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liefs on Preschooler's Socal Competence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박영애 (한남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김리진 (고려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3.12.16
  • Accepted : 2014.02.12
  • Published : 2014.02.2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liefs on her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The participants were 277 mothers residing in Daejeon, Korea.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statistical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lief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her educational level. One factor of perfectionism, 'holding high standards', alo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school graduates and graduate school graduates, the latter's scores being higher than the form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by sex or age. However, a few sex and age differences were found in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Girls scored higher than boys on 'showing affection', and 5 year olds scored lower on 'showing affection' and higher on 'leadership' than 3 years olds. Second, a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liefs were able to explain 22.8% of variance in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the former showing more predictive power than the latter. Each of the two factors of maternal perfectionism affected five factors of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in a different manner. 'Holding high standards' of perfectionism positively influence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factors such as 'social capability', 'leadership', and 'showing affection', whereas maternal 'fear of failure' had a negative impact on 'showing affection', 'disturbing'(reversed), and 'instability'(reversed).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changes in social atmosphere and value systems, changes in child-rearing behaviors, or the construct and concept of perfectionism itself, It was suggested that these results be utilized in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preschoolers lacking social competence.

본 연구는 어머니의 완벽주의적 성향과 양육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대전시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77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어머니의 완벽주의는 보통 수준으로 나왔고, 양육신념은 비교적 높게 나왔다.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은 학력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완벽주의 하위요인 중 높은 기준설정은 학력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보통 수준으로 나왔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전체적으로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 중 애정표현은 남아보다 여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상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완벽주의 중 높은 기준설정은 긍정적으로, 실패의 두려움은 부정적으로, 양육신념 중 창의능력에 대한 신념은 긍정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었고, 어머니 변인들은 유아 사회적 능력 전체 변량의 22.8%를 설명하였다. 이는 어머니가 높은 기준설정을 통한 완벽추구 성향이 높고, 실패의 두려움과 관련된 완벽주의가 적고, 유아의 창의능력 촉진에 대한 신념이 강할수록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함양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혜(1993). 자녀의 지적 특성, 양육, 교육에 대한 부모의 신념: 2학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사라형선(2005).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아동의 우울 관계에서 아동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4), 461-481.
  3. 김상미(2013).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암이(2000). 아동의 지식습득과정에 관한 어머니의 신념 및 교육전략과 유아의 문제해결 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현미(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7. 김혜진(2006).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혜진, 유미숙, 하은혜(2004). 완벽주의 성향의 발달 요인에 관한 연구: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의 기능적 특성, 부모에 대한 애착유형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1(3), 425-444.
  9. 김희영, 박성연(2008).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통제가 남, 여 아동의 완벽주의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3), 115-131.
  10. 문경(1998). 완벽주의 차원과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문성진(2008). 부모의 양육신념과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문태형(2002).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3(6), 49-63.
  13. 박미정(1993). 아동의 사회적 행동과 어머니의 신념 및 양육방식에 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소영(2006).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화윤, 안리라(2006). 만 3,4,5세 유아의 연령별 사회적 능력과 정서조절 전략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4), 351-370.
  16. 부성숙(2009).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따른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념과 반응. 아동학연구, 30(6), 505-522.
  17. 심혜원, 김재룡(2010).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자녀 정신건강의 차이.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3(2), 32-44.
  18. 안라리(2005). 유아의 개인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 사회적 능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안현숙(2000). 어머니의 취업유무와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아동교육, 9(1), 93-102.
  20. 유 미, 유미숙(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1(4), 53-63.
  21. 이경님(1996). 인지적-행동적 자기통제 훈련이 아동의 자기통제능력, 과제수행능력 및 대인간 문제 해결능력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 숙, 최진아, 이춘아(1995). 사회적 지지체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4), 55-69.
  23. 이은주, 민하영(2006). 부모의 양육가치와 양육신념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5(4), 541-549.
  24. 이진숙, 한지현(2004).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63-73.
  25. 전윤숙(1992). 어머니의 신념과 유아의 성이 유아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정혜인(2003).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양육 효능감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조복희, 강희경, 박은미, 김혜선, 오연주, 김혜옥(2000). 다차원적 완벽성 척도의 개발. 인간발달연구, 7(1), 121-134.
  28. 조혜정(2006). 유아의 놀이성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조선대 석사학위논문.
  29. 최경순(1992).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최향숙, 한세영(2011).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자아개념이 양육신념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1(2), 31-48.
  31. 한혜진(2009).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 및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홍혜영(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Azizi, K., & Besharat, M. A.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erfectionism and child perfectionism in a sample of Iranian families.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1287-1290.
  34.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November, 34-52.
  35. Camadan, F. (2010). Predicting the students' perfectionism from their parents' perfectionism.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 4260-4265.
  36. Frost, R. O., Marten, P.,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449-468. https://doi.org/10.1007/BF01172967
  37. Goodnow, J. J., & Collins, A. W. (1990). Development according to parents: The Native, sources, and consequences of parents ideas. Hillsdale, NJ: Erlbaum.
  38. Hartup, W. W. (1983). Peer relations. In E. M. Hetherington & P. H. Musse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pp. 103-196). NY: Wiley.
  39. Hewitt, P. L., & Flett G. L. (1990).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A multidimensional analysis.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5, 423-438.
  40.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self and social context: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3), 456-470. https://doi.org/10.1037/0022-3514.60.3.456
  41. Jewsuwan, R., Luster, T., & Kostelin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33-51.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97-3
  42. Kalpidou, M. D. (1997). The Development of behavioral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during the preschool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Louisiana State University.
  43. Maccoby, E. E. (1992). The role of parents in the socialization of children: A historical over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28, 1006-1017. https://doi.org/10.1037/0012-1649.28.6.1006
  44. Miller, S. A. (1988). Parents' beliefs about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9, 259-285. https://doi.org/10.2307/1130311
  45. O'Malley, J. M. (1977). Research perspective on social competence. Merrill-Palmer Quarterly, 23, 29-44.
  46. Okagaki, L., & Divecha, D. J. (1993). Development of parental beliefs.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35-67). NJ: Erlbaum.
  47. Okagaki, L., & Sternberg, R. J. (1993). Parental beliefs and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64, 36-56. https://doi.org/10.2307/1131436
  48. Pacht, A. R. (1984). Reflections on perfection. American Psychologist, 39, 386-390. https://doi.org/10.1037/0003-066X.39.4.386
  49. Pease, D., Clark, S. G., & Crase, S. J. (1980). Iowa social competence scales: school age and preschool manual. Iowa state research foundation, Inc.
  50. Power, T. G., Magrath, M. P., Hughes, S. O., & Manire, S. H. (1994). Compliance and self-assertion: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mothers versus fathers. Developmental Psychology, 30, 980-989. https://doi.org/10.1037/0012-1649.30.6.980
  51. Provost, M. A., & LaFreniere, P. J. (1991). Social participation and peer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Evidence of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Child Study Journal, 21, 57-72.
  52. Schaefer, E. S., & Edgarton, M. (1985). Parent and child correlates of parental modernity. In I. E. Sigel (Ed.), Parental belief sys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 (pp.287-318). NJ: Erl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