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cognition of curriculum

Search Result 35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초.중등학교 교사의 초.중등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 김영민;허혜연;이창훈;김기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5호
    • /
    • pp.9-1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or this, we survey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engineering positively affect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They also found that engineering education helps student to select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career. Moreover, they perceived that engineering contents are not appli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urriculums, hence it does not stimulate interest in engineering. Therefore, they perceived that if engineering education contents are systematically applied in formal curriculum,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urrent engineering education. Second,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roles of engineering education are to make students learn creative desig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and inform about the engineering field career. They perceived that the best grade to start engineering education is 4~6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best way to apply engineering education is through distributing engineering education contents to related subjects. They also perceived that technology subject has the most relation to engineering education and science subjects; mathematics subject follow after.

치과위생사 역량에 따른 교육과정 현황 분석: G 대학 치위생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a dental hygiene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ntal hygienist competency)

  • 배수명;신선정;장종화;정원균;신보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3-183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a dental hygien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ntal hygienist competenc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59 course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in G University from April 1 to May 30, 2015. Except for liberal arts, 51 cours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competency. For each course, systematic reviews were made by subject name, core competency, achievement goals, lecture hours, weekly themes, and learning goals. Three experts in the dental hygiene evaluated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of competency and goals. Results: Each course was operated by the goal from one to twenty two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e. Achieving one item of competency in a course required 13 hours on the average from minimum 2 hours to maximum 30 hours. More than 20 courses were operated and more than 900 hours were necessary for achieving the competency. The competency included the contents of 'Be able to utilize basic medical and dental knowledge in dental hygiene care and patient care' among the dental hygiene competencies. Conclusions: Competency based dental hygiene education will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fining the identity of dental hygienist as a health care worker and to encourage professionals who contribute to the recognition of healthy society.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for improving the competency-based dental hygiene curriculum and education methods for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ithin the paradigm of health care services.

Relationships among Nursing Students' Recogni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Accept IoT

  • KANG, Ji-Yeon;KONG, Ye-Won;KIM, Eun-Bi;KIM, Eun-Ae;PARK, Sun-Joo;PARK, Jina;SEONG, Ji-Yeon;SON, Chae-Eun;LEE, Bo-Mi;KIM, Yunmi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7권1호
    • /
    • pp.1-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recogni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accept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 healthcare among nursing students, as well as to determine related factors. Through this study, we wanted to develop the basic research for the education related to the IoT in healthcar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48 nursing students using self-report online questionnaires, Naverform, and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in SPSS version 26.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recognition of the IoT was correlated with its perceived usefulness (r=0.37; p<.001) and intention to accept the IoT (r=0.23 (p<.001). The stronges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of the IoT and intention to accept (r=0.67; p<.001). In conclusion, recognition of the IoT in healthcare affected its perceived usefulness,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of the IoT and intention to accept it. This study analyzed how much recogni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accept IoT in healthcare nursing students have.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education related to the IoT in healthcare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nursing curriculum.

장애영역별 학교기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Teachers' Recognition on School-Companies for Each Field of Handicap)

  • 김우호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267-289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영역별 학교기업의 설치와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자료를 알기 위하여 대구 지역에 있는 5개 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영역별 학교기업 설치에 있어서 필요성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에 있어서도 학생들의 전문 직업능력 개발 및 취업률 증대를 기대하였고. 그 방식도 산업체와 지역사회에서 의뢰한 물품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방식을 선호하였다. 학생들의 교육활동 시간편성도 유연성 있게 운영하고 교과는 필요에 따라 통합교육과정으로 한다. 장애영역별 학교기업의 전담교사 및 직원도 학교 실정에 따라 지원 보조하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장애영역별 학교기업에 대한 실천적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PBL수업에서 교육과정 편성 과제에 대한 동기 설계가 학습자의 교과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ivational Design on Curriculum Organization Tasks on Learners' Subjects Interest and Task Difficulty Recognition in PBL)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334-344
    • /
    • 2020
  • 본 연구는 PBL(Problem Based Learning) 수업에서 학생들에 수행하는 과제에 켈러의 ARCS에 의해 동기설계를 반영하였을 때, 학습자의 교과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일반교직을 전공하는 대학생 79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였다. 교과 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의 사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1차 PBL 과제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동기 설계가 반영된 과제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2차 PBL 활동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은 동기설계가 반영된 과제를 수행하였고, 비교집단은 동기설계가 반영이 되지 않은 과제를 수행하였다. 2차 PBL 활동이 종료된 후에 교과흥미와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 수준을 공변량으로 선정하여 ANCOVA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교과흥미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과제난이도 인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으로 검증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분석 (A Recognition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for Software Education of 2015 Revised Korea Curriculum)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7-56
    • /
    • 2016
  •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의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2018년도부터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다. 2015년에는 초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교육 내용과 성취기준을 만들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199명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고,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등학교에 필요하고, 17시간으로는 부족하다. 둘째, 현재 교사들은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의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방법, 평가 방법, 자료 개발 방법 등의 내용을 잘 모른다. 셋째,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 성취기준 적합한 교육 자료 개발과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인지가 낮다. 따라서 초등학교 모든 교사가 교사 연수를 통하여 성취기준에 적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평가 방법, 지도 방법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배움·성장 평가를 위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 (The real state of the learning achievement assessment of the basic curriculum of the special education for referring learning and growing of children)

