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4초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에 대한 인식 (Awareness on the Establishing and Operation of the Makerspaces in School Libraries)

  • 강봉숙;정영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71-192
    • /
    • 2018
  • 메이커 운동의 확산과 함께 21세기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표준과 메이커 역량이 상당부분 일치하면서 학교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조성과 메이커 교육에 대한 사회적 시대적 요구가 있다.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에 앞서,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담당 인력의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적 검토에 기반하여 질문지를 구성하고, 웹 질문지를 통해 학교도서관 담당 인력 171명의 응답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SPSS window 19.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고 자유 기술 문항에 대해서는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설치 여부 및 인지도,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에 대한 필요성, 이유, 어려움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설치 여부는 2.3%로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도서관 담당 인력들의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인지도는 보통 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고 대체로 메이커스페이스 설치 장소로 학교도서관이 적합한 장소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측면에서 학교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도 소수 개진되었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필수실무실습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평가 (Evaluation of Pharmacy Students' Perception on Clinical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in the Tertiary and Secondary Hospital settings)

  • 천부순;신혜연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0-39
    • /
    • 2018
  • Background: Clinical Pharmacy Practice Experience (CPPE) is an important curriculum that offers students patient-centered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with evidence-based optimal pharmacotherapy for better clinical outcomes. However,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perception of pharmacy students regarding CPPE in tertiary and secondary hospital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pharmacy students regarding the learning program of CPPE. Methods: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15 self-administered questions regarding pharmacy practices, barriers, and improvement of practical training. Fourteen institutional pharmacies located in seven regions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from March 1 to June 30, 2017. The participants were pharmacy students doing clerkship in a hospital setting. Results: The response rate was 73.6%. Thirty-five participants (22.4%) had used a hospital library, but 121 (77.6%) had never used the library for drug information resources. Eighty-one (50.0%) responded that clinical knowledge and drug information was the most beneficial practice. Thirty-seven (31.1%) respondents in the tertiary hospitals and 19 (46.3%) in the secondary hospitals answered that they were filling prescriptions during the daily break. On the other hand, 72 respondents (60.5%) in the tertiary hospitals and 17 (41.5%) in the secondary hospitals did literature research to prepare for presentation. Conclusion: More students in secondary hospitals continue to fill prescriptions during the daily break, as compared to those in tertiary hospitals. Therefore, the authors suggest self-directed learning to improve clinical performance and each institution considers offering onsite or online library service to improve evidence-based CPPE for pharmacy school students.

수원지역 학교도서관 사서연구회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Operation Situation of School Library Librarians' Study Circle in Suwon)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7-56
    • /
    • 2015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의 학습동아리 운영 현황과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학습동아리의 필요성 및 효과 그리고 향후 개선방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25개 교육지원청의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학교도서관 사서의 학습동아리 운영에 관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그 중 학교도서관 사서의 학습동아리 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 수원지역 사서연구회를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서의 학습동아리 활동은 학교도서관 운영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사서로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되며, 학교도서관 업무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에 대한 초·중등 학생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73-97
    • /
    • 2017
  • 학교도서관은 공간임과 동시에 장소이다. 가정과 집의 개념이 다르듯이 공간은 물리적 형태를 말하고, 장소는 각 개개인의 경험에 의한 주관적 개념이다. 초 중 고 학생은 사회적, 인지적 발달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학교도서관에 대한 느낌 즉, 장소성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 간에 장소성 형성요인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 이 장소성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의도로 이어지는지 그 과정을 검증하였다. 590명의 초 중 고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설문 데이터는 SPSS 19와 AMOS 19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 심리적 요소 모두 초 중 고 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장소성은 장소애착,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려는 행동의도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난독증 인식차이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 교사와 학부모집단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Perception Gaps in Dyslexia: Focusing on Teachers and Parents Group)

