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as a subject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초

중등학교 가정과교육의 실제와 교사의 가정 및 개인생활 직각-영남지방을 중심으로- (Actual Status of Home Economic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ir Life)

  • 박재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63
    • /
    • 198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curriculum activiti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secondary schools and the satisfaction and consciousness of teachers in home economic education, 158 teachers I Youngnam district were randomly selected for a series of questionnaire concerning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The conclusion obtained from the data based on the questionnaire are; (1) Most of the teachers were considering that the subjec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essential parts in developing the fundamental ability of human beings and that the subjects, therefor, should be extended to boy students as well as girls students; (2) Most of the subject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controlled and taught by a teacher on the school-year basis and very few subject were taught by specialists having majored in the university; (3) One of the most prominent difficulties in teaching career was lack of facilities followed by lack of the most prominent difficulties in teaching career was lack of facilities followed by lack of finances, lack of understanding of principals' with the subjects; Lack of students(interest to the subject due to the current entrance examination system for colleges/universities,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in class, and inability of student sand teachers for the subjects concerned about; (4) Most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comprehensively taking part in the education of sexual morality of students; (5) Most teacher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had the satisfaction of being successful in life due to the fitness of their interest, the contribution to the society with their ability and the economic independence resulted form the improved relationships of human beings and the better visions; (6) Teaching careers of housewives were considered a pride of the family and supported by their children and husbands; (7) The most concerned problem for the women in teaching careers was an educational work for their children and lastly (8) The women in teaching careers were considered to be respectable in the comprehensive society being included by children, senior staffs and colleagues.

  • PDF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의 주생활단원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 (Teachers' Importance Perception of the Contents in Housing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 전경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23-237
    • /
    • 2008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의 주생활단원 내용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조사하여 주생활단원 내용 개정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생활단원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관련 변수를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수집한 자료 233부를 분석하였다. 주생활단원 48개 내용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은 '생활공간의 활용' 중단원의 18개 내용의 중요도 인식 평균은 3.78로 양호하며, '실내 환경과 설비' 중단원의 15개 내용의 평균은 3.94로 높은 반면 '주택의 유지와 보수' 중단원의 15개 내용의 평균은 3.42로 가장 낮아 '주택의 유지와 보수' 중단원의 내용 타당도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실내공기의 오염과 영향'은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아 내용의 심화가 요구된 반면 '페인트칠하기'와 '도배하기'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 인식은 보통 이하로 현실적 타당도가 결여되어 있어 개정이 요구된다. 주생활단원 48개 내용 중 '생활공간의 활용'의 10개, '실내 환경과 설비'의 5개, '주택의 유지와 보수'의 10개의 25개 내용은 교사의 성별, 나이, 교직경력, 학력, 담당과목, 학교유형, 근무지역에 따라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따라서 25개 내용이 교사의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극복하고 중요도 인식에서 보편적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내용의 타당성 점검 등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제언할 내용은 기술 가정 교과를 기술과 가정으로 팀 티칭(team teaching)하는 것이 교사의 성별과 담당과목에 따른 편차를 극복하고 주생활단원을 형평성 있게 교수하는데 더 적합하며, 주생활단원 내용은 지역 환경의 차이를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교과서 검정 기준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앞으로의 주생활단원의 평가는 내용을 최소 단위로 세분화하여 단일 주제의 내용에 대해 측정해야 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 PDF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Dietary Educa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es Classes - Focusing on the 7th Curriculum -)

