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lout resistance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5초

PHC-W 흙막이를 활용한 건축영구벽체에서 PHC-W말뚝과 증설벽체를 합벽시키는 전단연결재의 인발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llout Behavior of Shear Connectors which Fix the Additional Wall to the PHC-W Piles in the PHC-W Type Permanent Building Retaining Wall)

  • 진홍민;김성수;최정표;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2호
    • /
    • pp.107-113
    • /
    • 2017
  • PHC-W 흙막이를 건축영구벽체로 활용하기 위해서 전단연결재를 이용하여 PHC-W말뚝과 증설벽체를 일체화 시켜야 한다. 전단연결재의 인발 거동은 2가지 인발 거동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인발 거동 유형은 최대 인발저항력에 도달한 이후 정착부가 파괴되어 전단연결재가 정착부위에서 뽑혀 나오는 인발변위 거동을 나타내었다. 두 번째 인발거동 유형은 최대인발저항력에 도달한 이후에도 정착부가 파괴되지 않고 인발변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거동을 나타내었다. 최대 인발저항력은 강재 앵커 전단연결재가 이형 철근 전단연결재보다 크게 나타났다. 동일 재료의 전단 연결재에서는 직경이 클수록 그리고 정착 길이가 길수록 최대 인발저항력은 큰 값을 나타내었다. 최대인발력에 상응하는 인발변위는 재료, 직경 및 정착길이에 상관없이 다양한 범위를 나타내었다. 즉 A-D20 전단연결재의 경우 8~10mm이었으며 A-D16, D-D19 그리고 D-D16 전단연결재의 경우 14~20mm이었는데 정착길이가 50, 80mm에서는 6~10mm로 나타났다.

앵커의 극한 지지력 변화와 파괴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tion of Ultimate Pullout Resistance and Failure Behavior for Vertical Plate Anchors in Sands)

  • 장병욱;황명수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1-80
    • /
    • 1990
  • Model tests for the ultimate pullout resistance of anchorages and investigation of failure behaviors in cohesionless soil have been conduc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nchorage are mostly the geometry of the system, and soil properties of sands. The main conclusions of the experimental work were as follows. 1. The load - displacement relationship can be a form of parabolic curve for all plates. 2. The change in ultimate pullout resistance of anchor is mostly affected by embedment ratio and size of anchor, and influenced to a lesser degree by its shape. 3. Critical embedment ratio which is defined as the failure mode changes from shallow to deep mode is increased with increasing height of anchor. 4. For a constant anchor height, as the width of anchor increases the ultimate pullout resistance also increases. However,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anchor for unit area, width of anchor does not appear to have any sigrnificant contribution on increasing anchor city. 5. Anchor capacity has a linear relation to sand density for any given section and the rate of change increases as the section increases. Critical depth determining the failure patterns of anchor is decreased with a decrease of sand density. 6. With increasing inclination angle, size of anchor, and decreasing embedment ratio, the ultimate pullout resistance of anchor under inclined loading is significantly decreased. 7. The ultimate pullout resistance of double anchor, a method of improving single of anchor capacity, is influenced by the center - to - center spacing adjacent anchors. It is also found that tandem and parallel anchor rigging arrangements decrease the anchor system capacity to less than twice the single anchor capacity due to anchor interference.

  • PDF

자켓앵커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ur Mechanism of Jacket Anchor)

  • 김동휘;김인철;공현석;이우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240-1249
    • /
    • 2008
  • Jacket anchor was developed to increase the pullout resistance of general ground anchor in soft ground, and the mechanism of pullout resistance of jacket anchor was analyzed. Also, the ultimate bond stress of jacket anchor was estimated by ultimate resistance which is determined by field tests. Grout milk was injected into the jacket to make grout bulb of jacket anchor. The formation of grout bulb of jacket anchor increases the diameter of grout bulb, ground strength and confining pressure between anchor grout and soil. From the twelve field test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the pullout resistance of jacket anchor is 15.38~295.02%(average 83.53%) greater than that of general ground anchor, and plastic deformation of jacket anchor is 20.78~1,496.45%(average 288.78%) smaller than that of general ground anchor at the same load cycle. Especially,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ncrease of ultimate resistance over 200% and the reduction of plastic deformation over 600% was obtained in gravel layer. It means that the jacket anchor is superior to the general ground anchor in gravel layer. Finally, the ultimate bond stress was proposed to design jacket anchor.

