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atives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3초

고수(Coriandrum sativum L.)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Coriandoer (Coriandrum sativum L.) Extract)

  • 김용두;강성구;최옥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92-696
    • /
    • 2001
  • 천연 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항균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 되는 고수를 대상으로 물과 에탄올로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효모 및 젖산균 등 10균주에 대하여 항균성이 있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항균성이 강한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성 물질의 열안정성 pH 안정성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고수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계통분획하여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고수의 부위별 추출물 중 에탄올 추출물은 대부분의 세균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났는데,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물추출물에서는 세균, 효모 및 젖산균 등 10균주 모두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고수 잎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세균에서는 그람양성균인 B. cereus와 B. subtilis 두 균주에서 0.25mg/mL로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람음성균에서는 0.5~1.5mg/mL로 나타나 그람양성균보다는 항균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수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도 항균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 항균활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수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계통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세균의 경우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생육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추출물의 항균특성 (Antimicrobial Effect of Lithospermi radix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 박욱연;장동석;조학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7-100
    • /
    • 1992
  • 천연보존료의 개발과 식중독 예방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며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자초로부터 항균성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을 검토하고, 각종 식품부패미생물이나 식중독 원인세균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균성 물질은 95% 에탄올로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제일 양호하였다. 항균력은 $pH\;5.0{\sim}8.0$의 범위에서 나타났으나 산성영역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온교환 chro-matography결과, 음이온 획분이 양이온 획분보다 항균력이 높았다. Gram양성균에 대한 균증식 억제력이 Gram음성균에서 보다 양호하였으며, 식중독 원인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parahaemolyticus 등에 대하여는 0.1%의 첨가로도 48시간까지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곰팡이나 효모류에 대하여는 0.1%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균종에 따라 48시간 이내에 균의 증식이 나타났으나, 0.15%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거의 모든 진균류에서 96시간 까지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 PDF

검은콩의 품종에 따른 콩과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혈전용해능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y of Extracts from Soybean and Chungkukjang(Fermented Soybeans) Prepared from a Black Soybean Cultivar)

  • 주은영;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74-880
    • /
    • 2010
  • 검은콩과 검은콩 발효제품을 이용하여 천연보존료나 건강 기능성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검은콩 중 약콩과 서리태를 선정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후, 검은콩과 청국장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약콩과 약콩 청국장에 대한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16.23 mg/100 g, 896.01 mg/100 g이었으며, 서리태와 서리태 청국장에 대한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04.28 mg/100 g, 875.23 mg/100 g으로 검은콩 청국장 물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의 검은콩에 비하여 2.8배로 증가하였다. 검은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물추출물의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은 원료의 콩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검은콩과 검은콩 청국장의 물과 에탄올추출물은 모두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었으며 약콩 청국장의 물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혈전용해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검은콩에 비하여 검은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추출물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항산화능과 혈전용해능이 증가하여 청국장은 건강식품의 개발이나 정상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항산화제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끼 추출물과 절화 보존제 혼용처리가 절화장미 'Enjoy'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ss (Hypnum jutlandicum) Extracts and Mixing Treatments with Preservatives on Vase Life of Rosa hybrida 'Enjoy')

