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5초

예비 교사교육에서 수학사의 교육적 적용 :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Educational Application of Chosun Mathematics in Educa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최은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179-202
    • /
    • 2015
  •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 수학사를 교육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조선산학 프로그램을 설계 진행하여 예비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지식 증진 프로그램으로서 조선 산학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조선산학 프로그램은 사회 문화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의 목적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산학 발달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비롯하여 조선산학의 수학적 내용과 학교수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예비 초등교사 8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조선산학의 익숙하지 않은 맥락이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교사들의 교과내용지식을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으며, 특정 수학 주제를 가르치기 위하여 필요한 교사지식을 보완하기 위한 소재로 조선산학이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선산학과 학교수학의 연계가능성을 생각해보게 하고 연계 내용의 교수방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게 함으로써 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수학의 사회 문화적 관점을 형성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Professor-trust, Attitude in Physical Education and Class Satisfaction)

  • 이용국;최유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503-512
    • /
    • 2018
  •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체육교수신뢰와 체육교과태도 및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교육대학교 재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IBM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체육교과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과태도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예비초등교사의 체육교수신뢰는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체육교과를 지도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Class)

  • 최지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313-32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40명의 현직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교수 학습 과정 안을 개발하고 적용하며 그 결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 보고서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초등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모델링의 특징으로 '비구조화된 상황'과 '다양한 문제해결'을 도출할 수 있었으나 수학적 모델링 관점은 다소 차이가 있어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어려움은 크게 과제, 학생의 인지적 활동, 교사의 중재, 모든 학생의 참여, 교실 문화 범주로 구체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예비 초등 교사의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 지식과 관련 있는 수학 학습은 무엇인가? (What Kinds of Mathematics Learning are related to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강은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1-266
    • /
    • 2015
  • '수학 수업을 더 들을수록 더 나은 수학 교사가 될 것이다.'라는 주장은 정당하게 들린다. 하지만 대학 수준의 수학, 예를 들어, 추상 대수나 해석학 같은 수학을 듣는 것이 어느 정도 초등 수학을 잘 가르치는데 영향을 미칠까 하는 데에는 의문이 생긴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수학자가 초등 수학을 가르치도록 교육 받은 사람보다 나은 초등교사일 수 있는가? 이 논문은 대학 수준의 수학을 배우는 것과 학교 수준의 수학을 배우는 것이 예비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는 Teacher Education and Development Study in Mathematic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 전 과목을 다 가르치도록 교육받은 예비 초등 교사들이 연구의 대상이며 교사교육을 이미 다 받은 시점에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데이터 분석 결과는 예비 초등 교사들이 그들이 앞으로 가르치게 될 초등 수학을 다시 한 번 접해 볼 기회를 갖는 것이 수학 교수를 위한 내용 지식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Lesson Plans and Teaching

  • Lee, Kyeong-Hw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5권2호
    • /
    • pp.119-126
    • /
    • 2001
  • In this paper we deal with two questions: 1) How have prospective teachers reflected mathematics curriculum reform in their planning of mathematics lessons\ulcorner 2) To what extent were the pre-service teachers able to be reflective about their planning of mathematics lessons\ulcorner Form analyses of videotapes, field notes, discussions among the college students, we found four features in the prospective teacher\\`s lesson plans and their teaching.

  • PDF

미국의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Mathematical Pedagogy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the US)

  • 방정숙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87-507
    • /
    • 2011
  • 최근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관심의 증가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교사를 어떻게 교육하는가에 대한 실천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교사교육자 스스로의 반성이나 다른 동료교수의 수업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에서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교수법 강좌를 참여관찰의 방법으로 탐색한 결과를 자세히 기술하고 이로부터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강좌는 예비초등교사의 수학과 수업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전형적인 교사교육과는 다른 방법으로 수업을 구현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사교육자에게 대안적인 수학교수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이론과 실제를 접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교원양성프로그램에서 ICT활용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연구 -초등수학교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Mathematics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방정숙;김민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5
    • /
    • 2005
  • 본 연구는 초등교원양성프로그램에 있는 예비교사들이 수학과에서의 전반적인 ICT활용 교육을 이해하고 수업설계 부분을 강화한 ICT활용 교수 학습과정안을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경험을 통하여 교수 학습과정안 개발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ICT활용 교육에 관한 전문성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충북 H 대학과 서울 E 대학의 초등예비교사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필수과목인 초등수학교육방법에 관한 강좌에서 수학과 수업 모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학교과에서의 ICT활용사례를 분석하고, 기존의 과정안에 관한 비평 능력을 키우며 체계적으로 초등수학 5학년과 6학년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나타난 ICT활용 교육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며 연구 개발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에서의 ICT활용 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한다.

  • PDF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 관점에 대한 연구 - 예비교사들의 수업 논평 비교를 중심으로 - (Examining the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Mathematics Class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the Comments on the Mathematics Class -)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279-296
    • /
    • 2008
  • 본 연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이수 기간이 서로 다른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 논평을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관점을 비교하고 그 특징을 확인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에서 수학교육을 심화로 전공하고 있는 3학년 예비교사들과 4학년 예비교사들에게 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수업을 관찰하면서 수업 논평문을 작성하도록 한 후, 그 수업 논평문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수업 관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4학년 예비교사들은 여러 수학교육 이론을 적용하여 수업을 논평한다는 점에서 3학년 예비교사들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4학년 예비교사들은 3학년 예비교사들에 비해 더욱 엄격한 기준으로, 그리고 더욱 심층적으로 수업을 논평하였다. 한편, 4학년 예비교사들이 여러 수학교육 이론을 적용하여 수업을 논평할 때, 일부 이론에 대해서는 그 이론이 지향하는 본질의 범위를 과도하게 확장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경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수학창의성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Mathematical Creativity)

  • 이혜숙;민선희;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4호
    • /
    • pp.337-34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conception on creativity carried out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As results, first, most of teachers replied di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new creation as gener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creativity. Secondly, they showed that thinking process would be related to transfer and cognition in terms of mathematical creativity factors. Last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gender, teaching career, and age, even though most teachers expressed sympathy for need of creativity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식품 위해에 관한 서울지역 예비 초등교사들의 인식 수준 조사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Food Risk in Seoul)

  • 진대일;김정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43-64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f food risk with the goal of providing the ways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perception of food risk.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offered to 307 freshman and sophomore in an elementary teacher-cultivating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ies, cross 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ANONA with a deviation level of 5% using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Taste'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purchasing food (54.4%), and 'Manufacture date/expiration date' (67.0%) was checked first before food was purchased. The respondants viewed food additives (66.8%) followed by environmental contaminants (17.6%) as the most dangerous factors for food consumption. Even though they did not know the actual level of risk these factors posed to food, they still perceived them as dangerous. Most of them did not have any educational experiences on food risk, and if any, their sources of information were TV (46.6%) and the internet (19.5%). And, they did want to have information on food risk through TV, radio (41.1%) and the internet(16.4%).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ubjects who have great potential to influence children appeared not to have sound knowledge or a balanced perception of food risks.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prospective teachers should be provided to promote food risk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