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2초

Can Robotic Gastrectomy Surpass Laparoscopic Gastrectomy by Acquiring Long-Term Experience? A Propensity Score Analysis of a 7-Year Experience at a Single Institution

  • Hong, Sung-Soo;Son, Sang-Yong;Shin, Ho-Jung;Cui, Long-Hai;Hur, Hoon;Han, Sang-Uk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6권4호
    • /
    • pp.240-246
    • /
    • 2016
  • Purpose: It is hypothesized that robotic gastrectomy may surpass laparoscopic gastrectomy after the operators acquire long-term experience and skills in the manipulation of robotic arm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long-term learning curve of robotic distal gastrectomy (RDG) for gastric cancer compared with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LDG).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8 to December 2015, patients who underwent LDG (n=809) were matched to patients who underwent RDG (n=232) at a 1:1 ratio, by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after stratification for the operative year. The surgical outcomes, such as trends of operative time, blood loss, and complication rate,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RDG group showed a longer operative time (171.3 minutes vs. 147.6 minutes, P<0.001) but less estimated blood loss (77.6 ml vs. 116.6 ml, P<0.001). The complication rate and postoperative recovery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The RDG group showed a longer operative time and similar estimated blood loss compared with the LDG group after 5 years of experience (operative time: 159.2 minutes vs. 136.0 minutes in 2015, P=0.003; estimated blood loss: 72.9 ml vs. 78.1 ml in 2015, P=0.793). Conclusions: In terms of short-term surgical outcomes, RDG may not surpass LDG after a long-term experience with the technique.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성향점수 분석과 회귀모델을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Using Propensity Score Approaches)

  • 차선아;배수영;남상훈;홍익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3호
    • /
    • pp.61-77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2020년에 수집된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에 참여한 지역에 거주하는 4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독립변수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분류한 인지기능, 종속변수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이다. 인지기능 그룹 간 공변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성향점수 활용법 중 역확률가중치를 적용 후 인지기능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역확률가중치 적용 전의 다중회귀분석과 적용 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는 총 6,116명으로 인지정상군 4,367명, 경도 인지손상군 1,155명, 중증 인지손상군 594명으로 구성되었다. 성향점수 역확률가중치 적용 결과로 표준화된 평균 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확인하여 0.2 이상인 변수를 다시 통제하고 분석한 다중회귀모델에서 인지기능 그룹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부정적인 연관성이 있었다(정상 vs. 경도: β = -2.534, p < .0001; 정상 vs. 중증: β = -2.452, p < .0001). 결론 : 본 연구 결과에서 인지손상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음의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성향점수 활용 후 중증 인지손상보다 경도 인지손상에서 더 부정적인 연관성을 나타낸 결과는 인지손상은 저하된 정도와 관계없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지기능의 감퇴가 나타난 모든 환자들은 구강관리의 중요성과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정부보조금의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한 효과분석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R&D subsidies on private R&D expenditure)

  • 김호;김병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49-674
    • /
    • 2012
  • 본 논문의 목적은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위하여 정부보조금을 지급하는 R&D 정책의 정당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직접보조금을 수혜하는 기업들의 특성과 보조금의 정책적인 효과가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부보조금을 지원하는 단계와 정부보조금을 지원 받은 기업들의 연구개발투자를 결정하는 단계로 구분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에 이용된 기초자료는 2008년도 한국의 기술혁신조사(제조업, KIS2008) 자료이며 Nice 신용평가정보 KIS Value의 재무자료 및 연구개발활동조사의 연구개발투자비를 통합하여 구성한 자료이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보조금을 지원받은 기업의 주요 특성은 기업의 혁신역량, 재무적 특성, 기업이 속한 산업분야에 따라 정부보조금 수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정부보조금의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한 평균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을 때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보완효과가 일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의 투자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부보조금의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한 효과가 산업별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정부보조금에 대한 민간연구개발투자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 PDF

스타트업 대상 정부 R&D 지원금의 벤처 투자 유도 효과 (The Signaling Effect of Government R&D Subsidies on Inducing Venture Capital Funding)

