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and EBS Engagement on Mathematics Achievement

사교육 경험과 EBS 방송 시청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 Received : 2016.02.01
  • Accepted : 2016.06.14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isting studies about the effect on private tutoring and EBS broadcasting which is considered as the alternative which was presented by education authorities. And this study attempts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and EBS engagement on mathematics achievement using various quantitative methodologies. T-test and OLS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some selection-bias which has positive direction compared to the PSM method closed to experimental design. So, it will be required to consider the methodology which measures the exact effect of institution or participation when we conduct the observational studies.

본 연구는 사교육과 그의 대안으로 제시된 EBS 방송의 시청이 수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양한 양적 방법론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경향점수매칭법을 활용한 결합표집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t-test나 다중회귀분석이 준실험설계에 해당하는 경향점수매칭에 비해 두 제도 간 효과의 차이를 양의 방향으로 편향되게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EBS 방송시청의 수학학업성취도에 대한 효과가 가설의 방향과 반대로 도출되었으며, EBS를 공교육의 개선방안의 캐치프라이즈로 삼기보다는 공교육의 근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보완하는 형태로 제도를 운영해야 함을 주장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진.황정원 (2010). 학교책무성 체제에서 학업성취도에 기초한 학교성과지표는 중등학교 학교평가 지표로서 적합한가? : 학교효과 이론에 의한 타당도 검증, 교육학연구, 48(1), 23-52.
  2. 강창희, 이삼호 (2010). 사교육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및 정책 제언. 한국교육개발원.
  3. 교육부 (2013). 학생학부모 부담 완화와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
  4. 길혜지.김혜숙 (2015). EBS 수능강의 수강과 사교육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 수능 상위권 학생들을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63(1), 67-90.
  5. 김대석.조호제 (2013).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6(2), 1-24.
  6. 김동욱, 김현철, 윤유진 (2014). 2014 사교육비 및 의식조사. 성균관대학교 사교육정책중점 연구소.
  7. 김미숙 외 (2007). 사교육 의존도 완화방안 연구. 대통령 자문 교육혁신위원회.
  8. 김소영.김진한 (2011). 학교 특성이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49(4), 205-229.
  9. 김양분, 임현정, 신혜숙, 남궁지영, 양수경, 김위정, 이재경 (2011). 데이터 기반 교육정책 분석 연구 공교육 내실화에 기반한 사교육비 경감 정책 효과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1-24.
  10. 김영철 (1997). 과외와 사교육비. 교육재정경제연구, 6(3). 1-36.
  11. 김은정 (2007).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 부모-자녀 관계 그리고 청소년 자녀의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부모-자녀 관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1(5), 134-162
  12. 김진영 (2011). 사교육 의존도의 심화와 교육기회 불균등문제 극복을 위한 정책과제. 응용경제, 13(2), 191-239.
  13. 김현철, 이철원, 오헌석, 오범호 (2007). 방과후학교 및 EBS 수능방송의 정책효과 분석.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14. 남궁지영, 김위정, 김양분 (2012).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 1-3주기 초.중.고등학교종합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2-23.
  15. 남궁지영.김위정 (2014).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급별 특성 비교 분석, 교육평가연구, 27(1), 231-254.
  16. 노은환, 강정기, 노문기 (2013). 게임 이론을 이용한 사교육 현상에 대한 이론적 접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771-796.
  17. 박소영 (2008). 방과후학교와 EBS 수능강의의 사교육비 경감 효과. 교육행정연구, 26(1), 391-411.
  18. 박현정 (2010).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와 수학 성취도 및 수학 수업이해도간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교육평가연구, 23(4), 887-907.
  19. 박현정, 정동욱 (2012). 방과후학교 및 EBS효과 분석. 서울교육종단연구 정책연구과제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 박현정 길혜지 (2013). EBS 수능강의 수강이 교육격차 감소와 학교수업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분석. 교육평가연구, 26(5), 1115-1141.
  21. 백순근, 길혜지, 윤지윤 (2010). EBS강의 수강 시간이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 국어, 수학, 영어 교과별 비교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1(4), 223-247.
  22. 백순근, 길혜지, 김혜연 (2011). 경향점수를 이용한 EBS 수학강의 효과 분석 :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2(4), 249-270.
  23. 백순근, 길혜지, 홍미애 (2013). EBS 강의가 고등학생의 교과별 사교육비와 영역별 수능성적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4(1), 137-162.
