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ness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4초

구술 기록의 공공성 (A Study on the Publicness of Oral Records : The Cases of 2021 Digital Life History Archiving)

  • 김택호
    • 기록학연구
    • /
    • 제79호
    • /
    • pp.443-469
    • /
    • 2024
  • 본 연구는 다양한 기관에서 생산하고 있는 구술 기록과 구술 기록 생산과정에 공론장 형성 기능이 있으며, 이것이 구술 기록의 공공성이라는 점을 드러내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는 이를 위해 공론장과 공공성을 논의하고 분석한 철학, 사회학, 정치학 분야 선행연구를 살펴보면서 공론장의 기능과 공공성의 의미를 규정하고, 그것이 구술 기록의 일반적인 특성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논의의 구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고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이 수행했던 「2021년 디지털 생활사 아카이빙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업에 참여했던 시민 면담자들의 구술 기획과 구술 기록, 구술 기록 해설로부터 공공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요소를 다수 찾아낼 수 있었다.

기업의 공공성이 사회적 책임 인식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orporate Publicity on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and Brand Attitude)

  • 강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79-391
    • /
    • 2020
  • 한국사회를 주도해온 성장주의 패러다임이 이제 임계점에 도달하였다. 기업에게 개별적인 경쟁을 통한 성과 창출에 열중하기 보다는 공공성의 가치를 둔 상생과 연대적인 성장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기업 공공성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기업의 공공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들의 호감도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라는 인과관계를 검증을 통해서 공공성이 기업운영에 실체적인 경쟁력이자 지속가능성을 위한 중요한 핵심 경영 활동으로 인식될 가능성의 탐색 차원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기업 공공성은 진정성, 능동성, 공익성, 화합성, 공동체성의 5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공공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평가 전반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공공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브랜드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이 탁월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서의 공공성 강화와 그에 따른 실천적 행위를 강조하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구글 아트 앤 컬처(Google Arts & Culture)의 '비영리' 전략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뮤지엄의 공공성을 전용하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 (A Critical Study on Google Arts & Culture's "Non-Profit" Strategy and its Appropriation of Publicness of Museums)

  • 박소현
    • 예술경영연구
    • /
    • 제59호
    • /
    • pp.33-72
    • /
    • 2021
  • 본 논문은 팬데믹 상황을 계기로 더욱 급속히 확장되고 있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박물관·미술관 연구의 이론적 지평을 확장적으로 재구성하고, '구글 아트 앤 컬처'에 대한 사례분석을 수행했다. 이론적으로는 박물관·미술관에 대한 디지털 기술의 적용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이 내포하고 있는 도구적 관점과 기술낙관주의의 현재성을 검토하고, 이러한 논의들에서 생략되어 온 최근의 박물관·미술관학적 쟁점들, 특히 신자유주의적 정책의 광범위한 확산 속에서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에 관한 규범적 논의들의 수정과 축소로 인한 위기적 인식들을 함께 전면화하려 했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들 위에서 본론에서는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개념인 '비영리성'이 어떻게 구글에 의해 중요한 비즈니스 전략으로 채택되어 활용되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그럼으로써 본 논문은 박물관·미술관에 대한 신자유주의화와 정부의 공공기능 실패,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의 위기,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을 전용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 구글의 '비영리' 전략 등이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갖고 전개되어 왔음을 논하고자 했다. 그 어떤 기업보다도 첨단 디지털 기술로 무장한 구글 아트 앤 컬처 프로젝트는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을 유용한 수익창출 모델로서 전용하면서,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을 규정하는 마지막 보루라 할 수 있는 '비영리성' 개념을 무력화했다. 그리고 기술낙관주의는 이러한 일련의 기획들을 가속화하고 그에 장벽이 되는 정책과 규제, 신념과 문화를 해체하는 동력이 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구글 아트 앤컬처는 박물관·미술관의 공공성 개념이 그 어느 때보다도 논쟁적이고 급진적인 전환의 시점에 처해 있음을 환기시키는 중요한 사례라 할 것이다.

지방의료원의 성과분석: Data Envelopment Analysis와 패널분석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Municipal Hospitals: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Panel Analysis)

  • 정은영;서영준;이해종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5-30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public municipal hospitals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efficiency, profitability, and publicness by using panel data during period from 2006 to 201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fficiency analysis during the period from 2006 to 2010, it wa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staff by each job category, labor cost ratio, the number of operating beds need to be decreased. Second, the performance data represented by the indicators of efficiency, profitability and publicness were complementary and showed a tendency of being increased or decreased in same direction. Third, from the result of panel analysis, the efficiency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structural factors, while the profitability was influenced by managerial factors, and the publicness by medical environm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public municipal hospitals in Korea, it is important to harmonize the effort for efficiency, financial and policy support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community residents.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실내공개공지 공공성 평가지표 개발 연구 - 뉴욕시 실내공개공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ness Evaluation Index of Indo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Using Space Syntax - Focused on New York City Indo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

  • 김정우;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4호
    • /
    • pp.83-9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ublicness evaluation index for indoor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POPS). In order to develop the index, 10 cases of indoor POPS in New York City were analyzed using Visibility Graph Analysis by evaluating its accessibility and visual open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cessibility and openness of indoor POPS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public spaces on the first floor. (2) Cases with high accessibility index installed a higher number of entrances. (3) Cases with high openness index were mostly composed of a glass wall. (4) The publicness index was high when the lobby and the indoor POPS are shared. (5) Atrium types were highly utilized and the evaluation index was also high whereas, linear types were less utilized and the evaluation index was lower.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of Operational Publicness of Child Care Centers)

