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s teacher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1초

중등 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과학교육과목의 실태 분석과 시험적 모형 연구 (A Study on Science Education Courses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Preparation)

  • 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4-81
    • /
    • 1984
  • 중등 과학교사 양상에 있어서 기초 교양 과목과 교육 일반론 및 과학 과목은 중요한 부분이지만 가장 핵심적이고 특유해야할 과목은 과학교육 관계 과목이다. 많은 경우 $2{\sim}3$학점의 한 과목을 필수로 제시되는 "물리교육", "화학교재", "생물교수법" 등의 분야별 과목이 안이하고 무의미하게 제시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직관적 판단으로부터 우선 한국의 실태를 조사하고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연구 개발의 기본적 모형을 구안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한 단계로 전국 사범대학 과학교육 관계과나 전공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법과 면담을 통해 학사 학위 및 중등 과학교사 자격을 위한 취소 이수학점 그리고 일반 및 과학 교육 관계 과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별히 과학교육관계 과목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필수 및 선택 과목 수와 학점, 대상 학생과 교수, 과목의 목표, 내용, 교육 자료와 평가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의 두 번째 범주인 과학교육 과목 담당 교수의 중등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과 과학 교육 과목에 대한 구체적 의견을 종합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태 조사와 의견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 교육 과목의 총 이수 학점에 대한 비율, 과목수와 명칭 그리고 교육 내용의 기본적 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자료개발과 실제 지도를 위한 모형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Developing an Instrument of Assess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Mathematics Teachers' PCK

  • Xu, Yanhu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23-45
    • /
    • 2020
  • Many researches proposed different models and concepts for the PCK.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its composition. Most studies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PCK and its influence on students' learning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s. We developed an instrument for assessing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mathematics teachers' PCK (SPOMTPCK)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PCK. Theoretical claims and empirical research in PCK were used to design questions and sub-scales for the SPOMTPCK. The fac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as established by the expert mathematics teachers and student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38 items on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from 799 middle school student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a three-factor scale of 17 items that was proved valid and reliable, that is, pedagogical representation, understanding students and curriculum, and encouraging students' engagement. The Cronbach α coefficients of the scale was 0.935, and the Cronbach α coefficient of three factors were ranged from 0.721 to 0.912.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questionnaire has good construct validity and the fit indexes are good. MANOVA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in mathematics teachers' PCK identified by students of different school types and grad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a validate measurement to evaluate the perceived mathematics teachers' PCK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of Digital Age Literacy: A Case Study in Indonesia

  • MUJTAHID, Iqbal Miftakhul;BERLIAN, Mery;VEBRIANTO, Rian;THAHIR, Musa;IRAWAN, Ded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1169-1179
    • /
    • 2021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instrument of feasible and reliable digital-age literacy to be used in the learning process. This needs to be done due to a different region, tribe, and gender involved in this research. The digital-age literacy developed in this research consisting of 8 constructs, including 1) basic literacy, 2) scientific skill, 3) economy skill, 4) information skill, 5) technology skill, 6) visual skill, 7) various cultures skill, and 8) global awareness. As many as 650 respondents were chosen through stratified and random sampling in this survey. Those respondents were students at Universitas Terbuka based on gender and Ethnicity comparison. To see the internal consistency,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SPSS 23.00 version for Windows. It was obtained that all questionnaire constructs were valid and reliable, proven by obtaining a high mean reliability value of Cronbach Alpha (0.816 > 0.6), in which each item had a high value (0.778-0.841). Therefore, the number obtained the results proved that this research had produced a quality instrument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students' mastery of the digital-age literacy of the learning process in Universitas Terbukain Asia, especially in Indonesia.