  • PDF

신장성에 따른 띠형 보강재의 인발저항 특성 (Pullout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Strip-type Reinforcement based on Extensibility)

  • 이광우;조삼덕;한중근;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37-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띠형 형태의 보강재에 대하여 신장성에 따른 인발저항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재스트립 및 띠형 섬유보강재를 대상으로 대형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약간의 지지저항이 함께 발현되는 돌기형 강재스트립 보강재의 인발시험 결과를 마찰저항 보강재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단면적이 작은 돌기형 강재스트립 보강재는 지지저항에 기인하여 마찰저항만으로 인발저항이 발현되는 보강재에 비하여 우수한 인발저항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단면적이 유사한 마찰저항 보강재의 경우에는 신장성 보강재가 비신장성 보강재에 비하여 우수한 인발저항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가압식 압축형 지반앵커의 인발저항력 증대효과 및 군효과 특성 (The Effect of Pressurized Grouting on Pullout Resistance and the Group Effect of Compression Ground Anchor)

  • 김태섭;심보경;이규상;이인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5-19
    • /
    • 2010
  • 본 연구는 가압식 압축형 지반앵커의 실내모형 챔버시험, 현장시험을 통해 가압그라우팅이 지반앵커의 인발저항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현장 군앵커 인발시험을 통해 압축형 지반앵커의 군효과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가지 시료에 대한 실내시험 결과, 가압그라우팅으로 인한 앵커체의 직경 증가량은 시험값과 공동팽창 이론에 의한 값이 대체적으로 일치하였다. 또한 지반의 투수계수에 따른 가압 그라우팅 최소 주입시간을 제안하였다. 현장시험 결과 가압그라우팅으로 인한 앵커체의 직경 증가, 구근 표면 거칠기 증가, 인발저항력 증가의 효과는 SPT-N치가 작은 상대적으로 연약한 지반에서 가압 그라우팅의 효과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SPT-N치가 50이상인 지반에서는 가압그라우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장시험결과를 바탕으로 단위극한주면마찰력 산정식을 지반의 SPT-N치에 대한 함수로 제안하였다. 또한 현장 군앵커 인발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앵커간격과 영향원추반경의 비 및 앵커간격과 천공직경의 비의 2가지 형태로 압축형 지반앵커에 적합한 군효과 저감률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화강토와 표준사를 이용한 토목섬유의 인발시험결과 비교 (Pullout Test Results of Geosynthetics using Granite Soil and Standard sand)

  • 주재우;박종범;김장홍;송춘석;백경종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39-45
    • /
    • 2005
  • 인발 저항각이라는 새로운 개념은 토목섬유로 보강된 지반에서 인발 시험을 행할 때 발생되는 마찰력, 점착력, 수동저항을 포함하는 것이다. 인발 면적을 계산함에 있어 분포 면적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그리드에 발생되는 인장력 곡선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분포면적비는 화강토나 표준사 지반에서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인발 저항각은 낮은 구속하중인 $0.2kg/cm^2$일 때는 마찰각보다 더 큰 값을 보이지만, 높은 구속하중인 $0.8kg/cm^2$일 때는 마찰각보다 더 작은 각을 보였다.