  • 김윤선;강세진;이귀주;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74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기술 가정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식생활교육에 대하여 중학생틀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유효응답자 444명 중 78.1%가 주로 기술 가정교과로부터 식생활 관련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있었으며, 62.6%가'실생활에 도움이 된다', 67.3%가 '학교식생활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시행중인 식생활교육지원법에 대해서 88.7%의 응답자가 모르고 있었다. 식생활교육영역을 총28개의 항목으로 세분화하여 질문한 결과, 전반적으로 관심도가 높은 항목일수록 실천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항목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관심도 및 실천도를 나타냈다. '식사예절' 및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영역과 관련된 교육항목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식품 조리' 영역에 대한 관섬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교식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는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성별, '식사예절' 단원의 실천도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한 요구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 남윤진;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6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가정과수업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과 면담법을 병행하였으며 설문지는 이메일을 통하여 발송하였고 총 177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Win (ver10.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학습지도 기술의 향상과 교과내용학적 지식의 폭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자기장학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교과와 관련하여 자기장학이 필요한 부분을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과 교과내용학, 가정교육 철학 영역이라 인식하고 있다. 셋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자기장학의 유형 중 현장견학, 각종 연수 참여, 대중매체의 활용, 연구회 및 모임 참여, 동료 교사와의 정보 공유 등의 순으로 가정교과 수업의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자기장학의 활성화를 위하여 잡무경감과 시간적 여유, 교사 스스로의 의욕 회복, 물리적 자원의 지원(교실 특별실의 제반 환경 개선 등), 경제적 지원,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연수 및 학회에의 참여 기회 확대, 관련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에 대한 요구를 많이 하였다. 이와 같이,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상당히 높아졌다. 그러나 교과관련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요구가 높은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 영역과 교과내용학 영역뿐만 아니라 가정교육 철학 영역과 가정교육평가 영역에 대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지원도 병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가정과교사들은 다양한 교과관련 자료에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길 원하고 있으므로 흩어져있는 관련 자료를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지원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 PDF

중학교 가정과 교육목표의 필요도에 대한 인식 (A Study Needs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Purposes of 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s)

  • 유화림;정영숙;채정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1-127
    • /
    • 1997
  • This study was to examine home economics (HE) teachers' and the 1st-grade students' needs perception toward the purposes of HE education in middle school which has been practced since 1995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is study, attempted (1) to analyze needs priority among the educational purposes of HE subject in relation to three systems of actions; (2)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concerning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purposes of HE subject: and (3) to examine what they conceive as the problems In the current HE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amples of 600 1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1 middle school HE teachers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March 1996.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a modified version which had already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6th HE curriculum. For data analyses, SAS program was utilized to get Means and to perform both discrepancy test and 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each group'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s related to three systems of action, HE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urposes related to emancipatory action, while students placed more emphasis on the purposes related to technical action. Second, in terms of the degree of achievement, students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on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purposes related to technical action than HE teachers did. Both groups marked low level of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purposes related to emancipatory action. Third, with respect to needs priority, HE teachers placed the first priority on emancipatory action, the second on technical action, and the last on communicative action: in the case of students, the first priority was on technical action, the second on communicative action, and the last on emancipatory action.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opinions on the 6th curriculum revealed that most respondents found it necessary to secure adequate amount of classes for HE education. Also they shared the recongnition that HE curriculum should be renovated into the one which would fully appreciate the purposes of H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actical concerns of action which are distinct from the functional and technical concerns of passive 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new purposes of HE education which put more emphasis on the purposes related to emancipatory action: as well as for developing an enhanced curriculum and reinforcing the identity of HE education.

  • PDF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자격기준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requirement criteria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 백인경;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5-125
    • /
    • 2009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에게 교사로서 필요한 자격을 실증적 자료 수집에 의한 통계적 검증 과정(주성분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제시하고, 교사와 학생이 가정과 교사의 자격기준 중 어떤 요인(자격기준)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여,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에게 필요한 교사로서의 자격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주성분 분석 과정을 통하여 확인된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은 '평가와 연계된 수업의 전문가', '다양한 학습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자', '교직 사명감과 건전한 인성을 가진 학생의 지원자', '전문적 지식을 갖춘 교과 전문가', '공정하며 민주적인 교실 환경 조성자', '학생의 특성과 환경을 이해하는 진로 및 상담전문가'의 6가지로, 이러한 6개의 총 요인은 전체분산의 60.4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6가지 자격기준 모두를 가정과 교사가 학생보다 가정과교사에게 필요한 자격으로 보다 중요한 자격기준이라고 응답하였으나, 각 자격기준의 중요도의 순위는 동일하여서 교사나 학생집단 모두 '교직 사명감과 건전한 인성을 가진 학생의 지원자'영역을 가정교사의 가장 중요한 자격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자격기준은 '평가와 연계된 수업 전문가'영역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정과 교사들은 남자교사보다는 여자교사가, 복수 부전공을 이수한 교사일수록, 또 교사연수에 참여한 횟수가 많은 교사일수록,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의 6개 요인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생들은 가정 실습의 횟수가 많은 학생일수록, 또 가정 담당 교사를 좋아하는 학생일수록, 그리고 기술 가정 교과 성적이 높으며, 가정 영역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가정과 교사자격기준의 6개 각 요인이 가정과 교사에게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생의 교사 인식에는 가정과 수업에서의 실습, 교사 선호도,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성취도 여부가 중요한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 PDF