  • 양미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1-4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유형별 공공성 수준 차이를 살펴보고,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 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 구성요소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어린이집 유형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총 511개소로, 국공립어린이집 108개소, 법인어린이집 110개소, 민간어린이집 101개소, 가정어린이집 80개소, 공공형어린이집 121개소이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F검증, Duncan 사후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공립어린이집이 보편성, 참여성, 투명성이 가장 높고, 공공형어린이집은 공개성이 가장 높았다. 반면에 민간과 가정 어린이집은 모든 공공성 구성요소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 구성요소, 즉 보편성은 국공립어린이집과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소재할수록 높았고, 공개성은 반대로 법인, 민간, 가정 어린이집일수록 낮았으며, 투명성과 참여성은 국공립과 법인 어린이이며, 정원충족률이 높을수록 높았다. 어린이집에 대한 지원 확대와 이에 대한 정부의 관리감독이 수반되며,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 확보를 이룰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옥상텃밭의 공공성 평가에 따른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Rooftop Garden by Assessing the Publicness : a Case of Mullae Roof Garden, Mullae-dong, Seoul)

  • 강내영
    • 농촌계획
    • /
    • 제22권3호
    • /
    • pp.131-142
    • /
    • 2016
  • Urban agriculture, which can be defined as agriculture performed in a city,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restore deserted community and expand green land in city area through cultivation activities. In Korea, 'Urban Agriculture Promotion and Support Act' was enforced from May 2012. In addition, in the same yea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clared 'the beginning of urban agriculture era,' established municipal ordinance, and increased budget to actively support urban agriculture. As a result, urban agriculture practices have been increasing every year. Yet, the way of developing urban agriculture in a uniform way of expanding green land has led to difficulties of securing proper spaces. Accordingly, 'roof top' spaces have gained attention. This study analyzes rooftop garden, one of the spaces of carrying out urban agriculture, from the publicness perspective. The study selected a case study of a public rooftop garden in Mullae-dong, Yeongdeungpo-gu, investigated present conditions and usage features of the garden, and explored the conditions to be a 'public' roof top garden.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indicators were derived for analysis framework; physical aspects- accessibility, locality, openness, comfortness, and non-physical aspects- subjectivity, cooperativeness, and a sense of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penness and locality scores were the highest, and comfortness scored the lowest, in ensuring the publicness of Mullae roof top garden. Second, non-physical indicators had stronger effect than physical indicators on rooftop garden users' awareness on publicness and building a garden community. In conclusion, in order to vitalize roof top garden, users should be engaged from the very first planning stage of building a garden, opening hours should not be limited, and more importance should be put on users to subjectively manage the operation of rooftop garden than merely creating a physical environment.

사용자 중심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 계획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s Space planning and Characteristics for the User-oriented Publicness)

  • 김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52-60
    • /
    • 2013
  • The contemporary concept of publicness is re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temporary publicness. Contemporary perception of public space has now branched and grown into a multitude of non-traditional sites with a variety of programs in mind. In this study, the aim is to discuss how contemporary public library has been evolved as public space and how to create User-centered interaction.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the Public Libraries have showed the expected effects because they have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plan. Also, these libraries are placed with each facility, not distributed separately. It promotes the accumulation of profit on the space and Increases the efficiency. They support more effectively users' activities through the linkages between each facility and create the active interaction between users. Formation of the various interactions and synergies between space had been induced. Publicity means that the state will relate a combination of a number of specific public area. In addition, open space, public place, shall be directed to: This place as one of the users in order to have meaning, must be equipped with the facilities and space to communicate and understand the local role. Method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the concept and role of the users with the concept of modern publicity, to examine the concept of multi-complexity of public libraries for the user-oriented publicness, to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s in the public libraries that appear in the advanced countries, to examine how to affect these characteristics in the public libraries,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and the various application methods on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space. In the end, the public librari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publicity, support program complexity such as education and culture, welfare facilities, and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the 21st century, these complex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in public libraries. These spaces can be an alternative to be kept comfortable in a more vibrant area, and can affect the social, natur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objects and relationships, as well as expand.

공공의료기관의 경영성과와 공공성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Performance and Publicness of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 양종현;박안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249-255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의료기관의 경영성과와 공공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2015-2017년의 13개 국립대병원의 결산서와 연보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공익성지수는 의료수익순이익율, 의료수익의료이익율에 유의한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의료사회사업비는 의료수익경상이익율, 의료수익순이익율에 유의한 양(+)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립대학교병원은 지역에 따라 의료수익경상이익율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인 국립대학교병원이 의료의 공공성 분야에서 민간의료기관 대비 어떤 차별화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지 객관적인 평가와 총체적 점검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립대학교병원의 설립 목적에 맞는 역할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지방의료원의 환경요인에 따른 공공성지표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Publicness Indices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 최요한;김영훈;한휘종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7-83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publicness indic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management for regional public hospitals. The data of the 34 regional public hospitals from 2016 was used for the analysi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medical safety net func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regional public hospitals with a larger location, a larger number of hospitals in a unit area, a larger number of nurses per 100 beds, and the lower management fee ratio.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unmet healthcare need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regional public hospitals with a larger number of hospitals in a unit area, and a larger number of beds.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hospital-specialized servic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regional public hospitals with a larger location, a higher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local government, a larger number of hospitals in a unit area, a larger number of beds, and a larger number of nurses per 100 beds.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appropriate number of nurses for each regional public hospital to maximize publicness by provid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medical services, but not to incur unnecessary labor costs.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profitability, which can be a means of strengthening publicness, by identifying the minimum administrative expense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and reducing unnecessary administrative expens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appropriate number of beds to meet the needs of the customers and to create maximum prof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