Environmental Ethics Policy in Jepara: Optimization of Handicraft Designs from Wood Waste in the Furniture Industry

  • Deni SETIAWAN;Arif HIDAYAT;Supriyadi SUPRIYADI;Wahyu LESTA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392-409
    • /
    • 2023
  • The amount of wood waste from furniture production is increasing. Wood waste is diverse and ranges from wood-splitting residues to leftovers from furniture production. Wood waste occurs in companies, household-based industries, and other forms of business where waste accumulates; therefore, an environmental and ethical policy is need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ducts created using wood waste and describe government regulations related to environmental policies. We analyzed the management of wood waste for use as a new product so that it is useful, does not become waste, and complies with policies related to environmental ethics. A case study design using qualitative methods was used. This research focused on managing wood waste in Jepara's furniture and crafts industry for the 2010-2021 period, using 23 sources from primary, secondary, and other supporting docum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or gathering information related to research needs, conducting closed-door interviews with research sources, documenting data to strengthen research findings, and using online questionnaires to corroborate information related to wood waste management. This article presents wood waste products designed with optimized environmental ethics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laws in wood-based industries.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의 학습내용과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예비과학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고찰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ducation by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Science' and in the Pre-Service Science Textbooks of College of Education)

  • 김남희;심규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63-37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에서 추출한 학습 내용과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재에서 추출한 교육내용을 비교하여 그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위 융합형 과학으로 불리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7종과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4개 과학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11종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재를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과학의 교육 내용과 예비과학교사 교재의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에너지와 환경' 단원은 가장 많은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고등학교 과학 교과 내용의 86.6% 정도가 사범대학 4개 분야의 교재에 소개되고 있을 뿐 나머지는 예비교사들이 스스로 공부해야 하는 부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일부 학습내용들은 그 내용 수준이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보다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게다가 또 다른 일부 학습내용들은 공학과 기술 영역에 포함되어, 이를 대비하기 위한 별도의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했을 때,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교육내용을 적정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교과를 가르칠 교사와 예비교사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과학교사들이 과학을 지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이 개편이 필요하다.

인성 중심 교수 모형에 대한 이해와 실천이 예비 중등 과학교사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s of Character-centered Instruction Model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wareness of Character Education)

  • 박지훈;강유진;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279-295
    • /
    • 2021
  • 이 연구는 인성 중심 교수 모형의 적용이 예비 과학교사의 인성 교육과 과학 교과에서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예비 과학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인성 교육과 과학 교과에서의 인성 교육에 대한 사전 인식조사를 하였고, 1학기 동안의 강좌를 통해 인성 중심 교수 모형인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CoproC) 모형 및 인성 교육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이후 사후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인식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예비 과학교사의 일반적인 인성 교육에 대한 사전 인식은 대체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과학 교과에서의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인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역시도 과학 교과 자체의 특성으로 인한 역량의 개발보다는 특정 내용 및 소재와 인성 교육을 연결지어 생각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CoproC 모형에 대한 경험은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성에 대한 관점을 역량적 관점으로 변화시켰으며 이에 따라 인성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교사양성기관에서 예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성 교육 방법에 대한 교육은 인성 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켜 장기적으로 학교 현장에 효과적인 인성 교육의 정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온라인 형성평가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과 실행 사례를 통해 살펴본 교사 교육의 시사점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hroug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Cases on Online Formative Assessment)

  • 김효준;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1-514
    • /
    • 2022
  • 온라인 교수학습 환경으로의 변화에 따라 온라인 형성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교육의 기초 토대 마련을 위해 예비 과학교사 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형성평가, 형성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사항을 분석하였다. 사전 인식은 개방형 설문을 통해 얻은 응답을 오픈 코딩을 통해 범주화하여 범주별 빈도를 파악하였고, 사전 인식의 범주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실행의 모습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상태와 바람직한 활용 목표 간의 격차를 파악하고, 교사 교육에서 중점을 두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전 인식에서는 온라인 수업의 어려움으로 상호작용을 언급하고, 온라인 형성평가의 장점으로 테크놀로지의 활용 및 피드백과 수업 조정을 언급하였다. 지도안과 조별 사전 인식 과정에서는 플랫폼의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자동화된 피드백을 대부분 활용하였지만, 응답 분석 결과를 활용한 수업 조정과 상호작용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또한 온라인 형성평가의 형성적 기능에 적합하지 않은 활용 방식이 다수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예비 교사들의 형성평가 활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평가'의 측면에 치중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형성평가의 피드백을 통한 '형성적' 기능과 활용 방법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충분한 이해가 바탕이 될 때, 온라인 형성평가의 장점을 활용한 상호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형성평가의 핵심적 기능이 잘 발휘될 수 있도록 형성적 활용에 대한 역량 강화와 실질적 적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예비 교사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과학에 대한 수요자 요구조사 및 과학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식 조사 (The Investigation of the Demands about School Science and the Perception about Scientifically Specialized High School)