  • 신서영;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69-78
    • /
    • 2017
  • 본 연구는 개개인의 배움과 성장을 지향하는 개별화교육의 관점에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정책 지원 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는 B광역시 특수학교 교사 129명이었으며, 측정은 특수교육 학업성취도 평가 도구와 관련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FGI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태분석 결과, 평가의 계획, 준거, 방법, 시기에 있어서 개개인의 배움과 성장을 평가하기 위해 특수교사들은 상세하고 면밀한 질적 접근을 하고 있었고, 교육과정의 연장선상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결과를 안내하고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측정도구 각 영역의 하위요소에 대한 인식은 교사의 성별, 연령별, 경력별, 학력별, 학교급별, 설립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실태분석 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 작성 및 평가 체제의 자율성 확대,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 및 체제의 개선, 교사의 배경변인별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역량강화 지원체제 수립 등을 정책적 지원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 고찰 (A study on the evaluation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in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ased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 신서영;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815-823
    • /
    • 2017
  •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하여 특수교육 현장의 실제적 평가에 대한 요구를 고찰한 것이다.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위한 평가영역 및 요소는 델파이 분석으로 도출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대상학생의 4개 생활교육 범주, 22개 내용영역과 국가 교육과정의 7개 교과 범주, 27개 내용영역으로 설정하였다. P광역시에 소재하는 126명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범주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다. 또 이를 평균점을 기준으로 실행도를 x축, 중요도를 y축으로 하여 산점도로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의 일부영역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학업성취도 평가영역 및 평가체제에 대한 재구조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더 나아가 국가수준 기본교육과정의 교과목 편제 및 내용영역, 내용요소의 양에 대한 심도 깊은 개정 논의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해양 교육의 중요성과 지리 교육의 역할 (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Marine Education)

  • 윤옥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91-506
    • /
    • 2006
  •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자원으로서 해양의 중요성과 육지와 해양 중간의,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위치적, 국제 정치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해양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해양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해양교육의 방향을 해양에 대한 관심과 국민적 소양을 넓히는 것으로 설정하고 해양교육의 틀을 해양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인성교육, 영역(영토)교육, 경제교육, 자원 및 환경교육 등으로 구성하였다. 현실적으로 해양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우선 현행 제7차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해양교육 관련 내용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외국의 교육과정에서는 해양교육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명시적으로 드러난 해양 관련 내용은 비중이 적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해양관련 내용을 바탕으로 교과서 집필 시, 또는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 시 해양교육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소재의 활용이 가능하며 본고에서는 지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해양 관련소재를 통해 해양 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지리과는 특히 지역을 이루는 한 요소로서 해양을 다루고 있으며, 해양 관련 소재는 해수욕장, 어촌, 항구, 임해산업단지, 항구도시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일상생활과 연결된 친숙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환경 교과목 선택에 교장선생님과 관련된 요인 연구 (Effects of Principal Relating Factors on the Choice of the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

  • 박상희;이진헌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5권1호
    • /
    • pp.31-5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he effects of principal related factors on the choice of the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curriculum of middle and high school. We select 495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3 district of Chungbuk, Daejeon and Incheon. And, we send the questionnaires to the principals and withrowed answer questionnaire of 313(63.2%) from them. From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we obtaine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 alpha value(0.8684).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s fallows : the principal factors that had chosen the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ve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recognition, attitude and practice than that not choiced on the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p=0.000). The correlation between principal's attitude on the choice of the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hoice state of schoo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factors, and it'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328(p<0.01). Principal's attitude factor on the choice of the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ve a great influence on his practice factor of them, and standard regression coefficient was 0.642(p<0.001). We found that principal's attitude factor on the choice of the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hoice state of school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