  24. 송승연, 황우형 (2008). EBS 수능강의 이용 실태 및 사교육 격감에 미친 영향: 수리영역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 1(1), 95-115.
  25. 송해덕, 강태훈, 김규식, 이영주, 김미림(2011). 서울 초.중.고등학교 이러닝 및 ICT 활용교육 효과분석. 서교연 2011-10. 서울교육종단연구 정책연구과제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6. 윤유진 (2015). 경향점수매칭 분석방법을 통한 사교육, 방과후학교, EBS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이광현, 권용재 (2011). 사교육비와 사교육시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분위회귀분석을 이용한 접근, 교육재정경제연구, 20(3), 99-133.
  28. 이수정 (2007). 명문대 중심 대입관과 사교육비 지출 간의 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4). 455-484.
  29. 이수정, 임현정 (2009).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사교육비 효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8(1), 141-166.
  30. 이찬영 (2008). 사교육투자의 효율성 분석 : 고3의 사교육투자를 중심으로.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31. 이현철 (2010). 수학.과학 학업성취도 결정요인 종단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4(1), 1-11.
  32. 임선아 (2011). 부모와 학생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25(4), 811-833.
  33. 임종헌, 김병찬 (2014). EBS 수능연계정책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학연구, 52(3), 175-203.
  34. 임현정, 김양분, 신혜숙, 신종호, 이광현(2011).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III): 초등학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1-22.
  35. 임현정, 김양분 (2012). EBS-수능강의의 사교육비 경감 효과 분석 : EBS-수능연계 전후의 패널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재정경제연구, 21(4). 155-177.
  36. 전인식, 나일주, 이영준, 한건우, 정영식, 정경아, 김영직 (2006).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EBS 수능강의의 2주년 성과와 발전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방송공사.
  37. 정혜경 (2012). 비실험 연구에서 인과효과 추정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교육학연구, 50(3), 29-50.
  38. 채재은, 임천순, 우명숙 (2009). 방과 후 학교와 수능강의가 사교육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18(3). 37-62.
  39. 채창균(2007). EBS 수능강의 참여 실태와 효과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10(3), 25-44.
  40. 최상근, 김양분, 유한구, 김현진, 이희숙 (2003).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1. 한상만, 조순옥, 이희수 (2011). EBS 수능강의의 사교육비 경감효과 인과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29(1), 171-191.
  42. 홍순상, 이덕호 (2015). 수준별 이동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1), 149-167.
  43. Ainsworth, J. W. (2002). Why does it take a village? The mediation of neighborhood effects on educational achievement, Social Forces, 81(1), 117-152. https://doi.org/10.1353/sof.2002.0038
  44. Alexander, L., & Simons, J. (1975). The Determinants of School Achiev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World Bank Staff Working Paper.
  45. Blau, P. M. & Duncan, O. D. (1967). The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New York : John Wiley and Sons.
  46. Coleman, J. S. et al.(196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 W.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47. Coleman, J. S. et al (1982). Achievement and Segregation In Secondary Schools: A Further Look At Public And Private School Differences, Sociology of Education, 53, 162-182.
  48. Finn, J. D. & Rock, D. A. (1997). Academic success among students at risk for school failur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2), 79-92. https://doi.org/10.3200/JOER.98.2.79-93
  49. Guay, F., Larose, S., & Boivin, M. (2004). Academic self-concept and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 A ten-year longitudinal year, Self and Identity, 3, 53-68. https://doi.org/10.1080/13576500342000040
  50. Hoffer et al. (1985). Achievement Growth In Public And Catholic Schools, Sociology of Education, 58, 74-97. https://doi.org/10.2307/2112249
  51. Hoy & Miskel (2005).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7th ed. The McGraw-Hill.
  52. Marsh, H. W. & Yeung, A. S. (1997). Causal effects of academic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longitudinal data,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9(1). 41-54. https://doi.org/10.1037/0022-0663.89.1.41
  53. McDill & Nariello (1986). Performance Standards, Student Effort On Homework, And Achievement, Sociology of Education, 59, 18-31. https://doi.org/10.2307/2112483
  54. Ostrom, E., Gardner, R. and Walker, J. (1994). Rules, Games, and Common-pool Resourc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5. Stuart E.A. (2007). Estimating causal effects using school-level data sets, Educational Researcher, 36(4), 187-198. https://doi.org/10.3102/0013189X07303396
  56. Vroom, V. H. (1964). Work and motivation. New York : Wiley. Carnegie Institute of Technology, Pittsburgh. PA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