  • 한윤옥;오덕성;이아영;변현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43
    • /
    • 2015
  • 난독증은 초기에 발견해야 할 중요한 독서 장애요소이다. 비록 난독증 인구는 많지 않지만 국가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원해야 할 독서소외계층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것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난독증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는 시기에 가장 민감하게 이를 선별해야 하는 학부모, 초등학교교사, 유치원교사, 사서(사서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난독증에 대해 얼마나 인식하고 있으며, 그 차이는 어떤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도시와 중소도시, 농 산 어촌에 거주하고 있는 학부모, 초등학교교사, 유치원교사, 사서(사서교사) 총 63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난독증에 대한 인식은 직업, 거주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난독증에 대한 인지의 유무와 난독인을 직접 만나본 경험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학도서관 이용자의 전자저널 서비스품질 지각과 만족도 분석: K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Perception of th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n the Electronic Journals of Medical Library Users)

  • 조화순;오동근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4호
    • /
    • pp.23-37
    • /
    • 2011
  • 이 연구는 의학도서관 이용자의 전자저널에 대한 서비스품질 지각과 만족도에 관해 분석하기 위해 K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수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두 집단은 서비스품질에 대한 지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하위차원에 대한 분석에서는 사용편리성, 접근성, 콘텐트자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지원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저널에 대한 만족도와 가치에 대한 지각은 두 항목 모두 교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을 나타났다. 서비스품질의 구성차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지원성과 사용편리성, 콘텐트 자원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접근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과 그 구성차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치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이용자의 홍보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f Differently-Abled Users'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Services in Libraries)

  • 노영희;안인자;박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79-20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활성화 방안 및 홍보전략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이용자인식조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서 이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홍보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하고자 설문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 장애인이용자의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홍보경험은 32.4%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지적장애인의 경우 전원이 홍보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도서관 홍보매체 경험으로는 인터넷, 도서관게시판, 현수막, ARS 서비스, 인터넷 방송 순으로 나타났으나, 홍보물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이하(3점 이하)로 나타났다. 반면에 홍보물에 대한 관심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이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도서관홈페이지는 학교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공공도서관 순으로 나타났으나, 서비스 이용률은 매우 낮게 나타났고, 경험한 자의 만족도도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서관 이용에 있어 장애인이용자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편의시설의 확보 및 제공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인을 위해 도서관에 도달하는 것의 편의성, 도서관에 도착해서 이용하는 시설의 편의성, 자료의 이용 용이성 등을 개선할 것을 제안한다.

포스 피드백이 비디오 게이머들의 게임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ce Feedback on Video Gamers' Performance)

  • 정우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1-9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포스 피드백이 비디오 게이머들의 게임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두 가지 게임 콘트롤러에 따라 비교하는 한편, 게이머들의 포스 피드백에 관한 인식과 실제 그들의 게임결과가 일치하는지를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42명의 게이머들이 자동차 경주 비디오 게임에 참여하였고 그들의 게임결과를 변수들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포스 피드백이 비디오 게임에 미치는 영향은 콘트롤러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2) 게이머들의 포스 피드백에 대한 인식과 실제 그들의 게임결과는 항상 일치하지는 않으며, 3) 흥미 요소가 게이머들의 게임결과에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화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및 선호도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Cultural Programs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 노동조;송유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5-299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간의 협력 분야 중에서 문화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사서(사서교사)들의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사서(사서교사)는 문화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이 선호하는 문화프로그램의 유형은 참여형과 체험형이고, 선호하는 홍보수단은 온라인 공간(카페, 클럽, 홈페이지)이었다.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간의 협력사업 운영 시, 효과적 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공공도서관 사서의 현장 방문을 통한 프로그램 진행과 개별 학교의 특성에 맞춘 연계프로그램의 참여였다. 협력수준으로는 기관간의 업무협약(MOU) 체결과 담당자간 협조체제를 선호하며, 평가 및 보고 방법은 문화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 조사였다.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사서교사의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on Educational Graphic Novels)

  • 임여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1-3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계속되고 있는 학습만화 열풍에 대한 심층적인 고찰을 위한 첫 걸음으로 어린이들의 독서 습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담임교사와 사서교사들은 대체로 학습만화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일부 "학습적인" 학습만화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 학습만화가 또래에 비해 읽기능력이 뒤쳐지는 어린이들에게는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인터뷰에 응한 교사 모두가 학습만화에 대한 평가 기준의 필요성을 강력히 느끼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