  • 박경희;신소림;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5-455
    • /
    • 2011
  • 본 연구는 이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절화장미 'Enjoy'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천연 절화수명 연장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끼 추출물중 R. hybrida 'Enjoy'의 절화수명 연장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Hypnum jutlandicum 2 $mg{\cdot}L^{-1}$에 sucrose 0, 1, 3, 5%를 첨가한 후 sucrose가 R. hybrida 'Enjoy'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sucrose를 H. jutlandicum 추출물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R. hybrida 'Enjoy'의 잎이 엽록소를 상실하여 탈색되고 위조현상이 발생하며, 오히려 절화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H. jutlandicum 추출물과 HQS를 함께 사용하는 것은 R. hybrida 'Enjoy'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HQS를 100 $mg{\cdot}L^{-1}$ 농도로 첨가했을 때 R. hybrida 'Enjoy'의 수명연장 효과가 가장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 jutlandicum 추출물 2 $mg{\cdot}L^{-1}$ 첨가구의 pH를 조절하지 않거나(pH 3.8), pH 3.0, 4.0, 5.0로 조절하여 R. hybrida 'Enjoy'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pH를 조절하지 않은 pH 3.8인 보존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R. hybrida 'Enjoy'의 수명이 오래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H. jutlandicum 추출물(2 $mg{\cdot}L^{-1}$)에 HQS(100 $mg{\cdot}L^{-1}$)를 첨가한 보존용액이 R. hybrida 'Enjoy'의 절화수명을 연장시켰으며, 이끼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환경오염의 피해가 없으며 천연 보존제로서 개발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늘즙의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작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 김명희;김소영;신원선;이준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52-755
    • /
    • 2003
  • E. coli O157:H7에 대한 마늘즙액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늘즙액의 처리량을 농도별 조건을 달리한 후 생균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마늘즙액 농도가 1%에서는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E. coli O157:H7의 생균수가 약간 줄어들었으나 마늘즙 처리량이 3%에서는 약 5 log, 마늘즙 처리량이 5%로 증가했을 때는 약 6 log의 생균수 감소를 보였다. 마늘즙의 식육내 항균작용 효과를 알아본 결과, 저육에서 3%, 6%, 10%의 마늘즙 농도별 차이에 따른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는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늘즙의 가장 뚜렷한 저해 효과는 저장 9일에 나타나 약 2 log의 생균수 감소가 관찰되었다. 저장 9일 이후에는 E. coli O157:H7의 생균수가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미루어 마늘즙의 항균 효과가 소실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실험의 결과, 마늘의 조미료로써의 기능과 더불어 천연 방부제로써의 항균효과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Ni/Au 및 OSP로 Finish 처리한 PCB 위에 스크린 프린트 방법으로 형성한 Sn-37Pb, Sn-3.5Ag 및 Sn-3.8Ag-0.7Cu 솔더 범프 계면 반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terfacial Reaction of Screen-Printed Sn-37Pb, Sn-3.5Ag and Sn-3.8Ag-0.7Cu Solder Bumps on Ni/Au and OSP finished PCB)

  • 나재웅;손호영;백경욱;김원회;허기록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2권9호
    • /
    • pp.750-760
    • /
    • 2002
  • In this study, three solders, Sn-37Pb, Sn-3.5Ag, and Sn-3.8Ag-0.7Cu were screen printed on both electroless Ni/Au and OSP metal finished micro-via PCBs (Printed Circuit Boards). The interfacial reaction between PCB metal pad finish materials and solder materials, and its effects on the solder bump joint mechanical reliability were investigated. The lead free solders formed a large amount of intermetallic compounds (IMC) than Sn-37Pb on both electroless Ni/Au and OSP (Organic Solderabilty Preservatives) finished PCBs during solder reflows because of the higher Sn content and higher reflow temperature. For OSP finish, scallop-like $Cu_{6}$ /$Sn_{5}$ and planar $Cu_3$Sn intermetallic compounds (IMC) were formed, and fracture occurred 100% within the solder regardless of reflow numbers and solder materials. Bump shear strength of lead free solders showed higher value than that of Sn-37Pb solder, because lead free solders are usually harder than eutectic Sn-37Pb solder. For Ni/Au finish, polygonal shaped $Ni_3$$Sn_4$ IMC and P-rich Ni layer were formed, and a brittle fracture at the Ni-Sn IMC layer or the interface between Ni-Sn intermetallic and P-rich Ni layer was observed after several reflows. Therefore, bump shear strength values of the Ni/Au finish a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of OSP finish. Especially, spalled IMCs at Sn-3.5Ag interface was observed after several reflow times. And, for the Sn-3.8Ag-0.7Cu solder case, the ternary Sn-Ni-Cu IMCs were observ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SP finished PCB was a better choice for solders on PCB in terms of flip chip mechanical reliability.

산수유의 용매분획별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Cornus officianalis)

  • 김용두;김황곤;김경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29-832
    • /
    • 2003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산수유를 대상으로 새로운 식품개발 및 천연 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물,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0개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 검색을 하였으며, 항균력 이 강한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계통분획하여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에탄을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성물질의 열안정성 pH등을 조사하였다. 산수유 과육과 씨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에탄을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10균주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수유의 에탄올 추출물을 핵산, 디에칠에테르, 에칠아세테이트 및 물로 용매계통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에칠아세테이트와 물층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균주별로 일반세균은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수유 과육과 씨의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세균이 0.25 mg/mL이었고, 효모와 젖산균 이 2 mg/mL이었다. 산수유의 과육 에탄을 추출물 농도의 영향은 B. subtilis는 0.25 m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균 증식이 증가되었으나 0.5 mg/mL 농도에서는 억제되었다. E. coli는 0.25 mg/mL이하의 농도에서는 배양 16시간까지 균 증식이 억제되다가 그 이후 서서히 증가되었다 산수유의 에탄을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 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도 항균활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질 전환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leucocin A항균 활성도에 대한 탄소원의 영향 (Effects of Carbon Source on Production of Leucocin A from Transformed Saccharomyces cerevisiae)

