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cy risk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9초

딥러닝을 이용한 온라인 리뷰 기반 다속성별 추천 모형 개발 (Developing the online reviews based recommender models for multi-attributes using deep learning)

  • 이륜경;정남호;홍태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1호
    • /
    • pp.97-11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economic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who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notwithstanding the concern about an invasion of privacy based on the Information Privacy Calculus Theory and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computation theory of information privacy with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management theory of communication privacy on the basis of the Dual-Process Theory.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ivacy Concern about forms through the Perceived Privacy Risk derived from the Disposition to value Privac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involved in personal information offering occurs due to the Perceived Benefits contradicting the Privacy Concern.

B2C 물류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위험, 프라이버시 신뢰, 프라이버시 우려, 정보보호정책 준수의지에 대한 실증연구: 인지밸런스이론 접근 (An Empirical Study of B2C Logistics Services Users' Privacy Risk, Privacy Trust, Privacy Concern, and Willingness to Comply with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Cognitive Valence Theory Approach)

  • 임세헌;김단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01-120
    • /
    • 2020
  • 본 연구는 B2C 물류서비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심리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밸런스이론을 이용해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고, 이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물류보안지식, 프라이버시 신뢰, 프라이버시 위험, 프라이버시 우려,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컴플라이언스 행동의지에 대한 연구모델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B2C 물류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151부의 유효한 응답을 획득하였고, 구조방정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물류보안지식은 프라이버시 신뢰와 위험에 영향을 미쳤고, 프라이버시 신뢰는 컴플라이언스 행동의지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물류보안지식은 컴플라이언스 행동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물류서비스에서 정보보안과 프라이버시 보호가 중시되는 현 시점에서 연구자들에게 물류보안 연구를 위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고, 실무자들에게는 보다 안전한 물류서비스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의 경제적 행동에 관한 연구: Privacy Calculus, CPM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net User's Economic Behavior of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cused on the Privacy Calculus, CPM Theory)

  • 김진성;김종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1호
    • /
    • pp.93-12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economic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who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notwithstanding the concern about an invasion of privacy based on the Information Privacy Calculus Theory and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computation theory of information privacy with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management theory of communication privacy on the basis of the Dual-Process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did empirical analysis of the path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dividing Internet users into a group having experience in personal information spill and another group having no experience.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ivacy Concern about forms through the Perceived Privacy Risk derived from the Disposition to value Privac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involved in personal information offering occurs due to the Perceived Benefits contradicting the Privacy Concern.

An Empirical Study on Behavior and Psychology Concerning Invoice Disposal in the Context of Courier Services: A Comparative Study on Korea and the U.S.

  • Se Hun Li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8권2호
    • /
    • pp.133-153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responses to privacy concerns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disposition toward invoices of courier service users. To this end, we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by combining stimulus response theory,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we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influence, privacy propensity, privacy control, privacy risk, privacy concern, invoice disposition intention, and invoice disposition behavior in the context of courier services. To test our hypotheses, we survey courier service users in the U.S. and Korea.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ous factors for the courier service users of the two countries. Results have distinct implications for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disposal of courier invoices and enabl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courier service customers of the two countries.

사물인터넷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 in the IoT Era)