  • 홍슬기;배성주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39-5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시그널링 이론을 기반으로 스타트업이 정부 R&D 지원금을 받았을 때 벤처 투자를 유치하게될 가능성이 높아지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벤처캐피털 투자자들의 투자 의사결정 과정과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을 선행연구를 통해 이해하였다. 정부 지원금의 시그널 효과와 정부 R&D 지원금의 민간자금 투자 유도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정부 R&D 지원이 스타트업의 벤처투자를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밝혔다. 그리고 정부 R&D 지원이 실제 벤처투자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2021년 벤처기업으로 인증받은 업력 7년 이하의 스타트업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부 R&D 지원과 벤처투자에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제거하고 정부 R&D 지원이 벤처투자 유도에 미치는 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법과 이중차분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창업 후 정부 R&D 지원금을 많이 받은 기업일수록 벤처 투자를 유치할 확률이 높아지며, 최초 정부 R&D 과제를 수행한 뒤 2년이 지난 시점부터 정부 R&D 지원의 벤처투자 유도 효과가 발생해 최초 과제수행 후 3년이 지난 시점까지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정부 R&D 사업이 벤처투자 생태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하는 정부 R&D 사업 기획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규 자금 조달이 필요한 스타트업에도 전략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벤처창업기업의 상표와 비즈니스 전략간 연관성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ing and Business Strategies of Korean Start-ups)

  • 김혁준;한유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9권2호
    • /
    • pp.27-43
    • /
    • 2024
  • 최근 제품과 서비스를 보호하고 차별화하기 위한 기업 경쟁력의 핵심 자원으로서 상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은 자사의 핵심가치가 투영된 브랜드 관리와 점차 빈발하고 있는 상표권 분쟁 대응을 위해 상표권 확보에 매진하고 있고, 창업기업과 개인은 안정적 사업 영위와 투자금 유치를 위해 상표권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는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와 비즈니스 전략간 연관성 규명을 위한 실증분석을 실시한다. 분석데이터는 2021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중 2,230개의 법인기업 응답데이터가 활용되었고, 분석방법으로는 성향점수매칭법, 구조방정식모형분석, 이항로짓분석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 보유는 비즈니스 전략의 수준 측면에서 큰 차이를 만들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국내 벤처창업기업의 상표는 주로 내부역량화 과정을 통해서만 비즈니스 전략을 고도화하는 반면 외부역량화 과정을 통한 비즈니스 전략 고도화는 매우 미미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벤처창업기업의 비즈니스 전략 수준 중 원가우위전략 수준이 상표 보유성향을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원가우위수준의 완성도가 높아 지면 높아질수록 상표보유를 통해 제품·서비스의 안정적 판매·공급을 위해, 그리고 향후 고부가가치화로 전환하기 위해 상표보유를 확대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사교육 경험과 EBS 방송 시청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and EBS Engagement on Mathematics Achievement)

  • 홍순상;홍윤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23-151
    • /
    • 2016
  • 본 연구는 사교육과 그의 대안으로 제시된 EBS 방송의 시청이 수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양한 양적 방법론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경향점수매칭법을 활용한 결합표집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t-test나 다중회귀분석이 준실험설계에 해당하는 경향점수매칭에 비해 두 제도 간 효과의 차이를 양의 방향으로 편향되게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EBS 방송시청의 수학학업성취도에 대한 효과가 가설의 방향과 반대로 도출되었으며, EBS를 공교육의 개선방안의 캐치프라이즈로 삼기보다는 공교육의 근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보완하는 형태로 제도를 운영해야 함을 주장한다.

중환자실 환자의 입실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집락의 위험요인과 임상적 결과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for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Colonization on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 변숙진;강지연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87-29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colonization rate in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ssociated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for VRE colonization. Methods: Of the 7,703 patients admitted to the ICUs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0, medical records of 554 VRE colonized and 503 uncolonized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o analyzed the impact of colonization on patients' clinical outcomes, 199 VRE colonized patients were matched with 199 uncolonized patients using a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567 (7.2%) of the 7,703 patients were colonized with VRE.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the following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VRE colonization: use of antibiotics (odds ratio [OR]=3.33), having bedsores (OR=2.92), having invasive devices (OR=2.29),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o-colonization (OR=1.84), and previous hospitalization (OR=1.74). VRE colonized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infectious diseases than uncolonized patients. VRE colonization was associated with prolonged hospitalization and higher mortality. Conclusion: Strict infection control program including preemptive isolation for high-risk group may be helpful.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e surveillance program on the incidence of colonization or infection with VRE in the ICU.

