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aluation area of academic achievement in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ased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 고찰

  • Received : 2017.06.26
  • Accepted : 2017.07.17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 for practical evaluation of special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 performance of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area.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areas for th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set in 4 categories - 22 areas of life education derived from Delphi analysis and 7 categories- 27 areas in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126 teachers of intellectual disability special schools in P metropolitan c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all areas. As a result of analysis of scatter plot with x - axis and significance as y axis based on averaging point, some elements of subject education showed low recognition level both in importance and exec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restructuring the evaluation area and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basic education curriculum of the special education and further revise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the national level basic curriculum and the content area, It implies that discussion is needed.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영역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에 근거하여 특수교육 현장의 실제적 평가에 대한 요구를 고찰한 것이다.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위한 평가영역 및 요소는 델파이 분석으로 도출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대상학생의 4개 생활교육 범주, 22개 내용영역과 국가 교육과정의 7개 교과 범주, 27개 내용영역으로 설정하였다. P광역시에 소재하는 126명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범주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다. 또 이를 평균점을 기준으로 실행도를 x축, 중요도를 y축으로 하여 산점도로 분석한 결과 교과교육의 일부영역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학업성취도 평가영역 및 평가체제에 대한 재구조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더 나아가 국가수준 기본교육과정의 교과목 편제 및 내용영역, 내용요소의 양에 대한 심도 깊은 개정 논의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