  • 손정우;이봉우;이기영;이창재;최재혁;전화영;한인기;한재영;홍준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2호
    • /
    • pp.165-172
    • /
    • 2009
  • 현재 7차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심화과목 선택권이 있다. 이 선택과목의 운영은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운영되어야 함에도 실제는 교사와 교실 등 학교의 여건에 따라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과학에 대한 수요자 요구 조사와 심화선택과목을 강조하는 과학특성화 고교에 대한 요구와 인식을 과학영재교육원 재학생 148명을 포함하여 중학생 336명, 고등학생 221명, 수도권 과학 교사 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설문 대상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에서 화학과 생물 심화과목은 모든 학교에서 개설되는 반면, 물리심화 과목은 37.1%에서만 개설되는 것으로 조사되어, 학생들의 심화 과목 선택권이 제한됨을 확인하였다.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실험이 강조된 수업, 더 쉬운 과학 내용을 원한 반면, 과학 진로를 선택할 영재교육원 학생들은 실험이 강조된 수업, 더 많은 과학 수업을 원해 대조를 보였다. 자연계열 지원 학생들의 경우, 과학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식이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교사 역시 과학특성화 고교 운영에 적극적으로 찬성하였다.

  • PDF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한 학부생 연구지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과학연구 수행과정의 분석 (Analysis of the Scientific Research Process of a Participant in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by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 이지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43-354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학부생 연구지원 프로그램(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 이하 URP)에 참여한 물리교육과 3학년인 한 초심자(학생 A)의 연구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 심층인터뷰, 문서분석을 통해 수집되었고,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로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이 사용되었다. 먼저, 초심자의 연구를 위한 활동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초기에 멘토가 대략적인 연구목표와 목표달성을 위한 매개체를 초심자에게 제공하였다. 연구주체인 학생 A는 동료 두 명을 모아, 자신이 이끄는 수직적 관계로 연구팀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역할분담은 과제특정지식, 연차, 그리고 참여율이 높을수록 의사결정권이 크다는 암묵적 규칙에 근거한 것이다. 다음으로, 활동체계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모순이 변화의 원천이 되었다. 먼저 연구 초기에 멘토의 교육철학과 멘티의 교육적 요구 간의 모순이 발생하였다. 학생 A는 멘토의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의 활동체계에서 필요한 지식을 얻는 방식으로 모순에 의한 갈등을 극복하였다. 이렇게 획득한 지식을 이용하여 활동체계의 매개물(실험도구과 이론)을 정교화하였다. 두 번째 모순은 수평적 역할분담을 요구하는 팀 구성원들과 기존 역할분담을 고수하는 학생 A 간에 발생하였다. 학생 A가 팀 구성원들의 의견을 받아들인 후, 활동체계의 노동 분담 방식은 협력적으로 변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 A의 변화를 살펴보면, 학생 A는 연구 경험을 통해 교사의 길을 포기하고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또 학계 내의인적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확장하게 되었으며, 협업에 대한 부정적인 마음가짐이 긍정적으로 바뀌게 되었다. 연구 초심자의 연구과정에 대한 활동체계의 구성과 변화의 분석을 통하여 사사교육의 지도 방식과 지원체계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창의성 계발을 위한 대학과 중등학교간 과학과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범적용 연구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iddle School Science Program for Fostering of Students' Creativity Through Partnerships Between University and Local Schools)

  • 최병순;김범기;강성주;신재섭;인미영;신애경;김영신;진정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10-518
    • /
    • 2004
  • 이 연구는 다양한 창의적 교수 전략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확대 실시를 위한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중학교 7학년 과학과 내용 중 일부를 다양한 교수 전략을 이용하여 창의력 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 이를 3학급 9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약 3개월 동안 처치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의 창의력이 전통적인 과학 수업을 받은 학생에 비하여 크게 향상 되었다. 특히 창의력 하위 요소 중 개방성 요소에서 큰 향상이 있었다. 과학 성적에 따른 창의력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과학 성적이 높을수록 창의력에 큰 향상이 있었다. 창의력 프로그램과 그 적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모든 교사와 대다수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어,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적용상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수업시간의 부족, 학급당 인원의 과다,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 결여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따라서 창의력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이 사전에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