설치 길이와 간격, 배수시설 문제 등의 시공과 관련한 문제들로 인해서 붕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전체 사면활동에 대한 안정성 검토, 2단 형태의 보강토옹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FHWA 또는 NCMA 제안방법을 적용하지 않는 등의 여러 설계상의 문제점들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안정성 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재시공될 보강토옹벽의 안정을 위한 보강대책 및 시공방안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