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ectionism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9초

경쟁적 운동선수들의 완벽주의성향과 동기분위기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Motivational Climate in Competitive Athletes)

  • 윤경신;김태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69-37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록종목과 대인종목의 경쟁적 운동선수를 과업지향 동기분위기와 자아지향 동기분위기가 완벽주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운동수행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촌에서 훈련 중인 엘리트 성인선수 196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완벽주의성향 및 동기분위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록종목과 대인종목으로 분류하여 종목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완벽주의성향, 동기분위기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검증 또는 독립변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검증 및 모형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완벽주의성향과 과업지향 및 자아지향 동기분위기 모두 대인종목 선수가 기록종목 선수보다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록종목 운동선수의 경우 과제지향 동기분위기와 자아지향 동기분위기 모두 완벽주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과제지향보다 자아지향 동기분위기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종목 운동선수의 경우에는 자아지향 동기분위기만이 완벽주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두 연구모형 모두 나쁜 적합도를 보였다.

무용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의 관계 (Relations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Eating Disorder i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 홍고은;김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79-388
    • /
    • 2016
  • 무용을 전공하는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은 처해진 상황과 추구하는 목표가 달라서 종류가 다른 스트레스를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및 대학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섭식장애는 Garner(1990)의 Eating Disorder Inventory-2(EDI -2)를 이임순(1998)이 번안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의 측정은 Frost 등(1990)의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를 현진원이 번역한 것에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일부 표현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218명의 무용전공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50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32부를 제외한 최종 218부를 가지고 SPSS 21.0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높은 학력과 오래된 경력을 가진 무용학생일수록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차원적 완벽주의(실수에 대한 염려, 개인의 기준, 부모의 기대)는 무용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섭식장애의 발생과 유지에 주된 역할을 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면, 높은 학력과 오래된 경력을 가진 무용학생들은 무용수행에서 오는 과도한 스트레스와 왜곡된 신체상의 심리적 압박감을 받아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올바른 체중조절 방안과 섭식장애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무용전공자의 완벽주의 성향이 자기효능감 및 공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ance Major's Perfectionism o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 김명주;김정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31-24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자들의 완벽성향이 자기효능감 및 공연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09년 현재 충남, 대전 지역 소재의 예술 고등학교 무용과 재학생과 대학교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크게 충남, 대전으로 이분한 후 한 지역 당 예술 고등학교 1개교와 대학교 1개교를 선정한 다음 무용전공학생들을 1개교 당 각 75명씩 총 4개교에서 총 300명을 표집하였다. 표집된 300명 중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274명이었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요인분석, 신뢰도는 신뢰도분석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602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SPSS16.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성향은 자기효능감 하위변인인 자기조절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은 높다. 둘째, 완벽성향은 공연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공연만족도는 높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공연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을수록 공연만족도는 높다. 넷째, 완벽성향은 자기효능감과 공연만족도에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자기효능감은 공연만족도를 매개하는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liefs on Preschooler's Socal Competence)

  • 박영애;김리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3-199
    • /
    • 2014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완벽주의적 성향과 양육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대전시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77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어머니의 완벽주의는 보통 수준으로 나왔고, 양육신념은 비교적 높게 나왔다.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은 학력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완벽주의 하위요인 중 높은 기준설정은 학력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보통 수준으로 나왔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전체적으로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 중 애정표현은 남아보다 여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상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완벽주의 중 높은 기준설정은 긍정적으로, 실패의 두려움은 부정적으로, 양육신념 중 창의능력에 대한 신념은 긍정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었고, 어머니 변인들은 유아 사회적 능력 전체 변량의 22.8%를 설명하였다. 이는 어머니가 높은 기준설정을 통한 완벽추구 성향이 높고, 실패의 두려움과 관련된 완벽주의가 적고, 유아의 창의능력 촉진에 대한 신념이 강할수록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함양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과학영재의 성취동기와 자기개념, 완벽주의, 부모양육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s of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ir Perfectionism, Self-Concept, Parenting Behaviors)

  • 임진현;전미란;최승언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985-1007
    • /
    • 2012
  • 과학영재 학생들이 우수한 수행을 나타내는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성취동기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교육원 학생 77명의 성취동기 점수를 기준으로 성취동기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을 구별하였다. 그리고 다차원 완벽주의, 자기개념, 부모양육행동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성취동기의 예언변인을 확인하였다. 변량분석 결과, 성취동기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완벽주의 총점,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 타인 지향적 완벽주의가 높았다. 자기개념 총점과 함께 하위 요인 중 신체, 도덕, 성격, 사회, 능력에 대한 자기개념에서 성취동기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높았다. 부모양육행동에 대한 지각은 아버지 애정 요인만이 성취동기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와 사회적 자기개념 및 도덕적 자기개념이 성취동기에 대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매개변인 검증에서는 아버지 애정과 성취동기의 관계에서 자기 지향적 완벽주의와 사회적 자기개념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과학영재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정의적 요소와 아버지 애정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자유주의와 완전주의 (Liberalism and Perfectionism)

