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lity

검색결과 8,162건 처리시간 0.043초

Effects of Changes in Reality Shock among New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in South Korea

  • Park, Hyun Hee;Lee, Kwang Ok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0-6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reality shock among new nurse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to identify turnover reduction methods. Methods: A total of 146 new nurses from 6 general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5 to November 10, 2015. Results: The mean scores for factors related to turn over were 2.75 for nurse practice environment, 2.84 (4point scale) for reality shock, and 3.08 (5point scale) for turnover inten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act of reality shock was observed depending on whether the nurses selected their work unit (F=6.24, p=.003) and whether they could take the possibility of holiday on the desired day at will (t=-2.57, p=.013). Changes in reality shock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with the 'increased reality shock' group demonstrating an odds ratio of 2.37 (CI: 1.41~3.98) for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lowering reality shock and turnover intention by considering nurses' work-related characteristics and improving their practice environments. To further study the changes in reality shock new nurses experienced, additional research is warranted while homogenizing the participants in terms of preceptorship duration and timing of independence.

Trends and Prospects for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and Digital Property

  • Kirillova, Elena Anatolyevna;Blinkov, Oleg Evgenyevich;Blinkova, Elena Victorovna;Vrazhnov, Aleksey Sergeevich;Magomedov, Firdousi Bilyamudinovic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284-290
    • /
    • 2022
  • The study considers trends and prospects for developing virtual (augmented) reality and civil transactions in relation to digital property. In jurisprudence, there is a need to determine the legal status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o regulate legal relations in the digital environment. Legal relations using new digital technologies require the creation of new legislative approaches and rules of their legal regulation. The article dwells on the legal status of virtual (augmented) reality and determines the methods of regulating legal relations in the sphere of digital property. The study utilized methods for collecting single and multiple facts in order to identify the main trends in the civil circulation of digital assets, as well as private law methods. The methods of generalization, concreteness, induction and deduction reveal the legal nature and main features of virtual (augmented) reality and digital property. The paper highlights the specifics of virtual reality and civil transactions in relation to digital assets. The research has concluded that the sale, exchange and other actions with digital objects in virtual reality have distinctive features, while digital property has also unique characteristics since it is involved in civil circulation and legal relations.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축문화유산 구현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Heritage Using Augmented Reality)

  • 이강훈;조세홍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1-139
    • /
    • 2012
  • 건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멀티미디어 및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로 복원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로 복원된 건축문화유산을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현재 디지털로 구현된 건축문화유산을 인터넷이나 여러 매체, 멀티미디어 기기들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문화유산 구현에 있어서 가상현실 기술에서 파상된 증강현실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에 가상의 개체나 정보를 증강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가상 개체나 정보를 상호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많은 분야에서 증강현실을 활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건축문화유산을 증강현실로 표현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건축문화유산을 증강현실 기술로 구현하는 방법과 과정을 설명하였다. 또한 증강현실로 표현된 건축문화유산을 다른 형태의 콘텐츠와 비교하고, 증강현실로 표현된 건축문화유산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가상현실 공간상에서 물체의 크기와 실제 크기간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Size of objects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and real space)

  • 김윤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383-398
    • /
    • 2017
  • VR 가상현실 콘텐츠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하는 매체가 되고 있다. 가상현실 콘텐츠가 현실감이 있기 위해서는 가상현실상의 물체들의 스케일이 실제의 크기와 같아야 하고, 또 같은 크기로 사용자에게 느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 느껴지는 캐릭터의 크기와 비교해서 가상현실 공간상의 캐릭터의 크기는 수치상으로 같은 크기로 제작했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HMD로 영상안의 사물을 바라봤을 때 크기의 왜곡이 느껴지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상에서 크기와 관련된 요건들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건들이 가상현실에서는 어떠한 차이점을 가져오는지, 차이점이 사용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상현실 공간상에서 물체의 크기와 실제 공간에서의 물체 크기를 비교해보는 실험과 설문을 통해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스케일의 왜곡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가 가상현실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가 되길 바란다.

환경디자인에 적용될 가상현실(VR) 시스템의 구축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uilding a Virtual Reality System with Environmental Design)

  • 김지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2-21
    • /
    • 2004
  • 현대사회는 정보화 사회로 모든 사람들이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신속히 받아들여 생활에 활용하기를 원한다. 또한 현실의 한정된 공간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자유로이 상상의 세계를 현실과 같이 경험하고자 한다. 디자인은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창조적인 행위로써 '가상'(Virtual)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은 상상 속에 존재하는 형태나 이미지를 실제로 재현하기 위한 '가상의 현실화'(Reality of Virtuality)작업이라 말할 수 있다. 디자인 분야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컴퓨터 응용 방법들이 많이 활용되었다.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디자인 과정 또한 시간적으로나 방법적으로 간편화되었고 또한 효율적으로 발전하였는데 이러한 의미에서 컴퓨터는 디자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하드웨어임에는 틀림이 없다. 이번 연구는 환경디자인(Environmental Design)에 적용되고 있는 컴퓨터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단순한 활용에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의 모색을 통해 현실감(Presence)을 극대화하여 이를 설계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현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상현실 시스템(Virtual Reality System)을 환경디자인(Environmental Design)분야에 폭 넓게 활용하여 수준 높은 설계를 제공하고 모의실험을 통한 현실감의 극대화를 도출하고자 하며 앞으로 가상현실 시스템(Virtual Reality System)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들이 환경디자인에 적극적으로 도입될 전망이다.

