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ctors of Operational Publicness of Child Care Centers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Received : 2014.02.16
  • Accepted : 2014.06.19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ublicness by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s, and factors related to publicness in the operation of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1 childcare center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F-test, Duncan's post hoc test, and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First, Among childcare centers, Public childcare centers were high in universality, transparency and participation. But family daycare homes and private centers were low in universality, transparency, participation, and openness. Second, public childcare centers, family daycare homes, private childcare centers, major city and medium-sized cities affected universality in the operation of childcare centers. Public childcare centers, social welfare foundation childcare centers, family daycare homes,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proportion of capacity affected transparency in the operation of childcare centers. Public childcare centers, family daycare homes,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proportion of capacity affected participation in the operation of childcare centers. Government able to accomplish publicness in the operation of childcare centers if it would strengthen management process and expanded financial for childcare centers.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유형별 공공성 수준 차이를 살펴보고,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집 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 구성요소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어린이집 유형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총 511개소로, 국공립어린이집 108개소, 법인어린이집 110개소, 민간어린이집 101개소, 가정어린이집 80개소, 공공형어린이집 121개소이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F검증, Duncan 사후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공립어린이집이 보편성, 참여성, 투명성이 가장 높고, 공공형어린이집은 공개성이 가장 높았다. 반면에 민간과 가정 어린이집은 모든 공공성 구성요소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 구성요소, 즉 보편성은 국공립어린이집과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소재할수록 높았고, 공개성은 반대로 법인, 민간, 가정 어린이집일수록 낮았으며, 투명성과 참여성은 국공립과 법인 어린이이며, 정원충족률이 높을수록 높았다. 어린이집에 대한 지원 확대와 이에 대한 정부의 관리감독이 수반되며, 어린이집 운영의 공공성 확보를 이룰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국어원(2014). 표준국어대사전.
  2. 국무조정실(2013).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3. 김종해(2005). 보육서비스의 공공성 확대 전망과 한계.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대회지. 2005(3). 201-215.
  4. 나병현(2002). 공교육의 의미와 교육의 공공성 문제. 한국교육개발원.
  5. 문혁준, 김정희, 김혜연, 서기남, 이성복, 정다운(2012). 어린이집 운영관리. 서울: 창지사.
  6. 백선희(2011). 보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백완기(2007).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 윤수재.이민호.채종헌 편저, 새로운 시대의 공공성 연구, 서울: 법문사.
  8. 보건복지부(1991, 2013). 보육통계.
  9. 보건복지부(2014a). 공공형어린이집 매뉴얼.
  10. 보건복지부(2014b). 보육사업안내.
  11.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12).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12. 서문희, 신나리, 유은영(2007).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및 기능 강화 방안. 여성가족부.육아정책개발센터.
  13. 서문희, 양미선, 권미경, 김혜진, 이미화, 이완정(2011). 보육서비스 품질제고 방안-취약보육과 보육교사 인력 활용을 중심으로-.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14. 서문희, 양미선, 이미화, 김혜진(2012). 어린이집 인건비 지원의 합리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15. 서문희, 양미선, 이영미, 박형진, 김희정(2013). 보육의 질 제고를 위한 보육비용 산정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16. 서문희, 양미선, 이정원, 김온기, 원종욱, 송신영(2013). 어린이집의 질 제고를 위한 평가인증 중장기 개편방안.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17. 양미선, 박진아, 손창균, 임지희(2013).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추정연구. 육아정책연구소.
  18. 양미선, 임지희(2012). 국공립어린이집 설치.운영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19. 양미선, 정주영, 임지희(2013). 어린이집 및 유치원 운영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 여성가족부(2005). 보육사업안내.
  21. 오영호, 지영건, 박은미, 안혁근, 이종한, 김대중, 이난희, 천재영, 오광호(2012). 비영리 법인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년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유승현(2011). 보육지원사업의 추진실태 분석. 감사원 감사연구원.
  23. 유희정, 김은설, 유은영(2006). 육아지원기관의 공공성 제고 방안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24. 이순형, 이성옥, 권기남, 김지현, 김진욱, 김정민, 민미희, 정현심, 김유미, 김여정, 김민경(2012). 어린이집 운영관리. 서울: 양서원.
  25. 이승훈(2010). 계급의 공공성: 공공성 주체로서 노동계급의 가능성과 한계. 경제와 사회, 88, 12-34.
  26. 이진숙(2012). 보육아젠다를 통해 본 공공성의 동학. 보건사회연구, 32(4), 361-390.
  27. 한국보육진흥원(2013). 평가인증 통계자료.
  28. 황옥경, 송주미, 김정화, 송미령, 명준희(2005). 보육시설 운영의 공공성 및 투명성 제고 방안 연구. 여성부.
  29. Webster사전(2014). Webster사전 홈페이지(www.merriam-webster.com). 2013년 4월 20일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