  • PDF

인발시험과 이론식을 이용한 강재스트립 보강재에 설치된 지지부재의 지지저항 특성 평가 (Evaluation on Bearing Resistance of Transverse Members in Steel Strip Reinforcement using Pullout Tests and Theoretical Equations)

  • 한중근;윤원일;홍기권;홍원표;이광우;조삼덕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33-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강재스트립 보강재에 지지부재가 결속된 형태의 보강재에 대하여 인발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인발시험결과와 기존에 제안된 지지저항 평가식에 의한 결과를 비교함으로서 인발변위 50mm일 때의 인발력과 최대 인발력에 의한 지지부재의 지지저항 특성을 평가하였다. 인발변위 50mm일 때의 인발력 적용에 의한 지지저항응력(${\sigma}^{\prime}_b$)은 수직응력 증가에 따라 전면전단파괴에서 펀칭전단파괴로 근접하였으며, 지지부재 개수의 증가에 따라서는 펀칭전단파괴에서 전면전단파괴로 근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대 인발력을 적용한 지지저항응력(${\sigma}^{\prime}_b$) 은 수직응력 조건 및 지지부재 개수와 관계없이 전면전단파괴에 근접하였지만, 보강토옹벽의 허용변위를 고려한다면 설계 적용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Prandtl의 소성이론 및 원주공동확장이론에 의한 이론식을 이용한 지지저항 평가는 인발시험결과가 Prandtl의 소성이론을 이용한 예측결과에 보다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randtl의 소성이론 및 원주공동확장이론을 이용한 지지저항 평가모델은 전면전단파괴와 펀칭전단파괴모델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체인 보강토 옹벽의 현장 인발실험 (A In-Situ Pullout Experiment of Chain Reinforced Earth Wall)

  • 유찬;김상수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57-360
    • /
    • 2002
  • A in-situ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ullout resistance capacity of chains which is used as a reinforcement of reinforced earth wall. It was also considered that chain was combined with a bar or L-type steel angle by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member in the experiment. As a result of experiment, it is expected that chain can be safely used as reinforcements of reinforced earth wall, although it is concerned that a theoretical estimation of the pullout resistance capability of chain is too conservative.

  • PDF

띠형 섬유보강재의 폭과 설치간격에 따른 변형률 분포 및 인발강도 특성 평가 (Evaluation of Strain Distribution and Pullout Strength based on Width and Horizontal Spacing of Geosynthetic Strip)

  • 이광우;조삼덕;한중근;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39-4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블록식 보강토옹벽에 적용이 가능한 띠형 섬유보강재에 대하여 대형인발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지반 내에 포설된 보강재의 인장변형 및 유발인발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면적법과 유효면적법을 이용한 인발강도를 평가하였다. 최대인발력은 보강재 폭 및 수직응력 조건에 관계없이 끝단 인발변위가 15mm 이내에서 발현되었다. 그리고 보강재의 설치간격과 관계없이 인발력과 끝단 인발변위 관계에 의한 인발거동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띠형 섬유보강재의 인발에 의한 변형은 보강재의 폭과 관계없이 선단부에 집중되어 선단부분에서 큰 인발력이 유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직응력 조건에 따른 마찰저항 보강재의 결속력이 인발저항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띠형 섬유보강재는 인장특성이 고려된 유효길이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져야 보다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대밀도와 세립분 함유율이 현장타설말뚝의 인발저항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Relative Density and Fines Content on Pullout Resistance Performance of Drilled Shafts)

  • 유승경;홍기권;정민우;신희수;이광우;유정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37-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상대밀도와 세립분 함유율이 현장타설말뚝의 인발저항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상대밀도 및 세립분 함유율 조건에 대한 직접전단시험 및 모형말뚝 인발실험을 수행하였다. 직접전단시험으로부터 세립분 함유율에 따른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의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인발실험 결과에서는 말뚝의 인발저항 성능에 미치는 상대밀도와 세립분 함유율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두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말뚝의 인발저항 성능에 대한 지반의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의 기여도는 세립분 함유율 약 13%를 전후로 하여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장타설말뚝 설계 시 수행되는 마찰저항 성능 평가는 지반의 세립분 함유율에 따른 강도정수($c-{\phi}$)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