  • 박천웅;김준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65-72
    • /
    • 2016
  •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새로운 IT 환경시대가 도래한 지금 우리는 법 테두리 안에서 개인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다양한 정보와 결합하여 개인 식별이 가능한 시대에 살고 있다. 이로 인하여, 개인정보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2차 피해로 발전 될 수 있다. 특히, IoT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에는 단기간에는 개인을 식별할 수 없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개인을 인식 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IoT 시대에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염려를 낮추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도출하여 실제로 개인정보 제공의도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보 프라이버시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영향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프라이버시 위험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가장 큰 설명력을 보였으며, 정보 프라이버시 정책, 정보 통제 그리고 침해 경험 순으로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를 낮추는 정책이나 제도개선 및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면 개인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온라인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 (Privacy Behavioral Intention in Online Environment: Based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 김종기;김상희
    • 정보화정책
    • /
    • 제20권3호
    • /
    • pp.63-85
    • /
    • 2013
  • 온라인 환경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빈번히 일어남에 따라 온라인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문제가 중요해지고 있다.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경험한 온라인 사용자는 자신의 프라이버시에 대해 위협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기존의 인식이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환경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호동기이론을 기반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보호동기이론은 위협소구에 의한 보호행동의 변화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적인 이론으로, 위협과 효능감이라는 개인의 인지적 평가에 의해 보호동기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프라이버시 행동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때 인지적 매개과정에서 보호동기요인을 개인의 프라이버시 태도 및 신념을 나타내는 프라이버시 신뢰와 프라이버시 위험으로 설정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함으로써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보호동기요인과 선행요인인 위협 및 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효능감과 프라이버시 위험 간의 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보호동기요인과 결과요인인 프라이버시 행동의도의 관계에서는 프라이버시 위험과 프라이버시 행동의도 간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프라이버시 신뢰와 프라이버시 행동의도 간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인터넷 위험지각 집단의 의복추구혜택, 인터넷 쇼핑태도 및 구매의도 (The internet perceived risk segments: clothing benefits sought, internet shopping attitude, and internet purchase intention)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46-75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net perceived risk segments in regard to clothing benefits sought, internet shopping attitude, and internet purchase intention. The subjects used for the study were 210 male and 338 female college students. The internet perceived risk consisted of size/defect risk, social psychological risk, privacy risk, delivery risk, and price risk. The clothing benefits sought had impression improvement, fashion, individuality, figure flaws compensation, and comfort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ere segmented by four groups based on internet perceived risk factors : 1) privacy risk group, 2) size risk group. 3) low risk group, and 4) price/social psychological risk group. The four segmented groups differed in regard to clothing benefits sought, internet shopping attitude, and internet purchase intention. For example, in regard to clothing benefits sought, the price/social Psychological risk group sought fashion more than other groups. The low risk group considered figure flaws compensation benefit less important than other groups. Concerning internet shopping attitude, the low risk group had more favorable altitude toward trust, safety, diversity, exchange/return attributes of internet shopping than other groups. The privacy risk group ha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convenience and price attributes of internet shopping. Regarding internet purchase intention, the low risk group had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formal, casual, and sportswear. The size risk group had higher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accessories. Further group differenc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정보공개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노출 위험의 측정에 대한 통계적 방법 (Review on statistical methods for protecting privacy and measuring risk of disclosure when releasing information for public use)

  • 이용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5호
    • /
    • pp.1029-1041
    • /
    • 2013
  • 최근 빅데이터의 등장과 정보 공개에 대한 급격한 수요 증가에 따라 자료를 일반에게 공개할 때 개인 정보를 보호해야 하는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 자료와 통계분석 서버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제시된 개인정보 노출제한를 위한 통계적 방법, 정보 노출의 개념, 노출 위험을 측정하는 기준들을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웹사이트의 구조를 고려한 개인정보 노출 위험도 계산 기법 (A Method for Calculating Exposure Risks of Privacy Information based on Website Structures)

  • 이수경;손진식;김관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가 웹사이트에 노출될 시 위험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는 웹사이트 구조기반의 개인정보 노출 위험도 모델을 정의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한다. 첫 번째는 개인정보가 노출되었을 경우 얼마나 민감한 정보인가에 따라 위험수준을 정의한다. 두 번째는 개인정보의 실제 노출 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웹페이지의 예상 방문 확률을 계산하여 어느 웹페이지에 노출된 개인정보가 더 위험한지 판별한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교, 은행, 중앙 행정 기관, 시 도 교육청 4개의 분류를 선정하여 웹사이트 위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은행은 다른 분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관리되고 있었으며 시 도 교육청, 중앙행정 기관, 대학교의 경우 웹사이트 위험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개인정보 노출 문제의 완화를 위한 우선순위 기반 대처방안 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n Social Log-in Service

  • Kim, Yujin;Lee, Hyung-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93-200
    • /
    • 2022
  • 본 연구는 소셜로그인 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염려를 유발하는 원인 및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주인-대리인 이론을 바탕으로 지각된 정보 비대칭성, 서비스 제공자의 기회주의 우려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 모델을 적용하여 프라이버시 염려와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각된 정보 비대칭성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서비스 제공자의 기회주의 우려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지각된 위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에 따라 소셜로그인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잠재적 손실보다 기대되는 이익이 클수록 사용의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로그인 서비스 기업들이 고객의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대해 이해하고 서비스를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