  • PDF

MR을 이용한 현재 위치 기반 관광 안내 시스템 설계 (Design of Touris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using Merged Reality)

  • 조경우;전민호;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43-845
    • /
    • 2016
  • 최근 AR(Argu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기술의 발달로 위치 기반 게임 및 증강 현실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로 인해 AR, VR, MR(Merged Reality) 기술은 제 4차 산업혁명 기술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VR 기술의 대표격인 오큘러스 리프트나 HTC VIVE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별도의 컨트롤러가 필요하며, 기기를 사용할 때 외부의 영상정보를 받아오는 형태의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인텔의 MR 기기인 프로젝트 알로이의 경우 컨트롤러 없이 사용자의 손짓과 얼굴 표정 등으로 조작이 가능하며, 외부의 영상정보를 받아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MR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기반 한 관광 안내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MR을 통한 외부 영상정보와 GPS를 이용한 위치 측위, 무선 인터넷을 통한 관광 정보 검색을 통해 관광객의 현재 위치에 따른 관광지 정보를 위치에 맞게 배치하여 경제적인 관광이 가능케 한다.

  • PDF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내용분석 연구 (Content Analysis of Digital Reality Contents as a Branded Entertainment)

  • 조창환;이희준;김호현;이소윤;길영환
    • 광고학연구
    • /
    • 제29권5호
    • /
    • pp.127-160
    • /
    • 2018
  • 본 연구는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을 사용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 즉 리얼리티 브랜디드 콘텐츠(Reality Branded Content, RBC)에 대하여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그 형식과내용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RBC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300개의 표본에 대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일원분산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RBC는 주로 디리버티브 스토리텔링 기법을 사용하며, 감성적 소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디지털 리얼리티 기술유형(VR, AR) 별 상호작용성량을 확인한 결과, 증강현실을 사용한 RBC의 상호작용성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상호작용성 유무에 따른 RBC의 인지된 가치량과 콘텐츠 수용에 관여하는 감각의 양적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지된콘텐츠 가치량은 상호작용성 기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높았고, 관여된 감각의 양은 상호작용성 기능이 없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이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의의를 논하였으며, 향후 RBC를 활용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제고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in the Organization of Modern Library Media Space

  • Horban, Yurii;Gaisynuik, Nataliya;Dolbenko, Tetiana;Karakoz, Olena;Kobyzhcha, Nataliia;Kulish, Yu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375-380
    • /
    • 2022
  •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provide access to learning materials and improve the organization of a modern library's media space.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in the modern library's media space organization. Methodology. The research uses a university library case study methodology to empirically investigat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Results.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provide research and improve learning outcomes by engaging students and learners with significant interest in such technologies. Libraries offer users the opportunity to create their VR content through available software. Students can test their VR content in the libraries' labs. Libraries support access to a variety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 content is accessed using "virtual reality headsets" for viewing and workstations with "authoring software and loanable 360 cameras" for creating. The library lab is a space to support students' digital creativity and research through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here are 3D Design Labs within the libraries as a medium to large group design learning spaces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Libraries form a media space where users can create videos, podcasts, portfolios, edit media, and book tours, and students and researchers can explore different scientific knowledge. In this way, technology ensures that risks in learning are minimized as opposed to hands-on seminars and classes.

원자력발전소 건전성평가를 위한 인터넷기반 가상현실환경과 웹데이터베이스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net based Virtual Reality Environment and Web Database for the Integrity Evaluation of the Nuclear Power Plant)

  • 김종춘;정민중;최재붕;김영진;표창률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40-146
    • /
    • 2001
  • A nuclear Power Plant is composed of a number of mechanical components.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these components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nuclear industry. In order to evaluate the integrity of these mechanical components, a lot of data are required including inspection data, geometrical data, material properties, etc. Therefore, an effective database system is essential to manage the integrity of nuclear power plant. For this purpose, an internet based virtual reality environment and web database system was proposed. The developed virtual reality environment provides realistic geometrical configurations of mechanical components using VRML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was linked with the web database, which can manage the required data for the integrity evaluation. The proposed system is able to share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integrity evaluation through internet, and thus, will be suitable for an integrated system for the maintenance of mechanical components.

  • PDF

원전 산업과 가상현실기술 접목을 위한 3D 모델 원전 적용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3D Model Application for Combining Nuclear Power Industry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 임병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4-225
    • /
    • 2019
  •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be defined as human-computer interface that makes virtual place of specific environments or situation is an interactive computer-generated experience taking place within a simulated environment. In order to combine virtual reality technology of domestic nuclear power industry, the R&D Project has been developing a virtual/augment reality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from April 2018 to March 2021. To effectively apply virtual reality technology of domestic nuclear industry, it is necessary to build virtual space similar to real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analysed 3d model status for nuclear power plant during the life-cycle, and suggested a method to build 3D cad model close to real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