  • 이성일;박진용;정종근;이동근;이상현;하종명;하배진;이재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47-850
    • /
    • 2005
  • B. subtilis에 대한 항균 활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bacteriocin의 일종인 leucocin A로 형질전환된 효모를 배양 시간별로 채취하여 광학밀도, 총 분비 단백질량, 단백질 분해효소 그리고 향균활성을 측정했다. Sucrose > glycerol > glucose > fructose 순으로 세포 증식이 높게 확인되었고, glyceroldmf 제외한 탄소원에서 총분비 단백질은 배양 15 시간까지 증가되었다. Leucocin A의 향균활성(antibacterial activity)은 성장양상, 총 분비 단백질과 비례 하였으며 배양 15 시간에 glucose와 sucrose에서 배양한 상등액이 B. subtilis 성장을 가각 $65.5\%$, $72.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지기 이후에는 향균활성이 급속히 감소하였는데, 이는 항균활성을 보이는 leucocin A가 단백질이고, 단백질 분해효소가 정지기 이후 증가한 것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향후 식품산업뿐만 아니라 항생제 생산 사용되기 위한 산업적 기초 자료로써 이용 될 것이다.

파라벤류가 수컷 성 성숙에 미치는 시험연구 (Assessment of Pubertal Development to Parabens-induced Estrogenic Effect in Male Mice)

  • 김선중;황재웅;박정란;이성훈;이영건;정지혜;정윤혁;이수진;정지원;정지윤;이영순;강경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7-203
    • /
    • 2006
  • Parabens are most wildly used in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 products as preservatives caused of safety and cheap. we had examined that paraben had estrogenic activity through the in vivo and in vitro experiments in last year. We demonstrated that most of parabens(ethyl, butyl, propyl, isobutyl, isopropyl) increased significantly uterus weight as well as induced proliferation of MCF-7 cell and binding of estrogen receptor as endocrine disrupter compound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at whether parabens have effect on male reproductive system or not. the male rats were administrated parabens by oral injection then examined separation of preputial day for $PND23\simPND52$. As the results, most parabens delayed pubertal development compare to control group. The separation of preputial day of Butyl and Propyl parabens at high concentration were PND 44 days and PND 45days compared to control group as PND 40 days. Even though, parabens as endocrine disrupter wildly spread in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 products, we didn't have the safe guideline. In abroad, they are re-evaluating safety assessment for parabens. In conclusion, parabens delayed pubertal development in juvenile parabens are consider as endocrine disrupter chemicals.

소르빈산 칼륨의 GJIC 억제로 인한 간독성 유발 (Inhibition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by Food Preservatives Potassium Sorbate)

  • 황재웅;정지혜;정지원;정지윤;김선중;박정란;안지윤;하태열;김성란;이영순;강경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69-273
    • /
    • 2006
  • 소르빈산 칼륨은 소르빈산의 일종으로 항세균 및 곰팡이 발육 저지 효과를 갖고 있다. 이러한 성질로 인하여 소르빈산 칼륨은 곰팡이와 진균에 대한 식품 방부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소르빈산 칼륨은 많은 양에 노출되었을 때도 체내에서 수분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ap junction을 통한 세포 간 신호 전달(GJIC)는 생체의 성장과 분화에 있어서 조직의 항상성 유지에 본질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WB-F344 랫드의 정상 간 상피 세포(WB 세포)에서 소르빈산 칼륨을 노출하였을 때 GJIC에 대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소르빈산 칼륨에 노출에 의하여 WB세포의 GJIC가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현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소르빈산 칼륨은 GJIC를 강력하게 억제하며, 이는 WB 세포에서 gap junction을 구성하는 connexin 43의 인산화와 병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르빈산 칼륨이 gap junction의 기능을 방해함으로 인해 소르빈산 칼륨에 의한 간독성이 유발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