중학생의 전통 식생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needs of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 culture i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유정;오수진;정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3-170
    • /
    • 2007
  •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를 통한 우리나라 전통 식생활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전통 식생활 교육의 실태와 인식 및 내용별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조사대상 중학생은 학교에서 주로 기술 가정 교과를 통해 전통식생활 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전통식생활 교육은 필요하며, 실생활에 도움이 많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전통식생활 교육의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조사결과, 현재 전통식생활 교육은 주로 강의식 설명위주로 진행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학생들은 좀 더 실천적인 교수 학습방법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에 있어서도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의 교육이 이루어지질 바라고 있었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을 통한 전통식생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재 중학교 기술 가정교과 내 전통식생활 관련 내용 및 교수 학습방법이 실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과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수정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연령, 성별, 사회측정적지위에 따른 아동의 자기능력지각과 부모의 책임지각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and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Parents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 이진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25-24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difference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stus for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and difference about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degree of parents of these children. the content of study as follows. 1. How is the difference about perceived competence of children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2. How is the difference about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children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mother.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hildren and their parents of 126 persons of the third grade, six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the second grade of S middle school, the second grade of S girls' middle school which are located in Pusan city. This study used a peer nomination among sociometric assesment method as sociolity assessment means,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of Harter(1985) as perceived competence assessment means of children and used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 which amends fits for parents. the collected data are managed by SPSS/PC+ program. We analyze three-way ANOVA to verify study question No, one, two, analyze t-verification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s to verify study question No. three.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in investigating difference about perceived compretence of children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we can see that children perceive high, self-ability for low ages. Also, boys than girls, popular children than rejected children, neglected children perceive high self-ability. Second, in investigating difference about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children based on age, sex, sociometric status, we can see that mother perceive responsibilities in learning sphere, exercise sphere, the whole self-value sphere and father perceive responsibility only in social sphere. Third, in investigating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father and mother, this shows that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father and mother is not showed ane have (+) interrelation of r=.46(P<.001) between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father and perception of responsibilities of mother.

  • PDF

아동이 지각한 스트레스 사건, 스트레스 사건의 경험 빈도 그리고 스트레스 수준 (A Study on the stressor, frequency of the stressor, level of the stress perceived by children)

  • 신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3-4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stressor, frequency of the stressor, level of the stress perceived by children in Korea. The subject were 417 children of 80 second graders, 117 third graders, 111 fourth graders and 109 fifth graders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Pusan(214 male and 203 female).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70-item stress scale for children and demographic questions was used for mother.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OVA, and t-test.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vents receiving the highest ratings for magnitude of badness were mainly family related (parents separating; gradd parents getting sick/dying; parents getting sick). 2. Events receiving the highest ratings for frequency of occurrence were test, fighting with siblings, being picked on by other kids, staying home alone. 3. There appear signigcant differences for children's perception of stress due to the grade and the socioeconomic status.

  • PDF

초등학생들의 생활과 연계된 실과교과의 실천성 연구 (A Study on the "Praxis" which are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on Practical Arts Education)

  • 변효준;이기영;이수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8호
    • /
    • pp.71-8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actical problems that 6th grade students are facing, how they perceiv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praxi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lating to the problems, and whether the content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is useful for solving practical problems of 6th grade student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and include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make up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ed Practical Arts education as the subject matter through which they learn skills of life. They thought it is useful to their present and future life and to nurture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Furthermo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that the meaning of practic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lies not in praxis as practical action, but in just practice as technical action. 2. According to the survey based on their perception and their practical problems, 66.9% of students answered the learning cont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s not useful in solving their problems. And only 33.4% of students answered the learning cont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s useful in solving their problems. Negative view was predomina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does not reflect much of the practical problems that 6th grade students face. Through these results, Practical Arts education turns out to be hardly related with students' life, though it is the subject matter of students' rea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