  • 김영기
    • 철학연구
    • /
    • 제144권
    • /
    • pp.83-111
    • /
    • 2017
  • 이 논문의 목적은 자유주의와 완전주의의 양립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흔히 자유주의는 완전주의를 배제한다고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유주의는 완전주의를 반드시 배제하지는 않는다. "해악의 원리"가 갖는 반완전주의적 성격 때문에 밀(J. S. Mill)은 반완전주의적 자유주의자로 해석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막상 밀 자신은 자신이 반완전주의자로 해석되는 것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죠셉 라즈는 "완전주의적" 자유주의를 전개하고 옹호하려고 한다. 그는 반완전주의적 "중립성"을 반대하면서 정치적 행위의 목적은 진정 선한 것을 추구하는 것을 장려하고 도덕적으로 가치없는 것을 추구하는 것을 막는 것이라고 한다. 이처럼 완전주의적 주장을 하면서도 라즈는 개인의 자유 또는 자율성에, 그것이 본래적 가치를 갖는다고 생각하면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부여한다. 사람은 다양한 인간의 선들 가운데서 선택하면서 인간의 자율성을 발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즈는 도덕적으로 나쁜 것을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자율성은 가치를 같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사회는 무가치한 선택을, 더욱이 도덕적으로 사악한 선택은 보호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라즈는 밀의 "해악의 원리"를 지지한다는 점에서, 또 자율성에 대한 정당한 존중은 "희생자"가 없는 부도덕한 일들을 막기 위해 국가가 강제적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게 된다고 주장한다는 면에서 전통적인 의미에서 자유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과연 라즈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가 과연 "도덕의 입법화"에 대한 원칙적인 배제를 확고히 뒷받침해줄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심각한 의문이 제기된다. 그러나 필자는 자율성이 그 자체 가치를 지니지만 형식적 가치만을 지닌다고 해석한다면, 완전주의와 자유주의는 함께 결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완벽주의와 시험불안이 시험기간 중 여고생의 월경양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erfectionism and Testing Anxiety on the Menstrual Cycle during Test Evaluations among High School Girls)

  • 이혜경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14-322
    • /
    • 2008
  • Purpose: Dysmenorrhea is one of the most common gynecologic complaints of young wom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menstrual cycle during test evaluations according to perfectionism and testing anxiety among high school girl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care of dysmenorrhea. Metho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ly 14 to 18, 2008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ith 300 high school girls. Result: The subjects experienced amenorrhea(35.3%), changes in the menstrual cycle(66.3%), changes in menstrual duration(50.0%), changes in amount of menstruation(47.7%), and increases in menstrual pain during testing evalua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menstrual patterns, physical symptoms, and menstrual pain during test evaluations between a high perfectionist group and low perfectionist group.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menstrual patterns, physical symptoms, and menstrual pain during test evaluations between a high testing anxiety group and low testing anxiety group. Perfectionism and testing anxiety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menstrual patterns, physical symptoms, and menstrual pain. Conclusion: As perfectionism and testing anxiety seem to contribute to changes in the menstrual cycle during test evaluations, school health-care providers should screen routinely for dysmenorrhea and give more attention to health education on this topic to girls.

  • PDF

완벽주의 성향, 자기조절 능력이 지각된 신체왜곡 및 다이어트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self-control on perceived body distortion and dieting behaviors)

  • 주성래
    • 복식문화연구
    • /
    • 제25권6호
    • /
    • pp.757-772
    • /
    • 2017
  • Appearance management is a serious issue for adults and young people in Korean society. People of various ages have used diverse means to improve their appearances. This study focused on dieting as a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female adolescents. Dieting behaviors are not just a means to improve appearance; they may also relate to individuals' beliefs and self-control.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psychological/personality factors cannot, therefore, be ruled out. Such factors can help explain personality factors explain "what causes a compulsive diet and what factors can alleviate it".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perfectionism and self-control as individual personality factors, and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perceived body distortion and dieting behaviors. We perform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verify our hypothe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we found perfectionism to b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body distortion and dieting behaviors; we also found self-control to be negatively related to perceived body distortion though unrelated to dieting behaviors; finally, our analysis identified a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ody distortion and dieting behavi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fectionism and self-control should be considered when conducting guidance and counseling sessions on issues related to dieting behaviors for adolescent' appearance management. This paper concludes by discussing the study'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성별에 따른 학령기 후기 아동의 섭식장애 관련 요인 (Gender Differences in Eating Disorders and Risk Factors in Upper Primary School Children)

  • 문소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361-36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eating disorders and in several risk factors; body dissatisfaction, perfectionism, self-esteem, and depressio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23 students in grades 5 or 6 (230 male and 193 female)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with the SPSS/PC ver 12.0 program. Results: Girls experienced more symptoms of eating disorders, body dis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an boys. There were also gender differences in risk factors. For girls, depressio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ody dissatisfaction were related to eating disorder behaviors, whereas for boys, depression, self-oriented perfectionism, body dissatisfaction, and self-esteem were related to eating disorder behavio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risk factors for eating disorders for boys and girls may be different, and these differences have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etiology of eating disorders and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possible nursing interventions.

  • PDF

완벽주의와 학업소진간의 관계: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지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 이자영;최혜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556-656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학업스트레스, 학업지연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 대한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지연의 매개 역할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283명의 사이버대학 재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자료에 대해 상관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소진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지연 및, 학업소진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학업지연과 학업소진간의 상관도 유의미하였다. 구조모형 분석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학업스트레스를 통해 학업소진을 증가시키거나 학업스트레스를 통해 학업지연을 증가시킴으로써 학업소진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완벽주의 경향이 높은 사람들이 학업소진이 되지 않기 위해 무엇보다 학업스트레스의 수준을 낮추고, 학업지연을 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