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한 요구

  • Nam, Yun-Jin (Home Economics Teacher, Galmoe Middle School) ;
  • Chae, Jung-Hyu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남윤진 (갈뫼중학교 가정과교사) ;
  • 채정현 (한국교원대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n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E subject matter, Using the methods of survey and interview, 177 samples were collected. For collected surveys,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an SPSS/Win (ver10.1)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recognized that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E subject matter was absolutely needed to expand the improvement of techniques for teaching instructions and the width of knowledge on the studies on textbook. Second,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ary parts of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E subject matter as HE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studies on textbook contents, and HE education philosophy in order. Third,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ould be helpful in improving their HE class and expertise in order of field survey, participation in various training programs, utilization of mass media, participation in societies for researches and meetings and information sharing with co-teachers among the types of self supervision. Fourth,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needed the reduction in miscellaneous duties, less pressure for time, restoration of teachers' desire, support of physical resources (improvement of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classrooms and special rooms), economic support and various support programs (expanding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raining and society and establishment of a database for relevant materials, etc.) to facilitate self supervision. As such,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overall recognition on HE-related self supervision became significantly higher. To enhance the HE-related expertise,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concrete and active support for HE education, philosophical area and the studies on textbook contents as well as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HE in which teachers' demand was high. In addition, the HE teachers wanted to have an easy and quick access to various HE-related data; therefore, it would be urgent to summarize scattered relevant data and support the HE teachers more systematically.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가정과수업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과 면담법을 병행하였으며 설문지는 이메일을 통하여 발송하였고 총 177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Win (ver10.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학습지도 기술의 향상과 교과내용학적 지식의 폭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자기장학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교과와 관련하여 자기장학이 필요한 부분을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과 교과내용학, 가정교육 철학 영역이라 인식하고 있다. 셋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자기장학의 유형 중 현장견학, 각종 연수 참여, 대중매체의 활용, 연구회 및 모임 참여, 동료 교사와의 정보 공유 등의 순으로 가정교과 수업의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자기장학의 활성화를 위하여 잡무경감과 시간적 여유, 교사 스스로의 의욕 회복, 물리적 자원의 지원(교실 특별실의 제반 환경 개선 등), 경제적 지원,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연수 및 학회에의 참여 기회 확대, 관련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에 대한 요구를 많이 하였다. 이와 같이,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상당히 높아졌다. 그러나 교과관련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교사들의 요구가 높은 가정과 교수-학습 방법 영역과 교과내용학 영역뿐만 아니라 가정교육 철학 영역과 가정교육평가 영역에 대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지원도 병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가정과교사들은 다양한 교과관련 자료에 빠르고 쉽게 접근할 수 있길 원하고 있으므로 흩어져있는 관련 자료를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지원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