간호사의 교대근무유형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 피로, 업무오류건수 비교 (Comparison of Work-Life Balance, Fatigue and Work Errors between 8-Hour Shift Nurses and 12-Hour Shift Nurses in Hospital General Wards)

  • 신연희;최은영;김은희;김연금;임영숙;서상순;김경순;김영중
    • 임상간호연구
    • /
    • 제24권2호
    • /
    • pp.170-177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iveness of 12-hour shifts for nurses compared to 8-hour shifts for the variables: Work-Life Balance, fatigue and work errors. Methods: In 2014, an opportunity to choose a 12-hour shift duty was given to a group of 8-hour shift nurses. In 2016, two years after this chang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two group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Data were sampled by a matching method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he participants were 128 nurses: 64 nurses on 12-hour shifts and 64 nurses on 8-hour shifts. The comparison was analyzed using $x^2$ test, t-test. Results: The nurses on 12-hour shifts showed higher scores for Work-Life Balance (3.37) than the groups on 8-hour shifts (2.99)(p=.018) whereas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r fatigue (p=.132) or work errors (p=.703). Conclusion: The Work-Life Balance scores for nurses who chose the 12-hour shift shows an enhancement without an increase in fatigue or work errors.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활용한 파킨슨병과 관련된 코호트 연구 디자인 분석 및 향후 한의중재 관련 파킨슨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위한 제언 (Current Research Statu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Studies in Korea Related to Parkinson's Disease and Future Research Proposals for Integrative Therapies)

  • 황예채;임정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87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cohort studies related to complications of Parkinson's Disease (PD) and suggest the design of Korean medical epidemiological studies of PD. Methods : Nationwide longitudinal studies of PD patient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through Pubmed and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We selected cohort studies that u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in Korea and targeted Parkinson's disease patients. Studies published before February 2024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study designs. We examined variables and covariates, enroll dates and matching methods. Results : Of a total of 536 studies, 18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ll studies u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Research Database and among them, 5 used sample data and one senior database. Stud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11 cohort studies were comparing PD patients and non-PD patients. Another type was 4 PD patients cohort studies. Most studies used two diagnostic codes (G20 and V124) for inclusion criteria. Enroll periods were from 2002 to 2017, and follow-up periods were from 7 to 14 years. 16 studies considered age and sex as covariates. 15 studies use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to increase the level of causality. There was only one study related to the Korean medical treatment. Conclusion : In future cohort studies on Korean medical treatment, more attempts should be made to reveal the effect of the treatments on PD patients by defining inclusion criteria for patient groups, covariates, exposure variables, and assessment indicators more operatively.

Circulating Tumor Cell Number Is Associated with Primary Tumor Volume in Patients with Lung Adenocarcinoma

  • Kang, Byung Ju;Ra, Seung Won;Lee, Kyusang;Lim, Soyeoun;Son, So Hee;Ahn, Jong-Joon;Kim, Byung Chul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3권1호
    • /
    • pp.61-70
    • /
    • 2020
  • Background: Circulating tumor cells (CTCs) are frequently detected in patients with advanced-stage malignant tumors and could act as a predictor of poor prognosis. However, there is a paucity of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TC number and primary tumor volume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Therefore, our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TC number and primary tumor volume in patients with lung adenocarcinoma. Methods: We collected blood samples from 21 patients with treatment-naive lung adenocarcinoma and 73 healthy individuals. To count CTCs, we used a CTC enrichment method based on fluid-assisted separation technology. We compared CTC numbers between lung adenocarcinoma patients and healthy individual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perform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TC number and primary tumor volume in lung adenocarcinoma patients. Results: CTC positivity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lung adenocarcinoma patients than in healthy individuals (p<0.001). The median primary tumor volume in CTC-negative and CTC-positive patients was 10.0 ㎤ and 64.8 ㎤, respectivel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CTCs correlated with primary tumor volume in lung adenocarcinoma patients (β=0.903, p=0.002). Further subgroup analysi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CTC number and primary tumor volume in patients with distant (p=0.024) and extra-thoracic (p=0.033) metastasis (not in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CTC numbers may be associated with primary tumor volume in lung adenocarcinomas patients, especially in those with distant metast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